홧김에


아주 친밀한 폭력 - 여성주의와 가정 폭력

정희진, 교양인, 2016-10-24.



  “아내 목 조른 남편 “징역 4년”… 납득 되나요?“

 기사를 보자 자동적으로 클릭한다. 몇몇 사건 판결을 두고 형량이 적당한지 설문조사한 결과에 관한 기사다. 대표적 보기 네 개를 본 순간, 제목에서부터 불편함을 느낀다.

 ①홧김에 아내 목 조른 A씨(징역 4년)

 ②함께 도박하던 이를 흉기로 찌른 B씨(징역 7년)

 ③내연녀의 남편을 살해한 C씨(징역 12년)

 ④한밤중 주거 침입 강도살인 D씨(징역 30년)


 ①번에 생략된 것은 “아내를 죽였다”, 첨가된 것은 “홧김에”.

  다른 사건들이 객관적인 사건을 서술했다면 ①번은 중요한 사항은 누락하고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의심되는 ‘홧김’이라는 단어를 추가했다. 기사가 제대로 전달되려면 이 사건에 대한 것은, “아내 목 졸라 살해한”이 되어야 하지 않는가. 다른 사건은 제쳐두고 ①번에 눈이 갔는데, 물론 법정 판결이 4년인데 그 이유가 홧김이니까 저렇게 썼다고 본다. 그런데 홧김이 과연 이유인가, 홧김은 살인자의 주장이 아닌가. 이 사건을 지배하는 것이 “홧김에”라는 사실에 분노를 느낀다.

  상습적인 구타와 폭력에 남편을 살해한 ‘아내들’ 사건의 경우 “계획적”이라는 말로 10년 이상이 확정된 사건을 너무 많이 봐 왔기 때문이다. 그래, 그 순간엔 홧김일 수도 있겠다. 지극히 남편 혼자 주장하는 ‘홧김’. 그러나 ‘남편’ 자주, 상습적으로 ‘홧김’이 된다. 그렇다면 이 상습적인 ‘홧김’은 의도적인 것이 아닌가.

  “10대 딸 차로 치고, 별거 아내 강제 추행 `폭력남`...징역 3년”

  며칠 전 기사 때문에도 내재된 분노가 단지 이 폭력 남편때문만은 아님은 명백하다. 마침 그날의 기사는 딸을 성추행한 상담교사를 살해한 엄마에게 징역 10년이 선고되었다는 거였고, 그 살인은 계획적이라는 판단이 내려졌고, 무엇보다 법이라는 제도가 있음에도 ‘사적 복수’를 행하는 것이 용서할 수 없는 죄임을 명백히 했다. 

  그런데… 이 나라 법이 아내 폭력에 대해 안전망인 적이 있던가. 4년 넘게 별거한 아내도 이혼한 아내도 제 것인양 강간하고 죽일 권리를 행하는 이 사적인 화풀이의 행태는 수십년이 지나도 법적인 제제를 받지 않는가. 법의 권위는, 아내 폭력 사건에 관해서는 제 스스로 차버려도 좋은가. 그것이 또다른 체제를 위함인가.

  여기 정희진의 <아주 친밀한 폭력>은 현실에서 늘상 경험하는 일로 분노와 학습된 무력감을 느끼는 이들에게 또다시 현실을 깨우고, 이론적인 무장을 더해주는 책이다. 왜 ‘홧김’이라고 말하는지, 그럼에도 그것이 무방한 이유를 알려준다. 별거한 아내, 이혼한 아내에 대한 상습적이고 변태적인 행위를 해도 된다고 하는 남편의 이유를 알려준다.  

  놀라운 건, 이 책이 작가의 대학원 논문이었다는 글을 본 것 같은데 그렇다면 이 책은 수십년 전의 사례라는 것이다. 사례자들이 30~40대 초반이 많았다. 남편의 나이도 그 또래라 생각하면 가해자들 역시 여전히 이 현실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얘기다. 그리고 수십년 전의 그 가해자들이 오늘날 사건의 또다른 주인공일 수 있다는 것이고, 그렇게 이 사례자들의 일들이 어제, 오늘, 지금 당장 벌어진 일들과 전혀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그 주위를 둘러싼 공적 영역이나 사적 관계의 생각과 느낌들 모두가, 전혀, 옛날과 이어져 있듯이 그대로다. 페미니즘 때문에 여성인권이 높아졌느니 하며 불편한 시선을 던지다 못해 여혐이 확산되고 있는데, ‘아내’는 여성이 아닌가.

  아내 폭력이 당연시되는 여전한 현실을 접하며 작가는 이 아내 폭력의 문제는 당연하게도 사회가 부여하는 남편의 권리, 가부장제도가 당연시하는 권력의 문제라고 말한다. 가부장제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아내 폭력의 문제도 해결하는 형태로 접근하기에 폭력의 피해자인 ‘아내’에 대한 것이 전혀 없다. 폭력의 희생자를 가해자의 집안으로 고스란히 돌려보내는 이 관대한 법의 처사는 그 둘레에 “가부장제”가 내두르고 있는 힘이다. 가족유지. 왜 가족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하게끔 한다. 그 가족은 누구를 위한 가족인지가 명백하다는 점, 오랜 동안 길들여진 이 가족은 유지되어야 한다는 타당함, 아이들을 위해서, 아이 교육을 위해서 참는다는 아내들의 말, 그러나 가정폭력이 교육에 나쁘다라는 생각을 하지 못한다는 작가의 말은 왜곡된 가족주의가 아내를 얼마나 억압하는가를 보여준다.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간단하다. 가정폭력이 아니라 ‘아내 폭력’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폭력의 해결 방안은 결코 ‘가족주의’로 접근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그 가족주의라는 개념에 ‘아내’의 인권은 없고 아내의 권리도 없고 오로지 타당하게 희생당할 요인들을 만들어 준다. 아주 기본에서 시작해야 한다.


 인간이 모든 공동체에는 권력 관계와 갈등이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인간을 억압하지 않는 공동체는 없을 것이다. 가족을 인간이 만든 사회적 제도라고 인정한다면, 가족이라고 해서 권력 관계에서 자유롭지는 않을 것이며 그것은 다른 사회 조직도 마찬가지다. p250~25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코 2017-08-08 2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요즘 뉴스에 여성혐오범죄가 심심찮게 보도되더라고요. 그래서 페미니즘 관련 도서를 찾아 보고 있는데 왜 진작 관심을 두지 않았을까 반성하고 있습니다. 아직 이 책을 읽어보지는 못했는데 모시빛님의 리뷰를 보니 당장 읽고 싶어 지네요.

모시빛 2017-08-09 23:54   좋아요 0 | URL
정희진님의 글은 이론적으로 치우치지 않고 쉽게 이해되는데 특히 이 책은 폭력을 다루고 있어서 더욱 절절하게 다가왔던 것 같네요. 우리나라의 정서와 상황에서 얘기되니까 좋구요. 물론 읽다 보면 사례들 때문에 마음이 무겁고 화나긴 하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