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비, 왕 위의 여자 - 왕권을 뒤흔든 조선 최고의 여성 권력자 4인을 말하다
김수지 지음, 권태균 사진 / 인문서원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임금 잔혹사>를 먼저 읽고 감상해서 인지, 술술 잘 읽혔고, 대비되는 부분도 많아 공감이 많이 갔다.

이것이 진정 여인천하가 아닐까 생각이 된다.

사실 왕들에게만 관심이 많지 대비들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이 그다지 없는 것같다.

유교이자, 성리학 사상으로 남성우월주의 문화도 한몫을 하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든다.

 

- 정희왕후 윤씨 vs 예종
언니의 혼처를 가로챈 3남 7녀의 막내딸·윤씨 가문과 쿠데타 공신들·조선 최초의 대비, 아들의 앞길을 가로막다·윤씨 친족 비리1―예종은 공정할 수 없었다·윤씨 친족 비리2―죄는 있으나 처벌할 수 없다?·예종 사망 당일 정권을 잡다·변색된 아들의 시신, 그리고 비정한 어머니·겸판서와 분경 허용, 되살아난 구 체제·윤씨, 국정을 주도하다·실패한 종친 지키기, 숙청당한 귀성군·성공한 종친 지키기, 정미수 사건·현세도, 내세도 포기하지 않다

 - 인수대비 한씨 vs 성종
동정 없는 세상, 남편도 아버지도 없었다·내 아들이 적장자다, 기다리면 기회는 온다·한 장의 익명서, 시어머니 윤씨를 끌어내리다·12년 만에 왕의 어머니로 귀환했으나… …·친정 고모에게 기대다·명분 없는 추존과 부묘·금자경과 금승법, 이념 논쟁으로 성종을 쥐고 흔들다·『 내훈』과 세 발 달린 암탉 사이

 - 정순왕후 김씨 vs 정조
15세 정순, 66세 영조의 두 번째 왕비가 되다·재혼 상대는 왜 정순왕후 김씨였나?·정순왕후 김씨는 왜 부자父子 사이를 원수로 만들었을까·정조와 정순, 적과의 동침·정조의 공격, 김씨의 오빠 김귀주를 귀양 보내다·정순왕후 김씨, 홍국영과 손잡다·정순의 분노, “정조의 이복동생을 죽여라”·대반전, 송낙휴의 고변·인정사정 볼 것 없다, 정조를 흔들어라·정조의 개혁=노론 벽파의 위기·오회연교, 실패하다·아, 경면주사 연훈방!·1800년과 2010년, 두 남자의 죽음·55세 정순, 40년 만에 적의를 다시 입다·들불처럼 번져가는 정조 암살 의혹·신유박해, 취약한 정통성을 덮기 위한 사학몰이

- 순원왕후 김씨 vs 헌종
정조의 며느리, 4년 만에 입궁하다·노론 시파 범왕실 외척 연합 실세 정권의 출현·금슬 좋은 왕과 비, 순조와 순원·왕비의 친정, 조선 왕실 궁방전을 장악하다·첫 번째 수렴청정, 준비된 정치 9단·이지연 형제를 축출한 이유·기해박해, 그리고 장동김씨의 번영·22세 헌종 하룻밤 만에 죽다·김흥근 탄핵을 받아들인 손자 헌종·“패악한 자식”, 왕권 강화를 시도하다·두 번째 수렴청정, 61세 순원의 재집권·권돈인의 퇴출과 안동김씨 왕국의 번영

 

총 4가지 파트로 구성된 이 책은 왕과 대비들의 보이지 않는 치열함을 다루고 있다.

이중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정순왕후 김씨와 정조의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MBC 드라마 <이산>과 현빈주연의 <역린>에서 본 이야기를 다뤘기 때문이다.

잠깐 비교해자면?

 

이산 (이서진 vs 현빈)

정순황후 (김여진 vs 한지민)

이산 엄마 (견미리 vs 김성령)

 

개인적으로 드라마 이산이 훨씬 잘 소화한듯 하네요. 정조 엄마역할은 김성령이 더 좋았던것 같고..

이 파트 보면서 드라마랑 영화 생각 많이 떠올랐어요. 물론 정순황후가 새엄마이긴 한데, 어찌 아들한테 그리 못된짓을..ㅡㅡ;

물론 사연이 없는 건 아니지만요..

 

인수대비 한씨와 성종의 이야기도 흥미롭습니다. 예전에 KBS 드라마에서 채시라님이 인수대비로 열변을 토했었죠..

남자들은 굵직하고 과감한 행동력이라면, 여자들은 섬세하고 보이지 않는 암투(?)에 능하지 않나 싶네요..^^

 

읽는 순간 어느날에는 등골이 오싹하기도 하였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