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 - 18세기 산업혁명에서 20세기 민족분쟁까지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오근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지금 지구에서는 수많은 나라에서 수많은 일이 일어나고 있다.
예전 같으면 몇 달이 걸려서 다른 나라에 전해지고

아예 알지도 못하고 묻히는 사건도 허다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반나절도 안 되어서 정반대의 위치해 있는

먼 나라의 사건사고를 우리는 손쉽게 알 수 있다.
먼 나라이지만 결코 멀지 않은 이웃 나라라고 말해도 좋을 정도로
.
이쯤에서 어릴 적 읽었던 [먼 나라 이웃나라] 시리즈가 생각나기도 한다
.

이 책은 18~20세기의 다양한 나라의 굵은 역사의 흐름과
이웃 나라와의 관계를 간결하게 담고 있다.
무엇보다 그래프와 지도 등을 통해 흐름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깔끔하게 수록한 점이 매력적이다
.

 

 



1.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
2.
국민국가 시스템
3.
도시의 팽창
4.
철도 등의 다양한 인공적 네트워크의 성장
5.
기술혁신에 의 한 기술 체계의 변화
6.
그것과 상호관계에 있는 사회시스템의 변모

 

 



대략 3세기에 걸쳐 현재 진행 중인 세계사의 키워드를
위와 같이 총 6가지로 저자는 제시한다.


이는 18세기 거대한 혁명 산업혁명과 프랑스혁명에서 기원을 찾고 있으며
우리가 잘 알지 못 할 수도 있는 경제적, 사상적 흐름에 잘 맞춰 구성되었다.

저자가 일본인으로서 오랜 기간 일본에서 세계사를 전공으로 교과서를 써 온 사람이기 때문에

이 책의 관점은 어떠하게 썼을까가 무엇보다 흥미로운 점이었다.

20세기 역사 속에 과연 한국이라는 나라의 이야기는 얼마나 실려 있을까.

또는 하룻밤에 다 읽을 수는 없는 양의 내용을 담고 있지만

원제목처럼 빨리, 쉽게는 읽히기는 하지도 궁금했다.

결론적으로 이 책에 일제가 침략했던 일제의 이야기는 없었고,

해방 이후 북한이 남침해 38선이 생기기까지의 과정을 상세하게 지도로 소개되어 있다.

또한 그 전에 일본이 국민국가로서 중국이나 러시아까지 진출한 내용은 상세히 담겨 있다.

책을 덮으면서 다시금 목차를 보면서 역사를 되새겨 보니 목차의 큰 주제로만 정리해도 요약이 되는 점이 흥미로웠다.

산업혁명으로 변해 가던 세계는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국민구가 시스템이 유럽을 뒤덮었고,

독립전쟁 이후 미국이라는 거대한 국가가 탄생했다.

이에 유럽 강국은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진출하게 되었지만

아시아는 유럽 때문에 골머리를 앓게 되었고,

20세기에 이르러 전 세계에 들끓었던 제국주의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부상하기 시작했다.

세계공황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했고,

냉전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지만

이제는 각각의 나라가 아닌 새롭게 도래한 지구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내용이다.

이렇게 요약을 하고 책을 읽기 시작하거나

다 읽고 큰 제목만 정리해도 충분히 세계의 근현대사 흐름은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세계사에 관심이 있지만 어렵게만 느껴졌던 독자에게 추천한다.

하지만 역사책이 가질 수 있는 맹점은 있기에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좀 더 넓은 맥락에서 참고하고 정리하는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