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8p.
..전혀 모르는 세계에 희희낙락 뛰어드는 쾌활함은 내게 없다. 먼저 공포가 있다. 그 세계에 친숙해질 수 있을까, 살아갈 수 있을까. 공포는 잠시 내 몸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그 정지를 간신히 풀고, 등을 밀어주는 것은 체념이다. 내게는 이 세계밖에 없다. 여기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 하는 체념은 태어난 순간의 ‘이미 태어나버렸다‘는 사실과 느슨하게, 하지만 확실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 같다.

19p.
..아무튼 누나는 어디에서든 가장 마이너리티라는 것에 전력을 기울였다. 그것은 아마도 누나의 ‘보살펴달라‘는 마음의 표현이었을 것이고, 더 거슬러 올라가면 태어난 순간부터 어머니에게 실망을 안겨주었다는 과거에 다다르는 일일지도 몰랐다. 하지만 사람의 성격이나 언동을 모두 과거의 사건과 연결하는 카운슬링 같은 사고를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누나는 애지중지 태어났다고 해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56p.
..대체로 늘 이런 식이었다. 내가 화내기 전에 누나가 격노하고 내가 울기 전에 누나가 오열한다. 그러면 나는 왠지 모르게 주저하게 되고 침묵하게 될 뿐이다. 어른이 되어서도 그런 성격의 영향은 남았다. 나는 누군가가 내 ‘감정‘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가 되면 침착할 수 없었다.

71p.
..아이에게 중요한 것은 식사로 얻는 영양분만이 아니다. 어머니나 어머니 비슷한 사람, 역시 어른의 애정이 중요하다. 애정이 부족하다고 해서 물리적으로 죽지는 않지만 아이는 거의 죽은 거나 마찬가지인 고독을 맛본다. 나는 누나와는 다른 사람이어야 했고, ‘고분고분하고 착한 아이‘인 한 죽는 일은 없었던 것이다.

229p.
..어머니의 방식은 절대적으로 잘못되었지만, 잘못된 만큼 진실이었다. 자신을 더럽히는 행위를 함으로써 어머니는 그들과 같은 지평에 서 있었다. ‘그런 짓을 해서는 안 된다‘ ‘인간으로서 비열하다‘ 하는 규탄받을 방식으로 어머니는 외쳤다.
..반면 나는 안전한 장소에서, 누구도 돌을 던지지 못할 장소에서 웃음을 지어 보였지만, 압도적으로 그들을 멸시하고 있었다. 어머니보다 깊은 곳에서.

317p.
..결국 나는 기내 화장실에서 울었다.
..내 고막의(있다고 한다면) 주름 하나하나에 제이납의 울음소리가 들러붙어 있었다. 그 소리가 카이로의 추억을 모조리 끌어내고 있었다. 시내에 울리는 아잔, 가스 판매자의 목소리, 정육점에 매달린 머리 없는 소, 대량의 염소 똥, 소파에서 우는 어머니, 야곱의 모든 것, 그리고 나일 강에 나타난 하얗고 커다란 동물.
..나는 제이납의 울음소리에 바싹 달라붙듯이 울었다. 비행기의 좁은 화장실은 눈부신 이집트의 추억으로 가득 차 마치 관 같았다.

327p.
..단언컨대 누나의 새로운 반 친구들이 나쁜 게 아니었다. 누나 같은 이질적인, 게다가 스스로 그 이질성의 가치를 높이려는 사람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취할 여유가 없었을 뿐이다. 그들은 거의 태어난 동네를 벗어난 본 적이 없었고, 올해는 입시를 앞두고 있었다.
..싹트기 시작하고 나서 순식간에 괴물처럼 성장한 자의식을 떠안고 그들은 열심히 살고 있었다. 열심히 한 것으로 말하면 누나도 마찬가지였지만 누나의 방식은 다른 모두와 너무나도 달랐다. 그리고 이질적인 것은 배제될 운명에 처해졌다.

351p.
..이모가 고른 것은 맥락이 없었지만, 맥락이 없었기에 진지함이 있었다. 이모는 누군가에게 알리기 위해 그것들을 흡수했던게 아니다. 다시 말해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 위해 예술을 이용하는 일은 결코 하지 않았다. 이모는 자신을 위해, 어쩌면 자신을 위로하기 위해서만 그것들을 원했다. 이모는 아마 엘라 피츠제럴드에게서도, 비요크에게서도, 다자이 오사무에게서도, 소마이 신지에게서도 평등하게 힘을 얻고 그것을 양식으로 삼았다. 때로는 본 조비의 노래를 흥얼거리고 긴이로 나쓰오의 시를 읊조리며 스파이크 리의 영화 대사를 흉내 냈다.
..누나는 그런 이모를 사랑했다. 이모가 좋아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것이 많았지만 이모의 진실성만은 무엇보다 믿을 수 있는 것이었다.

442p.
.."소설만이 아니야. 음악도, 영화도 그래."
..스구는 문고본을 사랑스럽다는 듯이 보고 있었다.
.."지금 내가 있는 세계 이외에도 세계가 있다고 생각되거든."
..스구의 이 말은 나중에 내게 영향을 끼쳤다. 무척 커다란.
..하지만 그때의 나는 스구가 왜 자신의 지식을 자랑하지 않았는지, 그 이유만 직접 들었을 뿐이었다.
..스구에게 영화나 음악, 소설은 지식이 아니었다. 자신을 장식하기 위한 지식은 더욱 아니었다. 스구에게 그것들은 의지할 것이었다. 한층 더 절실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누군가에게 자랑할 필요는 없었다. 다만 그것들과 함께 있는 것만으로 스구는 구원받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리를 짓지 않는다. 소속되는 것도 싫어한다. 수임료는 현찰로 받지만, 돈에 구애받지 않는다. 내키면 때론 아무런 대가도 받지 않는다. 여인의 키스도, 노인의 인사도, 젊은이의 존경도 그에겐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가 바라는 것은 오로지 단 하나, 매일 밤 동경의 야경을 즐기며 하이볼을 한잔 하는 것뿐이다. 그는 고독한 독신 탐정, 김평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2p.
..글쓰기에 관해 가장 감명 깊게 들은 말은 대학 시절 은사가 들려준, 이른바 모파상의 ‘벽돌론‘이다.
.."한 편의 훌륭한 글은 잘 지은 벽돌집과도 같습니다. 잘 지은 벽돌집은 벽돌 하나를 빼면 집 전체가 와르르 무너집니다. 글 역시 단어 하나만 빼도 글 전체가 와르르 무너지듯이 써야 합니다."

45p.
..한 단락 안에 있는 단어와 단어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유기성이 있고, 그 유기성을 좀 더 밀착시키거나, 적당히 떨어뜨리기 위해 쉼표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장에서 한 단어를 빼면 그 문장이 무너지고, 그 문장이 무너지면 그 단락이 무너지고, 그 단락이 무너지면 한 장(章, Chapter)이 무너지고, 그 장이 무너지면 책 전체가 무너지는 것이다. 결국 책 한 권과 한 단어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매우 긴밀한 유기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62p.
..물론 이렇게 정해놓고 나니 할 일은 상당히 줄어버리게 되었다. 세상에는 나름의 원칙이라는 것이 있고, 그 원칙과 룰을 따르지 않으면 자연히 할 일은 줄게 된다. 하지만 나도 나름의 작은 세계이고, 두 개의 다른 세계가 만날 때는 각자의 원칙과 룰이 합의될 때만 함께 전진할 수 있다는 것이 나의 지론이다. 덕분에 나는 잡스러운 일들로부터 해방(이자 단절)되었고, (좀 더 궁색해지고) 좀 더 글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97~98p.
..사실, 취향을 나눈다는 것은 굉장히 내밀하고 은밀한 고백이다. 그 안에 한 사람의 세계관과 철학, 혹은 삶의 역사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사적이건, 공적이건, 직접 얼굴을 마주한 자리에서는 가급적이면 취향을 고백하는 우는 범하지 않으려 한다. 간혹 취향의 충돌이 가치관과 세계관의 충돌로 번지기도 한다는 것을 경험칙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혼자 만끽하기에 아까운 것은 소설 속 주인공이라는 분신을 빌려 어떤 장소, 음식, 책, 노래 따위를 권한다. 어차피 소설이라는 것은 허구의 산물이기에 이에 대해서 심각해질 필요가 없고, 나로서도, 독자로서도 부담이 없다. 따라서 작가의 입장에서도 담백하게 권해볼 수 있다.

124p.
..그러다 문득 깨달은 사실이 있는데, 없는 것과 가진 것이 일치하는 항목이 있다. 그것은 바로 고독이다. 고독은 관계의 결핍에서 오는 산물이며, 동시에 자아와 마주하는 시간의 산물이다. 고로 고독은 없는 것이자, 있는 것이다. 낙엽이 떨어지지 않아도, 겨울의 찬바람이 불지 않아도, 장마철의 빗방울이 가난한 처마 밑에 주르륵 떨어지지 않아도, 나와 고독은 피부처럼 맞닿아 있다. 쇼펜하우어에 의하면 인간이란 모두 ‘인생이란 섬에 유배를 온 존재‘들이며, 소설가 박경리에 의하면 ‘작가란 태생적으로 고독한 존재‘이다. 이에 최인호 선생도 비슷한 말로 거들었는데, 아마 ‘작가란 스스로의 고독과 자유를 지킬 줄 알아야 한다‘는 유의 말이었던 것 같다....

163~164p.
.."타인에게, 혹은 세상에 거짓말을 할지언정, 적어도 나 자신에게 거짓말하지는 않겠다."
..소설가로서 세상에 거짓말을 한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조건이다. 하지만 그 거짓말을 ‘진짜‘ 삶을 살아내고 있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삶에 견주어보고, 대입해보고, 적용해볼 수도 있다. 그걸로 충분하다. 혹은 ‘에이. 이 최민석이란 작자의 이야기는 너무 허황돼서 말이야. 그저 그런 이야깃거리로 끝나버리고 말아!‘라고 불평해도 좋다. 그것은 그것대로 좋은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어찌됐든 30대에 들어서면서 세상에 거짓말을 할지언정, 내 자신을 속이지는 말자고 결심했다. 그것이소설의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것이 비단 소설가만의 결심은 아니라고 본다.

181p.
..뭐, 굳이 말하자면 <심야식당>의 만화가 아베 야로가 "쓸모없는 만화가 좋은 만화다" 라고 말한 것처럼, 나 역시 ‘쓸모없는 소설이 좋은 소설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래도 적당히 쓸모없어야 한다는 게 나의 지론이다. 그렇다면 ‘적당히 쓸모없다‘는 건 대체 무엇을 의미할까.
..일단, 소설은 생활에 참견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가령 소설이 한 인물의 삶을 모델로 제시하고 이래라 저래라 참견하면, 왠지 시어머니 잔소리를 듣는 것 같아서 던져버리고 싶은 기분이 든다. 둘째로 소설은 일단, ‘아니, 이딴 걸 소재로 삼았다니!‘라는 비웃음으로 시작될지라도, 읽다 보면 ‘오호. 이런 게 소재가 되는군‘ 하는 과정을 거쳐, 어느 순간 ‘역시 일상 속에는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 것들이 잔뜩 숨어 있단 말이야!‘ 라는 공감까지 이끌어낸다면 그 목적을 훌륭히 달성한 거라 생각한다. 즉, 일견 쓸데없는 소재를 택해, 젠체하지 않는 어투로, 쓸모없는 이야기를 나름대로 성실하게 풀어놓는게 (내가 생각하는) 좋은 소설의 요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렇기 때문에 ‘구경꾼’으로서 타인의 불행을 소비하는 심리가 여기 없는가 묻게 된다. 범죄물의 팬은 범죄를 소비하는가, 범죄의 해결을 소비하는가? 일상 미스터리 같은, 잔인함과 거리를 둔 듯 보이는 서브장르에서조차 ‘못된’ 심리를 전시하는 일을 종종 본다. 사건에 휘말려 우왕좌왕하는 사람들을 쳐다보고 판단하는 일, 타인을 의심하고 자신의 명석함을 확인하고 즐거워하는 일의 속성이 그렇다. 타인을 이리저리 재 판단하고 싶어 하는 마음 역시, 이 장르의 독자의 마음속에 존재한다. 사건의 피해자와 가해자로 의심받는 사람들에 대한 온갖 정보가 작품 속에 나열되기 때문이다. 의심할 만한 그 사람의 말과 행동, 생각 들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류 최고(最古)의 지도인 바빌로니아 세계지도는 중심에 원이 뚫려 있었다. 학자들에 의해 컴퍼스로 지도에 원을 그리다가 생긴 구멍이라는 게 밝혀졌다. 오기는 돌에 새겨진 세계의 기하학적인 형상보다 그 구멍에 매혹되어 대영박물관의 어두운 전시실에 오래 머물렀다. 그 좁고 검은 구멍은 이제는 찾을 수 없는 한 시대의 기억처럼 깊었다. 사라진 시대와 만나려면 저 구멍에 닿아야 했지만 결코 닿을 수 없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