데이미언 허스트

FOR THE LOVE OF GOD 제발, 2007

 

 

보안 검사를 잽싸게 마치고 안내 요원의 지시에 따라 어두운 방으로 들어선다. 검은 벨벳과 사치스러운 카펫으로 꾸며진 공간이다.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사람들이 둘 내지 셋으로 짝을 이루고 조용히 대화를 나눈다. 이곳은 영국 작가 데이미언 허스트의 "FOR THE LOVE OF GOD 제발"이 처음 소개되는 자리이다. 좌대 위에 다이아몬드가 촘촘히 박혀 있는 해골이 놓여 있다. 햄릿이 오필리아의 무덤에서 발견한 요릭의 해골 같다. 2007년에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이 작품은 조명 속에서 더욱 극적으로 빛난다. 해골을 마주한 채로, 인간의 죽음에 대한 어떤 깨달음이 찾아오길 기다려 본다. 혹은 다이아몬드 8,601개에서 비롯되는 흥분이나 감동이 찾아오길 기다려 본다.

 

하지만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해골의 공허함이 자아내는 암울하고 공포스러운 메시지는, 그것을 둘러싼 터무니없이 값비싼 다이아몬드 갑옷 때문에 다소 희미해진다. 휑하니 뚫린 눈구멍 속에서도 존재론적 의미를 발견하지 못한 채, 다만 요릭의 이마에 박힌 핑크색 눈물 모양 다이아몬드에 감탄을 하고, 다이아몬드 장식이 되어 있지 않은 치아와 미소에 시선을 빼앗길 뿐이다. 허스트는 죽음이라는 주제에 집착하면서, 엄숙함과 부박함을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해 왔다. 본래 누더기 망토를 두르는 죽음의 신에게 몹시 화려한 옷을 입히는 식으로 말이다. 이와 같은 모순적 결합은 "The Physical Impossibility of Death in the Mind of Someone Living 살아 있는 자의 마음속에 있는 죽음의 육체적 불가능성 (1991)"에서 처음 시작되었는데, 그는 포름알데히드 용액 속에서 거대한 상어의 시체를 넣어 마치 영원히 헤엄치는 듯한 모습을 연출했다.

 

 

 

 

이 해골 작품은 단순히 흥미로운 시각적 농담에 그치지 않고, 미술 시장의 모든 악덕을 상징하는 문제적 형상으로 기능한다. 어쩌면 작가는 미술계뿐만 아니라 은행가의 부패나 연예계의 몰취향 같은 일반 시장의 악덕까지도 한꺼번에 문제삼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허스트의 해골은 이 사치스러운 시대에 생산되는 미술작품의 전형인 동시에, 금전적 가치가 높은 오브제를 생산하도록 미술 시장을 충동질하는 갑부 컬렉터들의 탐욕을 보여 준다. 허스트는 미술계를 위험도 높은 노름판 정도로 생각하는 사람 중 하나인 것이다.

 

오늘날 미술작품은 가격을 기준으로 평가된다.금전적 가치가 미학적 가치보다 우선시되는 것이다. 미술가는 시합에 출전하는 선수처럼 잠재적 수익성을 평가받는다. 이런 기준으로 보자면 가정 형편이 변변치 못했던 빈센트 반 고흐나 수수한 풍경을 소재로 삼은 폴 세잔은 역사상 가장 부유한 화가에 속한다. 이들만큼 높은 경매 기록을 세운 작가가 없기 때문이다. 허스트의 해골은 대략 5천만 파운드에 낙찰되었는데, 이 정도 기록이면 허스트 역시 고흐나 세잔과 마찬가지로 '미술기업가' 반열에 오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허스트의 다이아몬드 해골이 그토록 논란을 일으키면서도 강력한 설득력과 매력을 갖는 이유는 단순히 비싼 가격 때문이 아니다. 이 작품은, 어차피 죽으면 아무런 쓸모도 없는 사치품들을 강박적으로 수집하는 우리 자신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하지만, 모두가 마야 시대의 유물이라고 믿었으나 결국 19세기 위조품으로 밝혀진 대영박물관의 수정 해골

과 마찬가지로, 허스트의 빛나는 해골 역시 왠지 상상의 가공물이나 모조품 같은 느낌이 든다. 이것은 미술작품인 동시에 미친 장신구 제작자의 발명품 같기도 하며, 과잉의 상징인 동시에 허영의 구현물 같기도 하다. 갖가지  소문과 불화, 그리고 논쟁은 오히려 이 작품에 신비감을 더해 준다 (러시아 작가들은 이것을 예술작품으로 인정할 것인지의 여부를 놓고 모의 재판까지 열었다고 한다). 해골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는 듯하다. 정신 나간 시장 체계와 부유한 폭군들이 지배하는 이 얄팍한 세상, 이길 수 없으면 합류하는 수밖에.  122 - 1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