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p.
..14대 황제 하드리아누스Publius Aelius Trajanus Hadrianus(76~138)와 관련된 재미난 일화도 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공중목욕탕에서 목욕 중벽에 등을 문지르는 늙은 퇴역군인을 목격했다. 그는 때를 밀어주는 사람에게 지불할 돈이 없어 혼자서 등을 밀고 있었다. 황제는 그가 안타까워 돈과 노예를 내렸다. 이 소식이 퍼지자 다음 날 많은 시민들이 그 목욕탕으로 몰려와 황제 앞에서 벽에 등을 문질렀다. 찾아온 모든 이들에게 돈과 노예를 하사해야 할까? 황제는 현명하게도 사람들을 일렬로 세워 서로 등을 밀어주도록 했다. 이 일화는 공중목욕탕이 신분 차이를 넘어선 공간이었음을 보여준다.

34p.
..16대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Marcus Aurelius Antoninus(121~180)는 『명상록Meditations』에서 "목욕이 당신의 마음에다 무엇을 선사하느냐? 기름, 땀, 먼지, 기름이 뜨는 물, 그리고 구역질 나는 모든 것을 선사할 뿐이다. 어느 분야든 인생은 바로 그런 것이고 인생에서 모든 물질적인 것은 그러한 것이다." 라고 물질문명의 추함에 목욕을 빗대었다.

37p.
..초기 기독교에서 금욕주의는 보편적이지 않았지만, 3세기와 4세기를 거쳐 점차 확산되었고, 수도승, 성인들은 씻지 않음으로써 육체적 고행을 자처했다. 목욕으로 획득하는 신체적 쾌락을 포기함으로써 얻는 더러움은 성스러움의 증표였는데, 이러한 고행은 ‘씻지 않은 상태‘라는 뜻의 알로우시아alousia라고 한다. 목욕 문화가 가장 발달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대에 살았던 성녀 아그네스Saint Agnes(291~304)는 박해로 사망하는 13살까지 단 한 번도 몸을 씻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치다는 왜 이렇게까지 사람을 멀리하려 드는 걸까.
..단순히 인간 혐오 때문이 아니다.
..살아서 하는 모든 행위가 ‘놀이’라는 뜻이다――.
..그건 무슨 뜻이었을까. 이 세상에 살아 있다는 실감이 나지 않는다는 걸까. 아니면 애초에 자신의 인생 자체가 아무런 가치도 없다고 생각하는 걸까. 어떤 인생을 경험해야 그런 애처로운 마음에 도달하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가기 위해 뭘 할지 생각하는 것은 머리지만, 무엇을 위해 살아갈지를 정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마음이다.

.."사람들은 이 세상에 전쟁이 없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 한데 전쟁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세계를 상상해 봐. 어떻게 되었을 것 같나? 전 세계 인구는 지금보다 폭발적으로 증가했을 테고, 그렇게 되면 식량과 자원, 사람이 살 곳도 지구에서 벌써 오래전에 없어졌겠지. 사람이 사람을 죽이지 않으면 언젠가는 자신들의 목을 조르게 된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신이 ‘사람은 사람을 죽인다’라는 기능을 부여했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

..불행한 인간을 조금 행복하게 하고 행복한 인간을 조금 불행하게 한다――.
..무로이는 그 말을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마치 신이 조화를 부리듯 범죄를 이용해 사회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무로이는 어떤 의미에서 범죄라는 수단으로 불평등한 사회를 바꾸려 하는 신과 같은 존재이다. 그렇다면 그 일의 한 부분을 맡고 있는 아마미야 일행은 ‘신의 아이’인 셈이다――.

.."고통이나 아픔이라는 건… 자신이 어느 정도 행복하지 않으면 느끼지 못하는 걸지도 모르겠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 말야, 존엄사란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해. 사람은 기억이 있기 때문에 미래가 있는 거야. 기억이 쌓이지 않으면 미래는 오지 않아. 미래가 오지 않는다면 나는 살아 있고 싶지 않아. 언젠가, 이런 것조차 생각할 수 없게 돼. 무엇이든, 전부 잊어버리게 돼….

..분명 그 녀석 안에는 타인이 들어갈 수 없는 영역이라는 것이 있으리라. 벤조만큼은 아니더라도 그것은 누구에게나 있고, 자신에게도 있다. 그래도 언젠가는 그 안을 조금은 내어 주면 좋으련만.

..사야카는 나스를 꼭 끌어안은 채로 잠이 들었다. 왜일까? 이렇게 하고 있으면 안심이 됐다. 떨어져 있으면 무서운데 밀착해 있으면 무섭지 않다. 이 모순된 감정과 감각은 자신밖에 모른다. 그러나 그 본질은 사야카 자신도 잘 모르고 있었다.

..[즐거웠던 추억과 행복했던 기억은 부스스 무너져 내리는데 그 사건만큼은 도저히 잊을 수 없다, 그렇게 말했어. 만약 최후에 이오 씨 안에 남은 기억이 그것뿐이라면 살아 있어도 괴롭기만 하지 않을까, 하고 나는 가끔 그렇게 생각하고 말아.]

..아무래도 인간은 강대한 벽을 맞닥뜨리면 잠에 취하는 모양이다. 틀림없이 방어 본능이 작동하는 것이리라. 정면으로 마주하면 마음이 부서져 버린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두서없이 여러 생각을 발동시켜 마음을 마비시키는 것이다. 현실의 고통을 견딜 수 있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p.
...Even for someone like me who is superbright and gifted in her studies and different from everyone else, in fact superior to the vast majority - even for me life is already all plotted out and so dismal you could cry: no one seems to have thought of the fact that if life is absurd, being a brilliant success has no greater value than being a failure. It‘s just more comfortable. And even then: I think lucidity gives your success a bitter taste, whereas mediocrity still leaves hope for something.

32p.
...You know you have reached the very bottom of the social food chain when you detect in a rich person‘s voice that he is merely addressing himself and that, although the words he is uttering may be, technically, destined for you, he does not even begin to imagine that you might be capable of understanding the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