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합리적 낙관주의자
수 바르마 지음, 고빛샘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5월
평점 :
* 본 리뷰는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어보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지난해, 아이돌가수 장원영의 '원영적사고'가 붐을 일으켰다. 일종의 초긍정주의인데, 기존의 긍정주의가
"물이 반이나 남았네?" 였다면,
#원영적사고 는
"어머, 더도말고 딱 이만큼만 마시고
싶었는데 완전 럭키비키 잖아" 식의
절대적 초긍정주의 이다. 일종의 자기합리화로 긍정을 넘어선 경지라고 할수 있다.
우리는 대체로 놓인 상황에 따라 감정을 표출한다. 그러나 대부분 부정적인 감정이 절대다수를 차지 하는 경우가 많다. 조금만 불편하거나 심기를 건드렸다 싶으면, 분노의 감정의 노골적으로 들어낸다. 상황에 따라 납득할 수 없는 정당함도 있지만 대게는 사소하거나 가벼운 수준이다.
낙관주의, 즉 긍정적 사고는 타인이 아닌 나를 위해 필요한 감정훈련이다. 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인 만큼 부정적 사고는 나의 몸과 마음을 피폐하게 한다.
그러나, 모든상황을 절대적인 낙관주의로만 바라볼 수 없다. 인간이기에 즉각적인 감정이 먼저 앞서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합리적 낙관주의는 근거가 있는 긍정주의로서 지금의 상황을 내가 왜 낙관적으로 바라봐야 하는지 이유를 제시한다.
합리적 낙관주의 는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확신과 주도적인 태도로 삶의 본질적인 불확실성과 존재의 불가해함을 담담히 받아들이고, 때로는 그것을 깊이 이해하고 음미하는 마음가짐이다. 합리적 낙관주의는 꿈과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내면에 자리한 #회복탄력성 을 일깨우고 더욱 단단하게 키워준다.
낙관주의는 신경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좌뇌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낙관적인 태도가 강화되고, 마음가짐이 차분해지며, 주체적인 결정력과 능동적인 사고/행동이 자연스럽게 촉진된다. 이러한 마음가짐은 타고난 기질과 무관하게 누구나 익히고 키울수 있다.
이 책은 합리적 낙관주의 사고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훈련, 습관화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다루고 있다. 어떤 상황이 오더라도 긍정의 시선으로 상황을 바라보면 그것은 기회가 된다.
이식으로 인한 숙주반응으로 나는 꽤 힘든시간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숙주반응들이 암세포를 억제하고 재발위험을 막고 있다고 하니, 부정적으로만 바라볼수 없다.
일종의 밀당, 적절한 숙주반응은 위와 같은 기대효과를 주지만 과도한 숙주반응은 생명을 위협하기에 적절한 조절이 필요한 셈이다.
평범하지 않는 일상이 힘들긴 하지만 오히려 아무반응 없이 너무 건강하다 싶으면 반대로 불안하기도 하다. 이런상황이 나에겐 합리적 낙관주
의인 셈이다.
감정이 아닌, 생각과 사고의 전환으로 나를 관리하자!
나를 컨트롤 하면 자연스럽게 삶의 변화가 찾아올 것이고, 그것이 곧 현명한 인생을 사는 지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