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 인생의 철학자들 - 김지수 인터뷰집: 평균 나이 72세, 우리가 좋아하는 어른들의 말
김지수 지음 / 어떤책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인생의 어른16명에 대한 인터뷰집이에요.
삶에 대한 지혜, 닮고 싶은 생각이나 행동방식에 대한 글이 나오면 밑줄을 치면서 읽었습니다.
철학자 김형석, 노인의학자 마크 E.월리암스 인터뷰 내용이 제일 인상적이었습니다.
이 책의 취지라면, 어떻게 삶을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해 나이 지긋한 인생 선배로부터 교훈을 얻고자하는 부분이 클텐데 너무 많은 인물들의 인터뷰를 싣다보니 깊이가 없이 어정쩡한 내용이 많아 아쉽네요. 하지만 일부분 아니 하나의 문구라도 얻은 게 있으니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인생은 60부터라는 말이 맞습니까? 60은 돼야 창의적인 생각이 쏟아져 나옵니다. 그런데 ‘60에 어떻게 살까‘는 40대에 정해야 해요. 지금은 다 떠났지만 내 동년배인 안병욱 교수, 김태길 교수, 김수환추기경도 60~75세까지 가장 창의적이고 찬란한 시기를보냈어요. 좋은 책은 모두 그 시기에 썼지요. 75세가 되면 그 절정의 상태를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에요. 잘하면 85세까지 유지가 되고 그다음엔 육체적, 인 쇠락으로 내려와야지요.
만족의 원동력은 일이에요. 잠자는 것, 먹는 것 빼고는 일에만 집중해요. 97세에도 쉬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내 나이쯤 되다 보면 가정이나 사회에서 버림받지 않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필요해요. 하나는 일을 할 수 있어야하고, 또 하나는 사소한 것이라 해도 존경받을 만한 점이있어야 해요.
1960년대부터 쓰신 《고독이라는 병》, 《영원과 사랑의 대화》 등의 에세이는 한 해 60만 부가 넘게 팔리며 출판계기록으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잘 쓰기 위해 어떤 노력을하십니까? 매일 밤 기나긴 일기를 써요. 문장이 잘 연결되게 하기위해서요. 재작년, 작년의 일기장을 꺼내 2년간 무슨 일이 있었나 읽어 보고, 그 시간을 연결 지어서 오늘의 일기를 쓰는 식이에요. 문장력이 약해지면 안 되니까 계속 훈련을 해요.
나이 든다고 해서 학습 능력이나 창의성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했는데, 중년인 저조차 젊을 때 비해 총기가 떨어진다고 느끼는 건 왜일까요? 80세 노인 중 정상적 인지기능을 가진 사람이 절반이 넘어요. 만약 총기가 떨어졌다면 필시 사고가 편협해졌기때문일 거예요. 그건 습관에 매달려 살기 때문입니다. 습관이란 어제라는 틀을 이용해서 오늘의 곤경에 대처하는방식이지요. 습관에 의지할수록 예측불허 상황에 대처하는 뇌의 회복탄력성이 떨어집니다. 과거에 매달려 자기삶을 백미러를 통해 경험하려는 습관을 멈추세요. 총기를 유지하기 위해 노인도 낯선 상황을 피하면 안 됩니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한국도 고령사회에 접어들고 이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노화에 대한 긍 정적인 교육과 더불어 가장 필요한 것은 역시나 은퇴자 들을 위한 좋은 일자리가 아닐까요? 노인에게 일은 중요합니다. 자기인식, 자부심, 사회적 지위 등등 일이 주는 만족은 대체할 수 없어요. 하지만 은퇴후에도 큰돈을 벌어야 한다는 강박은 위험합니다. 대안직업, 개인적인 프로젝트, 자원봉사,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가벼운 육체노동 등 다양한 활동을 포괄해야 해요. 그리고 이런 활동은 젊은 시절부터 리허설을 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