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이야기>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육식 이야기
베르나르 키리니 지음, 임호경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9월
평점 :
처음엔 제목만 보고 고기 이야기인줄 알았다. 채식주의에 맞선 육식주의자의 육덕진 에피소드 모음집인가. 역시 그럴 리는 없었고 '베르나르 키리니'라는 변태인지 천재인지 헷갈리는, 어쩌면 변태성 천재라고 명명할 수 있는 젊은 프랑스 작가의 기상천외한 소설집이었다.
여기 실린 열네 편의 소설들을 읽다보면 대체 어떤 표정을 지어야 할지 난감해진다. 온몸이 오렌지 껍질로 덮여 있는 여자, 영혼은 하난데 몸이 두 개, 급기야 세 개까지 번식하는 주교, 착각의 나라에서 오해의 언어로 소통하는 야푸족, 해안의 기름띠에서 미학적 가치를 찬미하는 집단, 파리지옥과 동거하는 식물학자 등 좀처럼 보지 못했던 낯설고 기괴한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짜릿짜릿 신나는 롤러코스터를 타고난 뒤 얼얼한 정신과 후들대는 다리를 진정시키며 생각한다. 아, 또 타고 싶다. 아, 내가 다시는 타나 봐라. 이 소설집의 느낌이 그랬다. 베르나르 키리니, 도련님마냥 해사한 얼굴을 해가지고는 읽는 이의 얼을 쏙 빼놓는다. 솜씨 좋은 악덕 셰프가 요리한 정교한 판타지, 초현실적 뻥, 달콤살벌한 탐미주의 앞에서 나는 고민한다. 이걸 권해. 권하지 말어.
지금 장난하냐. 아니다. 참 대단하다. 독특한 상상의 유희일세. 아니지. 대부분 혹세무민의 헛소리에 불과해. 오락가락하던 와중에 김영하의 소설을 읽고 났을 때가 그랬다는 것을 떠올렸다. 쿡쿡대며 재미있게 읽고난 후 갑자기 쓰나미처럼 밀려오는 허무감에 망연자실. 이쯤 되면 괜히 작가한테 트집을 잡고 싶어진다. 당신 뭐요. 그래서 뭐. 인간이 고작 이것밖에 안되는줄 아는가 보지.
눌려있던 무의식을 건드리는 알싸한 에스프리에 시종일관 감탄하면서도 이런(?) 소설들을 만나면 공연히 착잡해진다. 나라는 인간이 고루한 정규교육의 산물이라 그런가. 독특한 스타일의 소설가 한 둘 쯤 갖는 것이야 괜찮겠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소설은 이러지 말아야 할텐데, 이러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오버 섞인 바람을 하곤 한다. 허무와 권태와 상실로 마비된 현대인에게 구원책은 오로지 판타지 뿐인가. 현실의 서사를 망각한 채 새로운 스타일에 취하기만 하면 되는가. 골치 아픈 질문들이 웅얼웅얼 올라온다.
이제는 오직 전설만을 믿을 것. 그리고 삶에 대해서는 다 잊어버릴 것! (p.274)
피에르 굴드 씨의 좌우명이 내게는 조금 위험하게 들린다. 자극적 판타지보다 무자극적 현실이 더 기묘할 때도 많고 삶을 위해 판타지가 필요한 것일 뿐. 그 이상은 아니라는 생각에 워낭소리 같은 잔잔한 다큐멘터리 한편 보고 싶은 생각이 굴뚝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