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주니어 이야기 교과서인물 [세종대왕]


초등 시절, 존경하는 인물을 쓰라고 하면 자주 나오는 인물이 바로 이 세종대왕이죠.

소통, 융합, 혁신의 지도자로 많은 이들에게 존경받는 왕,

근래 들어서는 조선왕조실톡에서 조금 익살스럽고 친근하게까지 느껴지는 세종대왕에 대한 인물 이야기를

시공주니어 이야기 교과서 인물 책으로 만나보게 되었어요.




어린이들이 본받고 따를 수 있는 살아 있는 지도자로서의 세종 대왕.

초등 교과서에 나오는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 인물들을 뽑아 이야기 형식으로 알기 쉽게 소개한 시리즈 중 한 권으로,

현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 집필 책임자이신 이재승 서울교대 국어교육과 교수님께서 대표 집필자시고

국어교육을 전공한 두 분의 선생님도 공동으로 집필을 하신 책이랍니다.




세종 대왕을 역사 전공하신 분이 소개한다면...보는 각도가 조금 다를 수도 있겠다 싶은데요,

국어교육을 전공하신 분들이 쓴 책이라 아무래도 집현전과 한글에 대한 부분에 대한 내용이 좀 더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을까 추측해 봅니다.

1장부터 독서를 하며 크는 아이, 라고 해서 학문에 대한 세종의 열정을 소개하고 있으니까요.




현대를 살아가는 지안이와 현서, 두 어린이가 방학을 맞이하여 세종 대왕릉에 찾아가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큰 아이가 올해부터 역사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고 있는데요,

이 역사 공부라는 게 책만 가지고 공부하자면 외울 것 투성이라 도무지 재미가 없지요.

책 속에 나오는 두 아이들처럼 직접 가서 보고 듣고 다녀온 후 다시 책으로 찾아보고 한다면

좀 더 생생한 기억으로 살아있는 역사 공부를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시작은 두 아이의 방학 숙제 때문에 찾은 세종 대왕과 소헌 왕후의 무덤이지만 

직접 현장에 가 본 아이들이 세종 대왕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된 것이 큰 소득!

그 아이들 덕분에 세종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가 뒤로 전개되니까요.




웹툰으로 시작하여 결국 책으로 출간된 실톡이 재미는 있었지만, 

아무래도 줄글이 아니다 보니, 이런 책으로 다시 한 번 세종에 대해 알아보면 좋겠지요.

그렇다고 그림이 전혀 없는 것이 아닙니다요.

전하와 저하의 의미 차이 등, 중간 중간 소개되는 이런 내용들도 무척 유익하네요.




그리고 매 꼭지마다 소개되는 역사 이야기가 또 깨알 상식을 쌓게 해 주고요.




세종, 하면 이 집현전을 빼 놓을 수 없지요.

인재를 보는 눈과 그 인재를 사랑하는 마음이 깊었던 어진 임금 세종.

고려 때부터 있었지만, 유명무실했던 집현전이란 기관을 자신과 함께 공부할 인재를 등용하기 위해 과거 시험을 실시했지요.

한 명 한 명 신중하게 골랐던 집현전 학자들 중, 세종의 총애를 받은 이가 바로 신숙주네요.

그 외에도 노비의 신분에도 불구하고 세종에게 인재로 발탁된 장영실도 있고요.

뛰어난 능력이 있으면 그 출신이 어떠하든 반드시 알맞은 자리와 임무를 주었던 세종의 혁신적인 리더의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런 덕분에 세종 대왕 시대에는 위대한 발명품들도 참 많이 나왔어요.

혼천의, 자격루, 앙부일구, 편경, 측우기 등...

그러고 보면 세종 대왕은 문/이과 모두 탁월했을 뿐 아니라 음악도 사랑한 임금이셨군요.



세종이 오랜 세월 밤을 낮 삼아 공부하고 고민하던 것은 곧 조선의 모든 백성들이 편리하게 사는 나라.

그 과정에서 많은 신하들의 반대가 있었지만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세종의 성격이 모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고

이 책은 소개하고 있네요.

백성을 사랑하는 그 어진 마음 덕분에 우리도 지금 이렇게 우리 글자로 이렇게 책을 읽고 글을 쓰고 할 수 있는 거지요.


한 권의 책 덕분에 세종 대왕에 대해 이전보다 훨씬 깊이있게 알 수 있게 되었어요.

막연히 세종 대왕을 존경한다고 하기보다, 더 많이 알게 될 수록 존경이 더 짙어진다고 이야기하게 될 것 같네요.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