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피카소가 그린 멋진 부엉이 그림을 본 적이 있다. 내가 생각하기에, 요즘 미술가는 부엉이를 잡아다가 속을 채워서는 케이스 안에 집어넣어 버릴 것이다. 박제 말이다. 하지만 피카소의 부엉이는 한 인간이 부엉이를 관찰하고 그것을 설명한 결과이다. 그쪽이 박제보다는 훨씬 흥미롭다.
모든 픽처는, 뭔가를 관찰하고 그것을 설명한 것이다.

 



우리는 카메라 렌즈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계를 볼 필요가 없다. 인간의 두 눈과 뇌는 렌즈처럼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세계를 바라보지 않는다.

픽처의 역사를 연속적인 것으로 보기 시작하면, 각기 매우 다른 시대와 지역에서 탄생한 이미지들 사이에도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게 된다.

픽처의 역사는 일방통행으로 직진하지 않는다. 모든 픽처는 특정한 문제, 그러니까 어떻게 하면 시간과 공간을 재현할 수 있는가, 혹은 어떻게 하면 붓터치나 펜 자국을 사람이나 사물처럼 보이게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직면한다.

나는 세계를 관찰하는 일을 즐기며, 우리가 세계를 어떤 방식으로 보는가, 그리고 그 속에서 무엇을 보는가 하는 문제에 언제나 관심을 갖고 있다.

픽처는 세계를 재현하는 수단, 그리고 그것을 연구하고 이해하는 수단이다.

픽처의 역사는 동굴에서 시작되어 (일단은) 아이패드에서 끝난다.

세켸를 2차원으로 묘사하는 일은 우리에게 영원한 문제로 남을 것이다.

 

 

 

 

---- 서론 중에서만 옮겨 적었다. 도판이 크고 선명한 것이 보기 좋기도 하고(세부를 찬찬히 들여다보게 된다), 적어두고 싶은 부분이 많아 일단 장바구니에 넣어 두었다.

예술가들이 카메라 옵스큐라나 사진을 어떻게 활용하였는가에 관한 부분은 호크니의 전작에서도 본 바 있고 약간 지루한 감이 없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는 술술 넘어가는 흥미로운 그림의 역사였다. 호크니가 동양 미술을 간간이 언급하는 것도 장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