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기술 - 출간 50주년 기념판
에리히 프롬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현대인들이 사랑을 배워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이유 (사랑보다 쉬운 것은 없다는 태도를 견지하는 이유)

1. 사랑의 문제를 ‘사랑받는’문제로 생각함.
-어떻게 하면 사랑받을 수 있는가, 어떻게 하면 사랑스러워지는가.

2. 사랑의 문제를 ‘사랑할 대상’에 대한 문제라고 생각함.
-사랑할 올바른 대상을 발견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생각함.

3. 사랑을 하게 되는 최초의 경험과 사랑에 머물러있는 상태를 혼동함.

이러한 태도를 극복하기 위해 사랑도 기술이라는 점을 깨달아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랑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사랑에 대한 실천을 습득하고, 사랑에 대한 기술을 숙달시키는 것을 궁극적인 관심사로 삼아야한다.


분리되어 있는 인간들에게 결합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은 죄책감과 불안의 원천이며 수치심의 원천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아주 절실하게 이러한 분리상태를 극복해서 고독이라는 감옥을 떠나고자 한다. 그러므로 사랑은 인간의 실존문제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

성숙한 사랑은 자신의 통합성, 곧 개성을 유지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합일이다. 곧 인간을 타인과 결합시키는 힘이며 사랑에 있어서는 두 존재가 하나로 되면서도 둘로 남아 있다는 역설이 성립된다.


사랑은 수동적 감정이 아니라 활동이다. 사랑은 참여하는 것이지 빠지는 것이 아니다. 사랑은 ‘주는 것’이므로 능동적이다. 준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포기하는 것, 빼앗기는 것, 희생하는 것이 아니다. 주는 것은 잠재적 능력의 최고의 표현이다. 주는 행위에서 나는 나의 힘, 나의 부, 나의 능력을 경험하게 된다. 고양된 생명력과 잠재력을 경험하고 매우 큰 환희를 느끼게 된다. 여기서 주는 것은 물질적인 영역이 아닌 각별히 인간적인 영역으로, 자기 자신, 내가 갖고 있는 것 중 가장 소중한 것, 다시 말하면 생명을 주는 것이다. 이 말은 남을 위해 자신의 생명을 희생한다는 뜻이 아니라 자기 자신 속에 살아 있는 것을 준다는 뜻이다. 자신의 기쁨, 자신의 관심, 자신의 이해, 자신의 지식, 자신의 유머, 자신의 슬픔을 주는 것이다.

하지만 주는 행위로서의 사랑의 능력은 그 사람의 성격발달에 달려 있다. 자신의 인간적 힘에 대한 믿음, 곧 목표달성에 있어서 자신의 힘에 의존하는 용기가 결여되어 있는 정도에 따라, 인간은 자기 자신을 주는 것, 따라서 사랑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indy.K 2017-11-10 14: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우 글이 한문장한문장 딱딱 가슴에 꽂히네요. 저도 이 책 참 좋게 읽었어요. 결혼을 해서 보니 사랑이 감정이 아닌 활동이라는 말에 크게 반성과 공감을 하게 되네요.

스윗듀 2017-11-10 15:27   좋아요 0 | URL
그렇죠? 후반부도 정리해야하는데😵 다음 프롬책으로는 자유로부터의 도피 읽어보려고요 신디케이님 그 책 읽어보셨나요? 그나저나 결혼하셨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