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은 어떻게 끝나는가
크리스 임피 지음, 박병철 옮김 / 시공사 / 2012년 1월
평점 :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어떻게 막을 내릴까. 그리고 그것을 바라보고 살아간다면 지금의 삶이 행복할까. 이런 두 가지의 질문을 지닌 채 이 책을 펼쳐들었다. 저자는 천문학자로 우주 생물학 분야의 다양한 이야기를 장소와 시간 등을 통해 신빙성 있게 다루어 주었다.
세상의 끝, 그 어딘가에 존재하는 다른 존재의 의미와 인간과 지구, 그리고 우주의 방대한 이야기를 간결하면서 과학적 지식을 통해 그 물음에 답을 해가고 있었다. 일종의 가능성과 현실의 혼동 사이를 넘나들고 있는 것이라고 느껴졌다.
우리는 때론 인간보다 더 나은 것들이 지금의 우주 역사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말은 맞는 말이다. 그러나 인간이 지금의 삶을 이루고 있었기에 우주의 역사를 가늠해 볼 수 있지 않았을까.
저자는 이 점에 대해서 과학과 세계의 흐름을 통해 만물의 모든 것과 그 끝을 재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지구의 신비하고 다양한 종들이 예측하고 가능한 했던 것부터 시작되었으며 단계를 통해 그 신비로움을 간직해야한다고 했다.
앞에서 말한 과학적 지식에 대해 더 이야기하면 우주의 위대함은 그림자가 있었기에 가능했고 진행되는 것들을 통해서 미래를 내다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두려워하거나 앞선 것들을 다시 되돌릴 수는 없는 일이다. 저자는 그런 부분들을 한계를 뛰어넘는 가능성이라고 이름 붙였고 자신이 세운 가설을 통해 우주의 모든 것을 보여주려고 했다. 여기에서 한 가지 의문이 들었던 것은 우주와 인간의 운명이 이렇게 정해져 있다면 예측해보고 가늠해 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점이었다.
저자는 이런 부분에 대해 여러 가지 현상과 가능성의 여러 장점을 두루 살펴보았고 죽음의 또 다른 이유를 설명을 통해 해주고 있었다. 비단 어려운 문제임에 틀림없지만 저자는 자신의 생각과 논리를 통해 과학이 지금 현재 존재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고 여겨졌다. 책을 읽어갈 수록 내 생각이 더욱 뚜렷해졌고 저자가 소개하는 여러 가지 사건과 이야기들이 모든 질서를 제자리로 찾아 들어갈 수 있도록 배려해주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지구와 우주도 다양한 면을 지니고 있으며 그럼 점에서 신비롭게 느껴지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가능성은 모든 것들을 아우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세상의 끝에는 어떤 것들이 존재하는 한 그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가 생각하는 그 가능성도 모든 종들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가설을 통해 인류의 역사는 계속해서 이어진다고 했다.
이런 것들을 통해서 가설은 많은 과학자들이 실시하고 있는 연구를 통해 조금씩 세상에 드러나고 있는 것이며 저자 또한 그것이 환상으로 치부될 수 있지만 실제적인 장면임은 틀림이 없다고 했다.
신비로운 세계.
빅뱅과 그 이상에 영향을 미칠지도 모르지만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죽음은 어쩌면 지금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 진행이 되더라도 계속해서 보존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역행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신비롭게 진화되고 있는 우주이기 때문에 가능할 것이다. 그 가능성을 열어보고 책을 읽어가니 모든 만물의 끝이 아닌 시작이 되고 있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