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슈얼리티의 관점에서는 성적 위계화에 따른 성적 억압을 일차적으로 문제시하기 때문에 여성의 성적 억압의 문제도 여성을 성적 소수자의 범주에 포함시켜 해결하고자 한다. 즉 성적인 억압이 해결되면 여성으로서 겪는 여성의 성적 억압도 자연히 해결된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성별의 관점에서와 같은 페미니즘의 성연구를 비판하고 성적 소수자들과 함꼐 연대하여 여성의 성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회구성론적 시각에서 주장하는 섹슈얼리티의 관점은 페미니즘 성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연 것이 사실이다. 이는 이전의 고정화되고 이분화된 성별로 성을 연구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여성 억압과 성적 억압을 중층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이는 지금까지 성별에 치중하여 여성들간의 공통성을 강조해왔던 한국 사회의 페미니즘 성연구와 충돌한다. 또한 이전의 사회 이론들이 그러했듯이 남성 중심 사회에서 여성이라는 변수를 강조하지 않고 성 중립적으로 나아갈 경우 결국 남성들만의 이해를 관철시킨다는 점에서 페미니스트들은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우려에 대해 게일 러빈은 성별(gender)가 섹슈얼리티(sexuality)를 구분하되 이 둘을 상호 연관지어 분석할 것을 주장한다. 남성 중심적 사회에서 성별과 섹슈얼리티가 경험적 차원에서는 결함되어 나타날 수 있지만 개념적 차원에서는 성별과 섹슈얼리티를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 둘을 어느 하나로 환원하거나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의 부자적인 범주로 보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이는 여성의 성적 억압을 여성이라는 범주로만 분석해서도 안 되고 동시에 섹슈얼리티의 하위 변수로 여성을 포함시키거나 여성이라는 범주를 완전히 포기해서도 안 된다는 것을 뜻한다. 아직도 남성 우월적인 사회에서 여성들은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미니즘에서는 젠더와 섹슈얼리티가 통합된 관잠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p25-26 < 섹슈얼리티 강의>
발췌한 몇몇부분을 제외하고는 담론들이 너무 예전것들이라 대부분 스킵해서 읽었는데, 목차를 보니 한숨이 나기도 한다.
지금껏 크게 달라진것이 없고 어쩌면 점점 더 퇴보하고 있는건 아닌가 싶어졌기 때문이다.
요며칠 트위터 보기가 힘들다.
페미니즘이 모두를 위한 인권운동처럼 물타기가 되면서 여혐하는 게이집단에게 여혐 하지 말라고 하면 퀴어 포빅이 되고,
내 자궁은 내것, 임신 중단권을 요구하면 자궁없는 여성으로 정체화 한 트렌스 젠더 배제한다고 트렌스 포빅이 된다. 또는 자궁없는 남성페미니스트를 배제하는 구호라는 헛소리를 지껄이는데, 나는 단호하게 말할수 있다. 남성페미니스트는 존재할수 없다. 단지 연대자 또는 지지자 정도만 가능하다. 내자궁은 나의 것이라는 구호에서는 한템포 쉬면되는것이다.
여기서 중요한건 이런 사람들에게 휘둘리고 있는 일명 쓰까페미니스트들이다. 위의 글에서도 언급하듯이(무려 18년전 책에서 걱정하던 일이 각종 최신 담론들이 경쟁하는 트의터에서 발생중이다) 어떠한 정체성을 가졌든, 성별 그러니까 생물학적으로 자신이 여자, 남자. 또는 간성 무성인 이라는 것은 변하지 않는다. 물론 자신을 수술하지 않은 MTF로 정체화 한 사람은 본인은 스스로를 여자로 정체화 할순 있지만, 다른 여성들이 그를 여성화장실에 그리고 여성목욕탕에서 마주쳤을때 그의 수술하지 않은 성기를 보았을때 당연히 받아들일수는 없는 일이다. 그런데 이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트젠혐오라고 여성을 몰아세운다. 그것은 페미니즘이 아니라고 한다.
얼마전 윤김지영 선생도 북토크에서 말했듯이, 연대는 같은 목적아래서는 언제든지 가능하다.
자신이 헤테로 여성 페미니스트라면, 비건 페미니스트와 함께 여성을 권리를 위히 함께 싸울수 있다. 하지만 동물권 문제에서 두 집단간에 마찰은 생길수 밖에 없다. 만약 나는 동물실험에 그런데로 찬성하지만 비건 페미니스트가 반대한다면 다른 입장에서 다르게 투쟁하면 되는것이다. 페미니즘은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노트북에 문제가 있는지 알라딘 상품 첨부, 이미지 첨부 다 안된다.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