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버 드림
사만타 슈웨블린 지음, 조혜진 옮김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의 주요 등장인물은 시골로 휴가를 떠난 엄마와 딸, 시골에 살고 있는 엄마와 아들이다.

나로 등장하는 도시엄마 아만다와 시골 아들 다비드의 대화로 시작되는 이야기를 한 장 두 장을 넘기다보면 어느새 중요한 순간을 찾고 있는 독자가 된다.

'벌레', '중요한 것', '중요하지 않은 것', '구조 거리', '열' 등 끊임없이 계속되는 대화 속에서 상황을 살피고 단서를 찾고 있게 된다.

소설은 강한 흡입력을 갖고 독자를 마치 소설 속의 한 인물로 존재하게 한다.

아만다는 계속 딸 니라가 어디 있는지 다비드에게 묻는다. 그러나 다비드는 다른 이야기를 계속 물으며 중요한 순간을 찾아야 한다고 말하며... 이야기가 전개된다.

후반부에 등장하는 '중요한 순간'은 눈여겨 읽어보아야 한다.

다비드의 말처럼 그 순간은 너무 짧아 어떻게 지나가는지 눈치채기가 어렵다. 중요한 순간이 있었을까?

'이체' - 한 사람의 정신을 다른 몸으로 옮겨 독성의 일부를 같이 옮기는 것으로 중독의 위험을 약화시켜 생명을 지킬 수 있게 하는 주술적 치료법 - 의 방법으로 생명을 구한 다비드와 시골 엄마 카를라의 대립도 흥미를 끈다. 자기의 어린 아들과 대립할 수 밖에 없는 거리는 아만다의 '구조 거리'와는 또 다른 거리가 된다. 이 두 가지의 거리는 각각의 실로  연결되어 있다. 그렇게 보이지 않는 실과 보이는 실은 무얼 의미하는 것일까?

평범한 일상으로 읽혀질 수 있는 하루와 그 하루 속에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 그리고 열병으로 나타나는 중독 현상으로 새롭게 해석되어지는 평범했던 일상, 그 사람들.

내가 가진 '구조 거리'는 나를 구할 수 있는 거리인가? 아니면 내가 사랑하는 사람을 구할 수 있는 거리일까?

아만다는 구조 거리를 연결하는 실은 끊어지지 않고 그녀의 딸 니나를 구했을까? 카를라는 거리를 지키고 다비드를 붙들 수 있을까 아니면 놓아 주어야 햤을까?

긴장감은 강제되어 대화 한 마디 한 마디에 묶어 놓고 있고 그 빠른 긴장 속으로 독자를 끌어 당긴다.

새로운형식으로 전개되는 소설을 읽었다.

그래서인지 긴장도 흥미도 그 결론도 궁금함을 넘어서고 있었다.

낯선 지역 라틴아메리카 문학과의 첫 만남은 꽤 성공적이다.

.

(창비의 가제본사전서평단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읽었으며 개인적인 소감을 나눕니다.)

 

내가 차에서 뛰쳐나가 그애한테 이르기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 계산하는중이야. 나는 그걸 ‘구조 거리‘라고 불러. - P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