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이들에 대한 관심 부족은 무엇보다 죄파가 이런 현실을 무시한 채 권력자들의 비리에만 신경을 쓰기 때문이다. 우리에겐 진정으로 가난한 이들을 걱정하는 좌파 정책이 필요하다. 지배 계급이 가난한 이들에 대해 전략적으로 폭력을 행사하고 사기를 떨어뜨리려는 지금이야말로 비판의 목소리를 드높일 수 있는 정책이, 계급 전쟁을 확실하게 끝낼 수 있는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p67

 

언론에 의해 지배 계급이 무산 계급보다 도덕적을 더 우월하고 낫다고 믿도록 사회화된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계급이나 더 낮은 계급의 사람들과 협력하려 들지 않는다. 부자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지배할 권리를 획득했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 결과 탐욕과 착취를 비난하는 윤리적 가치도, 경제적 정의를 추구하는 정치적 신념도 헌신짝처럼 내던져버린다. 미국 역사상 지금처럼 신념이나 인종을 불문하고 부자들의 요새에 드어갈 기회가 희박한 때도 없었다. 설령 들어간다 해도 가난한 사람들의 이익을 배신하지 않고는 자신의 지위와 권력을 유지할 수 없다. p107-8

 

요즘 젊은이들은 인종 차별이 없는 세상에 살고 싶어 하면서 정작 정치적 활동에 참여해 자신이나 사회를 변화시켜 보려는 노력은 하지 않는다. 새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라면 고통과 적대적 태도에도 맞설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지금의 젊은 세대들은 패배자만이 고통을 겪으며 행복한 삶은 아무런 어려움도 겪지 않는 삶이라는 언론의 속삭임을 들으며 자랐다 .평화와 행복은 철저한 개인주의를 통해, 자신의 욕구가 충족될 때 실현될 수 있다고 배우며 자랐다. 병적인 나르시시즘이 유행인 세상에서 어떻게 인종차별주의나 다양한 형태의 압제에 도전할 수 있는 집단적인 노력을 조직해 나갈 수 있겠는가? 환상 속에서는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있다고 속삭이는 세상에서 저항 의지는 약해질 수밖에 없다. p112-3

 

인종 차별 폐지는 인종 차별을 반대하는 정서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백인 정치가들이 독립적이고 호전적이며 결단력이 있는 흑인이 현 상태에 미칠 수 있는 위협을 깨달았고.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전략적 차워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인종 차별 폐지는 호전적인 시민권 운동과 흑인 인권 운동의 결과인 흑인들의 급진화를 약화시키기 위한 방편이었다. 급진적이고 똑똑한 소수가 흑인대중을 선도해 반란과 문화 혁명을 일으키는 것보다 이미 특권을 부여받은 흑인들에게 기존의 사회 구조에 편입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편이 나았던 것이다.p125-6

 

지금의 아이들은 사회 정의라는 이상을 추구하는 급진적인 운동을 한 번도 보지 못했고, 이런 운동을 통해 현실에 눈을 뜨고 반란을 꿈꿀 수 있도록 도움도 받지 못했다. 그래서 체제의 현상 유지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너무나 두려운 것이다. 이들은 아마도 인종 차별이 사라지든 말든 자신과는 상관없는 일이라고 말할 것이다. 흑인들 대다수가 가난한 것은 지배 계급이 조직적인 착취와 억압을 자행했기 때문이 아니라 기술, 의지력, 노하우가 부족하개 때문이라고 믿고 싶을 것이다. 주류 사회는 성공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를 가르쳤고 아이들은 그런 사고방식에 젖어 들었다. 이들은 무슨 수단을 써서라도 가장 꼭대기 계급으로올라갈 준비가 되어 있고, 최고로 올라가는 내내 그들 곁에는 타락한 '능력 있는 소수'가 있다. p133

 

혁명적인 페미니즘 사고는 항상 여자들 사이의 계급적 편견 문제를 거론했다. 페미니즘이 태동할 때부터 페미니즘 운동의 내부에는 개량적인 해방 모델과 좀 더 급진적이고 혁명적인 모델들 사이의 알력이 존재해 왔다. 전자는 기본적으로 기존의 계급 운동 내에거 여성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요구한 반면, 후자는 기존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뜯어 고쳐서 낡은 패러다임을 몰아내고 상호 관계와 평등의 모델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흑인들이 더 많은 취업의 기회를 얻게 되자 계급적 편견을 철페하라느 호전적인 흑인해방 운동이 불필요하게 느껴진 것처럼, 여자들, 특히 교육 수준이 높으며 상류계급의 백인 여자들에게도 계급 권력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남자들과 동등하게 주어지자 혁명적인 페미니즘이 밀려나고 개량적인 페메니즘이 주류로 떠올랐다. p137

 

처음부터 개량주의를 지지는 백인 특권 계급의 여자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권력과 자유의 본질을 잘 알고 있었다. 그녀들은 자신과 같은 계급의 남자들이 향유하는 것과 동일한 권력과 자유를 원했고, 가정에서의 가부장제에 저항함으로써 계급을 불문하고 남자들의 지배에 진절머리가 난 모든 여자들을 규합할 수 있었다. 인종과 게급을 떠나 레즈비언들은 가부장제에 저항하는 여자들의 급진적인 활동 중에서도 선봉에 섰다. 그렇게 한 데는 레즈비언들이 성적 취향 때문에 가정에서든 직장에서든 이성애 사회에서 이미 밖으로 내몰렸기 때문인 것도 있다. 계급에 상관없이 이들은 사회의 이방인이며 가부장제 사회에서 학대와 경멸의 대상이었다. 게다가 이성애자인 페미니스트들과 달리 레즈비언들은 경제적으로 남자에게 기대지 않았다. 그들은 남자와 같은 일은 하면서 같은 보수를 받기를 원했다. 상당히 혁명적이고 급진적인 페미니즘 사상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해 훨씬 일찍부터 고민하고 맞서온 경험을 지닌 레즈비언들의 경험의 소산이다. p139

 

 

많이 소비하고 조금만 감사하라고, 최대한 많이 움켜쥐고 조금만 내놓으라고(이게 바로 사기이다.)가르치는 자본주의의 소비주의가 머릿속에 깊이 뿌리를 내려 쉽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돈을 벌고 가진 것을 나누는 방법을  바꾸지 않으면 압제와 착취가 벌어지는 이 현실을 바꿀 수 없다.계급이 곧 돈은 아니다. p209

안타깝게도 다국적 백인 우월주의와 자본주의에 물든 가부장제도가 야기한 심각한 불평등, 그로 인해 심화되는 빈부 격차 때문에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계급을 돈 문제로만 치부하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p210

 

서구의 여자들이 자유를 누리기 위해 지구 어딘가에서는 여자들이 노예처럼 일을 하고 있다. 이 사실을 부정한다면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자국의 자본주의 체제와 전 세계 자본의 관계를 부정하는 꼴이 된다. 인류의 반은 여자이다. 인류 전체 노동의 3분의2를 담당하고 전체 소득의 10분의 1을 받지만 소유 재산은 지구 전체의 100분의 1에 불과한 사람들이 이 지구상에서 최고 극빈층이다. 이 두 가지 사실을 기억한다면 인종, 계급과 성이 서로 실타래처럼 얽힌 상황을 더 정확하게 직시할 수 있다.p214

 

내가 투쟁해야 할 지배 체제를 다국적 백인 우월주의 성향의 자본주의 가부장제도라고 부를 때는 그 무엇보다 계급 정치를 타파해야 한다는 뜻이다. p213

 

 

글은 쉽지만 가장 중요한 계급의 정의가 명쾌하게 정립되질 않는다.

돈이 계급의 전부는 아니라는 말인거 같은데, 그러면 나머지는 어떤거지? 

 

 

 

 

 

 

 

 

 

 

 

 

 

 

 

 

 

 

 

 

 

이어서 읽을 책. 

 

 

 

 

 

 

 

 

 

 

 

 

 

 

어제가 동생이 떠난지 두달되는 날이었다. 예감하고 있었지만, 아버지는 전화로 어머니는 온몸으로 슬픔을 터트렸다. 나에게.

일년에 몇번쯤 바쁜 회사에서 지금이 그 몇번이고 운동을 시작한지 이제 삼일째. 몸도 마음도 안밖으로 지쳐있던 어제.

나는 나의 불리한 상황을 나의 슬픔을 팔아 덮으려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았다. 자주 꽤 그렇게 하는 사람이라는 이야길 들으니 내가 아주 우습게 느껴진다. 한심하긴. 쯥.

 

 

 

 

 

 

안부를 걱정해 주시는 이웃분들께 일일이 답인사를 못드렸습니다.

처음부터 아무렇지도 않았던것 같기도 하고, 아닌것 같기도 하고

저도 제가 어떤지 잘 모르는 상태이지만

아마도 잘 지내고 있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위로의 말씀들 감사했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7-09 07:2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