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도실록 1905
예영준 지음 / 책밭(늘품플러스) / 2012년 2월
평점 :
나카이 요자부로라는 일본의 강치잡이 어부, 그리고 제국주의 침략적 사고에 흠뻑 젖어 있던 외무성 정무국장 야마자 엔지로에 의해 우리 땅 독도는 조선의 정부가 전혀 눈치를 챌 틈도 없이 다케시마라는 일본 이름을 얻고 한적한 어업기지 시마네현의 부속 도서로 둔갑한다. 일본은 독도를 그렇게 훔쳤다.
책은 그런 과정을 샅샅이 파헤쳤다. 주장이나 추정은 피했다. 일본 내각의 당시 자료, 야마자라는 인물이 남긴 족적에 관한 기록, 신문에 보도된 당시의 상황 등을 근거로 독도가 일본명 다케시마로 둔갑하는 과정을 면밀히 추적했다.
독도는 일본의 강치 잡이 어부가 일으킨 한 줄기 바람, 러일전쟁에 이어 한반도 강점의 야욕이라는 거대한 음모를 세운 야마자의 폭풍, 급기야 벌어진 전쟁의 태풍으로 1905년 심한 풍랑 속에서 허덕인다. 그 무렵 강치의 천국이라 불리던 독도의 해역은 총칼을 앞세운 일본 어부들의 등장으로 강치의 피로 물든다. 곧 일본에 강점당하고 마는 한반도의 운명을 예시했던 장면일지 모른다.
우리는 이 과정을 잘 알지 못한다. “일본이 감히 한국 땅을 넘본다”면서 비분강개는 하지만 그 이면에서 일본은 어떤 노력을 기울였고, 어떤 전체적인 틀에서 독도문제를 건드렸는지 잘 알지 못한다.
책은 그런 모든 과정을 사실(史實)과 사실(事實)에 근거를 두고 그렸다. 그래서 책 제목에 실록(實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독도와 한반도가 일본 제국주의에 강점당하는 모습들이 담담하고 차분하게 펼쳐진다. 이 책을 통해 독도에 관한 일본의 영토 주장이 왜 허구인지, 한반도 강점이 어떤 야욕으로 점철했는지를 자세히 알 수 있다.
저자의 바람대로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독도가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하는 일부 일본 사람들의 주장을 논리를 차분하게 반박할 수 있다. 민족주의적인 감정과 격분으로 상대를 호통치고 끝내는 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토대로 삼을 만하다.
책에는 국내 관련 학계에서조차 잘 파악하지 못했던 독도 일본 영토편입과 한반도 강점의 책략가 야마자 엔지로에 관한 자세한 기록이 등장한다. 그는 어떻게 보면 일본의 한반도 침탈을 기획하고 실행한 막후의 주역이다. 안중근 의사에게 저격당해 숨진 이토 히로부미는 야마자의 활동에 비하자면 조역에 지나지 않는다.
야마자가 어떤 사고의 소유자였으며, 일본의 우익과는 어떻게 연결되는 인물인지, 그가 독도의 일본 영토편입을 위해 실행한 일이 무엇인지, 한반도 강점의 역사에서 그와 그 주변의 우익이 어떻게 움직였는지가 이 책에 다 나온다.
독도를 자신의 영토라고 왜곡했던 100여 년 전 일본의 움직임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서 우리는 당시 일본의 제국주의가 움직인 전체의 모습까지 알 수 있다. 이 책이 지닌 아주 큰 매력이다.
위안부 문제와 함께 일본과의 논란에서 절대 빠질수 없는 '독도' ...
그 작은 섬은 일본이란 침략에 의해 처참히 살해되었다. 주권을 잃은 나라의 슬픔은 단순한 섬 하나를 넘어 마음마저 갈기갈기 찢겨놓았다. 사실 일본은 독도뿐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 등 다양한 나라들과도 영토분쟁을 벌이고 있다. 섬나라라는 특성상 대륙으로 향하는 야망이 지배적이다. 임진왜란 또한 그러한 야욕에서 비롯되었고, 일본은 끊임없는 도발이 멈추지 않고 있다. 일본이 작은 섬들을 욕심내는 이유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바로 해상권과 심해자원이라는 또 다른 금광이 숨어있기 때문이다. 아마존 등 깊은 산속과 섬들이 이 세상에 모두 공개되었다. 지구의 70%를 차지하는 바다는 아직도 그 깊이와 자원을 알수 없는 무궁한 또 다른 보물섬인 셈이다. 이 도서는 사실과 실존관계로 서술하고 있다. 터무니없는 주장등 배제된체 사실의 역사를 기록한 또 하나의 실록인 셈이다. 최근 일본이 타임지에 독도를 홍보하자, 거세게 항의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결국 타임지는 더 이상 광고를 실지 않겠다고 발표했고, 이에 독도운동가 가수 김장훈씨가 마음을 다스리며, 그러한 횡포에 비난했다. 어쩌면 국제적인 논란을 일본은 원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국제재판소에 소송을 넣을려면 양국 모두가 동의해야 하는데 한국이 그런 터무니없는 소송에 동의 하지 않을 것이 뻔하니, 논쟁과 분란으로 꾀내려는 셈이다. 유대인과 함께 한반도의 한국이 세계제일의 명석함과 두뇌, 근성을 가졌다고 한다.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현명한 대처를 기대해 보아야 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