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의 시선 창비청소년문학 125
김민서 지음 / 창비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사람과 시선을 맞추지 못하는 중학생 안율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어릴적 사고 당시 자신을 바라보는 주변의 눈동자에 대한 트라우마로 안율은 다른 사람의 눈을 바라보며 이야기를 하지 못한다.

학교에서도 율은 그저그런 무리들 속에서 인간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하는 척하는 생활을 하고 있다.

우리라는 무리에 속하는 김민우, 김동휘, 서진욱과 율은 친한 관계 속에 철저히 자기 중심적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그런 율의 삶에 작은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비가 내리는 날, 엄마의 심부름으로 슈퍼를 다녀오는 길에 문득 맡아지는 비린내를 이상하게 생각하며 걷다가 골목 모퉁이는 도는 순간 마주친 새파란 발, 시선을 조금씩 올리자 교복 셔츠의 긴소매, 두 손에 안긴 죽은 고양이...그렇게 같은 학교 3학년 이도해를 처음 만난다.

두번째 만남부터 율은 이도해가 자신과 같은 부류에 속하는 듯한 동질감을 갖고 그에게로 시선을 주게 된다.

이후로 여러 사건들이 참으로 조밀하게 전개되면서 율의 시선은 점점 위로 올라오게 된다. 

상처를 받기 쉬운 시기가 청소년기이며 상처를 주기 쉬운 시가 역시 청소년기이다. 아주 작은 말로도 상처가 나고 때때로 큰 일이 만드는 상처보다 더 오래가기도 한다.


'율의 시선'은  반항의 시기, 질풍노도의 시기 등과 같은 거센 표현의 시기에 쉽게 상처받고 넘어지는 연약한 청소년의 이야기를 세밀하게 담아내고 있다. 그렇다고 그저 넘어진 채 서로의 발목을 붙잡고 있지 않고 상처를 안고 상처받은 친구들을 감싸며 함께 일어서는 우정의 성장을 보여준다.

또한 청소년을 향한 첫 번째 문은 가족이 열어주어야 함을 볼 수 있다. 받아들이고 안아줄 수 있는 가족의 중요함...읽으며 누군가의 가족에겐 감사했고 다른 이의 가족에선  안타까움이 있었다.


율은 어느 순간 친구들과 눈을 마주치며 이야기하고 엄마와도 친구 아버지와도 세상과도 마주하며 당당해진 모습으로 바뀐다. 어떻게 그런 변화가 일어나는지 소설 속에서 찾아볼 수 있기를 바란다.


제17회 창비청소년문학상의 수상작의 가치는 여전히 빛나고 있음을 보여준 소설이며 많은 청소년들이 읽고 율의 이야기를 자신의 이야기처럼 나눌 수 있으면 좋겠다.


(출판사로부터 스페셜 가제본 서평단에 선정되어 가제본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나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