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1
미셸 투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이 소설의 제목을 들어본지는 너무 오래되었고, 읽은지는 며칠 되었다. 리뷰를 올리기까지 여러가지 생각이 머리 속을 맴돌았다. 방드르디의 생명력, 로빈슨의 철학, 그것들이 어우러져 어째서 내게 죽음의 그림자를 드리우는지!
이래서 소설을 읽는다. 철학, 역사, 과학, 결국은 한권의 소설이 그 모든 것들의 집결체가 아니던가. 투르니에는 이 소설에서 '세계'를 창조해냈다. 더불어 하나의 신화에 도전하고, 새로운 신화를 만들어냈다. 그가 도전했던 것은 이성과 합리성의 신화(서양의 신화)이고, 그가 만들어낸 것은 생명과 죽음을 오가는 역동성의 신화, 네이티브의 신화다.

책의 앞부분은 로빈슨의 고독을 묘사하고 있다. 투르니에는 어쩌면 끊임없이 '고독'에 대해 상상하고, 느끼고, 즐겼던 사람이 아니었을까 하는 상상을 해봤다.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는 투르니에 할아버지, 젊었을 적부터 이렇게 고독을 곱씹던 사람이었던가. 고독한 철학자 로빈슨은 합리성과 진보, 서구문명의 상징이다. 섬을 '조직'하고 '건설'하는데 매진하는 로빈슨의 고군분투가 실감나다못해 귀여워질 지경이었다. 
철학자 로빈슨의 세계는 방드르디라는 他者의 등장으로 여지없이 흔들리고 무너져내린다. 로빈슨 스스로 방드르디라는 '작명'의 이유를 설명했듯, 처음에는 '사물도 아니고 인간도 아니었던' 타자의 등장. 로빈슨은 질서와 위계를 요구한다. 이 위계의 기반은 당연하게도 로빈슨의 문명이 가진 힘, 총탄과 화약이 지닌 힘, 파괴력이었다. 방드르디가 이것을 깨부수는 과정 또한 문자그대로 '파괴적'이었다는 점은 인상적이다.

'생명'으로서 방드르디의 모습을 무엇에 비할 수 있을까? 오래전 대학로에서 개그맨 출신 연극인 이원숭이 주연 겸 연출을 맡았던 '프라이데이'라는 연극을 본 적 있다. 투르니에에게서 시작된 '로빈슨 뒤집어보기'는 그 자체가 패턴화되어서 여러곳에서 반복됐던 모티브이기도 하다. 하지만 정작 투르니에가 창조해낸 새로운 '방드르디'는 위계를 거부하는 연극속 프라이디의 모습과는 사뭇 달랐다. 
우아한 원주민도 아니고 야성의 절규는 더더욱 아닌 '어떤 인간' 방드르디에게는 파괴와 생명의 구분이 명확히 적용되지 않는다. 질서와 자유의 구분도 없다(물론 그것이 로빈슨을 당혹스럽게 했을 터이지만). 숫염소 앙도아르를 방드르디가 '재창조'하는 장면에 이르면 자연과 생명, 그리고 죽음은 너무나 자연스럽고 아름답게 결합되어 무엇이 무엇인지 구분이 모호해진다.

"그는 웃는다. 무시무시할 정도로 폭소를 터뜨린다. 그 웃음은 총독과 그가 통치하는 섬의 겉모습을 장식하고 있는 그 거짓된 심각성의 가면을 벗겨 뒤죽박죽으로 만든다."

방드르디는 '노예'시절, 그 이후의 시절, 웃음으로, 생명력으로 로빈슨을 무력화한다. 그리하여 로빈슨으로 하여금 "해여, 나를 방드르디와 닮게 해다오, 웃음으로 활짝 피고, 송두리째 웃음을 위하여 빚어진 방드르디의 얼굴을 나에게 다오" 하고 기도하게 만든다. 로빈슨은 방드르디의 생명력에 불쾌해하다가, 마음속으로 모욕해보다가, 결국 동화되어버린다. 프란츠 파농이 "백인이 두려워하는 것은 흑인의 생명력"이라고 지적했던, 바로 그 전형적인 '백인 심리'가 로빈슨에게서 진행되는 듯하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방드르디의 모습에는 항상 '죽음'의 이미지가 겹쳐진다. 앙도아르의 '죽음'을 통해 '자연의 소리'와 '비상(飛翔)'을 얻었듯이, 방드르디의 생명력은 죽음의 냄새를 짙게 풍긴다. 
로빈슨이 방드르디를 닮고자 할 때, 자신의 문명적 기반을 거부할 때, 그렇게 로빈슨의 '극복'은 섬과의 화해, 혹은 합일과 함께 이뤄졌다. 그런데 삶과 죽음의 순환, 원주민의 생명력과 야만성, 방드르디의 생명력과 지성이 '죽음'의 냄새를 끊임없이 풍기는 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서방이 생명력 넘치는 부족 사회들을 죽였듯, 자연을 죽였듯, 결국 방드르디의 '예고된 죽음'(물론 그의 물리적 '죽음'이 소설에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은 투르니에식 문명비판으로 이어지는 것일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르니에는 어째서 '마지막 희망'을 예비해두는 것일까.

책은 여러가지 화두를 던져줬다. 기대 이상으로 재미있었다. 줄거리 못잖게 재미있었던 것은 투르니에의 글쓰는 스타일이었다. 지적이고 발랄하면서 의표를 찌르는 에세이들을 통해 투르니에 할아버지를 먼저 만났던 내게는, '젊은 투르니에'의 정열적인 문체를 만나는 것이 커다란 즐거움이었다. 반면, 사족을 달자면, 투르니에 스스로 '투르니에 전문가'라 불렀다던 김화영 선생의 번역은 의외로 맘에 안 들었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almas 2005-01-03 2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추천은 제일 처음이군요. 제가.^^

딸기 2005-01-03 2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헛 엉망진창인 글에 추천까지... 고맙습니다, 발마스님.

깍두기 2005-01-03 2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책이 좀 어렵던데...뒤로 갈수록 재밌긴 하더만요^^

딸기 2005-01-03 2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의 왼갖 어려운 화두들은 그냥 잊어버리기로 했습니다. ^^

urblue 2005-01-03 2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몇 년 전부터 들었다 놨다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언제쯤 읽게 되려나. 하여간 땡스투!

딸기 2005-01-03 2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어요, 진짜예요! 읽어보세요 블루님.

하이드 2005-01-04 1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시 읽어봐야 하나 심각하게 고려중입니다. 그러니깐, 진짜 재미있다는 부분에서 말이지요. 방드르디에서 맡으신 죽음의 냄새라는거는 잘 모르겠지만, 첫번째로 로빈슨 크루소의 문명, 방드르디의 자연. 그리고 로빈슨 크루소의 체계, 방드르디의 카오스. 세번째로 로빈슨 크루소의 파괴, 방드르디의 자연적 치유 이런거 생각하면서 읽기는 했지요( 수업시간에 배운게 저절로 생각나서 짜증나는) 혼자임에 몸부림치는 로빈슨 크루소가 귀여워질지경이었다는건! 동의하기 힘듭니다! 핵전쟁으로 산 속에 소와 고양이와 고립된 여자의 이야기를 쓴 독일작가의 책을 읽어본 적이 있습니다. 방드르디는 없었지만, 문명도 얼마든지 자연에 화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책이었어요. ( 미야자키 하야오가 그런 걸 만화로 만들어주면 좋으련만)

바람구두 2005-01-04 1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잡생각없이 읽으면 더 재미있는데... 흐흐.

딸기 2005-01-04 2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이드님, 저는 오히려 저 책에서, 그런 이분법을 무너뜨렸다는 것이 인상적이었거든요. 로빈슨이 섬과 하나가 되는 체험을 하고, 방드르디에게도 나름의 질서가 있다는 식으로요. 방드르디의 파괴(염소를 죽이는 행위)가 곧 창조(염소를 연/악기로 만드는 행위)로 이어지고, 섬과 하나가 된 로빈슨이 결국 문명을 거부하는 식으로요.

미야자키 하야오는, 오랜옛날 '나우시카'와 그 다음 '모노노케 히메'에서는 그런 걸 보여주는 것 같았는데... 요즘 들어서는 어쩐지 '아니올시다'라는 생각이 많이 들고요. '하울~'은 아직 못봐서 잘 모르겠지만요.

구두님, 흐흐...

바람구두 2005-01-05 0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미야자키 하야오는 원령공주 까지의 세계에서 그가 보여줄 만한 것들은 거의 다 보여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센과 치히로와 하울의 움직이는 성은 일종의 바리에이션으로 보아야겠지요. 흠흠.... 천재가 나이먹으면 스타일만 남는 법이니까.

딸기 2005-01-05 1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의.

딸기 2005-01-05 18: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투르니에 할아버지 취향이 원래 좀 엽기적이어서... 그런 것 아닐까요. 히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