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없이 살아가기, 답 없이 사랑하기 - 막막한 오늘을 살아가는 하나님의 지혜
김형익 지음 / 생명의말씀사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그리스도인으로 사는 것은 답 없이 사는 것을 배우는 과정"이라는 말을 기억하며...

 

''이라고 하는 한 글자는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더 이상 다른 무엇이 필요하지 않고 완료됨을 말합니다. ''라는 글자를 두 개 모으면 '답답'이 되어 오히려 해결의 방향이 막힌 상황이 됩니다. 우리는 삶 속에 필요 이상의 질문을 던지고 모든 질문의 답들을 구하려 합니다. 이 문제의 답도 필요하고 저 문제의 답도 필요합니다. 온통 답들로 둘러싸이고 온통 문제투성이 입니다. 그러니 더 '답답'한 삶을 살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하나의 답만을 붙들면 됩니다. 그래야 정말 ''이 답되는 것입니다.

 

김형익 목사의 '답 없이 살아가기 답 없이 사랑하기'는 인생의 길에 명확한 답은 없다. 특히 그리스도인은 세상에서 답을 구하거나 얻을 수 없음을 말합니다.

 

책은 4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답 없이 살아가기 - 나오미와 룻

1장에서는 나오미의 삶을 통해 답 없이 살아가는 인생을 이야기합니다. 나오미의 인생처럼 삶이 꽉 막힌듯한 삶을 산 성경인물이 있을까요? 얼마나 힘든 삶이었든지 자신의 고향땅으로 돌아왔을 때 자신의 이름을 '마라' 부르라고 할 정도였습니다. 정말 답이 없는 삶을 살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포기한 삶이 아니었습니다. 끊임없이 답을 구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나오미와 룻의 삶을 통해 답 없이 살아가는 것이 대해 이야기를 합니다.

2. 답 없이 사랑하기 - 보아스와 룻

이제 2장을 통해 답 없이 사랑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나오미의 둘째 며느리 룻을 통해 사랑함에 대해 나누게 됩니다. 룻의 인생 또한 형통한 삶은 아니었음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아스를 만나고 보아스를 통해 베풀어지는 인애를 경험하지만 그것은 룻이 이미 나오미에게 베푼 것이었습니다. 인애를 베품으로 인애로 보답받는 삶을 살아갈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것이 답 없이 사랑하며 사는 것입니다.

3. 그리스도인은 무엇으로 사는가? - 마라와 엘림

3장에서는 이제 그리스도인의 삶을 돌아봅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평탄한 삶, 모든 것에 만족하며 원하는 것을 이루며 사는 삶은 없습니다. 쓴물이 가득찬 마라의 때를 만나고 곧 넉넉한 쉼을 누리는 엘림의 때를 만날 수도 있습니다. 3장에서 이러한 인생 각각의 때에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4.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부자 되기 vs 사랑하기

그렇다면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부자 됨과 사랑함은 어떠한 인생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지 우리는 어떤 것에 초점을 맞추고 살아야 하는지를 4장을 통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 장의 끝에 묵상을 위한 질문이 있어 장의 내용을 정리하며 묵상나눔도 할 수 있습니다.

 

세상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모두는 답을 구하려고 합니다. 세상의 재물, 권력, 명예 등을 통해서 답을 얻으려고도 하며 그것이 답이라 믿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에게 그러한 것은 답이 될 수 없습니다. 답이 없다고 질문마저 포기해버리지는 말라고 합니다. 답이 없는 세상을 살아야 하기에 더욱 고민하고 질문하라고 합니다. 그렇게 질문하며 사는 인생에서 저자는 단 하나의 답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지금은 아니지만 당장엔 알 수 없지만 하나님을 만나면 하나님을 눈으로 보게 될 때, 삶의 모든 문제의 해답이 하나님이셨음을 깨닫게 됩니다. 문제를 풀고 답을 구할 힌트를 드립니다. 이 세상의 방법으로는 답을 구할 수 없습니다은 다른 답이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옳은÷ 답으로 나아가는 삶을 택하여야 합니다.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 답이 되십니다.

우리의 기독교적 소망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장차 맞이할 영광의 소망이 그리스도인의 의식 속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그 소망은 현재라는 고통스러운 과정을 충분히 감당하게 해 줍니다. - P22

공식을 가지고 신앙생활하는 것의 문제는 그 공식들이 우리로 하여금 신앙의 신비, 인생의 신비를 마주할 수 없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공식을 억지로 대입하다 보면 반신앙적인 태도로 가게 되거나 심지어 신앙을 무너뜨리는 결과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P60

그렇게 살다가 인생의 마지막 순간을 지나 하나님 앞에 서게 될 때, 우리는 평생 가지고 있던 질문들에 대한 답을 얻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일일이 설명해 주시기 때문이 아닙니다. 하나님을 뵐 때 우리는 하나님이 바로 우리가 찾던 답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입니다. 욥처럼 말입니다. - P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