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해킹 - 사교육의 기술자들
문호진.단요 지음 / 창비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제본 서평단에 선정되어 읽었습니다.

가제본 책자, 저자의 응원편지, OMR카드로 구성된  수능해킹은 수능의 비법만을 쫒는 현장에 대한 비판과 바른 평가를 추구하지 못하는 정책에 대한 비판을 동시에 담고 있다. 


현업이 사교육의 현장인 학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있기에 수능해킹이라는 제목이 관심을 끌었고 입시와 수능의 작동 원리와 그 속에 자리하고 있는 거대한 규모의 사교육과 사교육의 기술자들의 이야기는 분명 알려주는 이야기가 많았다.

일정 기간의 교육을 거쳤고 상급학교인 대학의 진학을 위해 거쳐야 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연히 필요한 시험이라 받아들이고 있으며 공정함을 유지하기 위한 많은 조건들이 그 시험안에 들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조건은 학습 내용의 이해와 학문적 지식의 습득, 그리고 진로에 대한 깊은 호기심과 탐구는 뒤로 하고 사교육자의 좋은 먹잇감이 되어 단지 주어진 시간 안에 답을 찾아내는 기능적 기술만 익히게 하는 재료가 되었다. 이런 폐단을 막기위한 평가원의 노력도 있었으나 공공기관의 한계와 전국민적 관심을 받는 시험에 대한 부담은 언제나 사교육과 엎치락뒤치락 하며 공생아닌 공생의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음를 볼 수 있다.

책에서는 사교육자들의 기술적인 부분을 예로 들어 보여주며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출제의 조건이 갖는 문제점도 알려준다.

분명 어떠한 기준을 갖추고 대학을 진학하고 대학의 학문을 따라갈 능력을 확인할 필요성은 있을 것이나 그 기준을 잡는 것에서는 대대적이고 획기적이며 대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변화를 논의할 시기가 된 듯하다. 

지금의 시스템에 손대지말라는 입시.당사자들의 이야기에서 손대면 손댈 수록 망해갔던 경향의 과거를 기억하고 있기때문이듯 지금과는 다른 무엇을 생각할 수 있어야 할것이다. 수능읠 통해 사회에 진출하고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이들에게서 기존의 것을 벗어난 생각을 할 수 있을 지 의문이다. 지금의 수능은 그런 능력을 가르치지도 평가하지도 못하고 있기때문이다. 


현장에서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의 학습수준과 교과서의 수준, 사교육 중심의 입시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는 책이다. 분명 읽었을 때 느끼는 점이 있고 개선이 필요함을 본다. 


1부에서 다루어진 몇몇 기술들은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에게 슬쩍 알려주고 싶은 마음도 읽으면서 들었다. 하지만 바른 학습은 아니라 생각되어 접었다. 흔히 말하는 일타강사의 기술들이 한편의 부러움과 한편의 안타까움이 겹쳐지는 읽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