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의 종말
제레미 리프킨 지음, 신현승 옮김 / 시공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 고기를 먹는다는 것은 부의 상징이요, 이제는 좀 잘 살게 됐다는 증표였던 시절이 있었다. 고기반찬이 귀했기에 특별한 날만 잠깐 맛을 볼 수 있었고, 외식음식 중 최고급이라고 할 수 있었다. 채소만 먹으면 기운이 없지만 고기를 먹으면 힘이 난다는 건 정확한 말이 아님에도 우리는 그렇게 믿고 살았다.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반세기 전의 한국 사람들은 죄다 허약한 체질이었겠지만 말이다. 

 

이렇게 짧은 시간동안 고기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즐기게 되면서 이제 육식은 특별한 일이 아니라 누구나 쉽게 즐길수 있는 음식이 되었다. 사람들은 고기의 달콤한 맛에 길들여졌고 수입고기 같은 저렴한 방법으로도 즐기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급속도로 서구적인 식습관으로 바뀌고 육식문화가 자리 잡히게 되면서 그에 따른 새로운 병들도 함께 증가하게 됐다. 우리나라 암환자를 보면 예전에는 없었다가, 서양식의 영향으로 생긴 질병들이 부쩍 증가한 것을 볼수가 있는데 대표적인게 대장암이다.

 

그렇다고 채식주의자로 살아야 한다거나 고기를 완전히 끊기는 힘들다. 이미 우리의 혀는 고기의 맛을 알아버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맛있는 고기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유통되는지, 육식을 즐김으로써 지구 환경이 어떻게 황폐화 되어가는지를 안다면 생각이 달라지지 않을까. 고기의 수요 증가는 곧 더 싸게, 더 많이 공급하기 위한 사업으로 탈바꿈 시켰다. 돈이 개입된 상황에서 동물의 권리와 소비자의 안전, 윤리 등은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

 

소는 고기를 얻기 위한 가축으로 전락해 버렸다. 오로지 먹고 살 찌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도축돼서 부위별로 나뉜 후 팔리게 된다. 최소한 살아있을때 만도 최소한의 권리는 누리게 해줘야 하는데, 처음부터 고기로만 보기 때문에 벌어진 참극이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시장에서 고기를 살 때, 소가 어떻게 키워지고 도축됐는지를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마블링이나 가격, 맛 만 생각하며 고른다. 이 고기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소고기를 먹는다는 건 돈을 지불하고 음식을 먹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소고기를 선택한 순간 우리는 문화, 사회, 정치, 경제, 환경적 측면을 모두 사는 것과 마찬가지 이다. 소 한마리를 키우기 위해 쓰인 사료들과 망가진 자연 환경, 각종 항생제와 호르몬, 폐기물, 사람들의 노동력과 가슴 아픈 역사 등을 안다면 선뜻 손이 가지 않게 된다.

 

그렇다고 이 책이 채식을 하라고 종용한다거나 육식을 철저히 비판하는 건 아니다. 다만, 우리가 즐기는 육식의 숨겨진 진실을 사실 그대로 밝혀줄 뿐이다. 소를 키우기 위해 이러이러한 일이 있습니다 라는 걸 알려준다. 결국 육식을 하느냐 마느냐는 소비자의 몫일 뿐이다. 육식의 해로움을 안다고 해서 한순간에 육식문화가 사라지지 않을 것이고,육식을 즐기는 인구는 앞으로도 줄어들지 않을게 분명하다. 하지만 최소한 우리가 먹는 행위가 어떤 과정을 거쳤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제대로 알아야 하지 않겠는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0-13 1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