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니스 모어 댄 나잇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3-7 RHK 형사 해리 보슈 시리즈 7
마이클 코넬리 지음, 김승욱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올해 서울국제도서전에서 우연히 사게 된 [블랙 에코]를 통해 그 이후 마이클 코넬리를 읽고 있는데 모든 책을 읽을 생각은 아닌지라 서가에서 책을 고를 때 무척 고민을 많이 한다. [블랙 에코]와 [콘크리트 블론드]에서 해리보슈의 매력에 퐁당 빠졌고, [블러드 워크]에서 매케일렙을 처음 알게 되었으니 그 둘이 만난 [다크니스 모어 댄 나잇]을 보는 순간 읽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근데 왜 이렇게 제목이 길지? 이건 뭔 뜻일까? 밤에 사건이 일어난다는 건가????? 알고보니 이 제목은 레이몬드 챈들러의 소설에서 따온 말이라고 한다. "거리가 어두운 것은 밤보다 더한 어떤 것이 있기 때문이었다."라는 문장. 그 말을 쓴 챈들러도, 그것을 제목으로 둔 코넬리도 참....^^

 

해리 보슈는 데이비드 스토리 사건의 재판 중이고, 매케일렙은 제이 윈스턴의 부탁으로 에드워드 건의 사건 프로파일을 작성 중이다. 일전에 에드워드 건의 사건을 맡은 적이 있는 해리 보슈의 조언을 구하기도 하지만 프로파일 작성 중에 건의 사건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히에로니무스 보슈라는 화가를 알게 된다. 그리고 그 이름은 해리 보슈의 본명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범인은 해리 보슈? 이 책 이후에도 해리 보슈 시리즈가 쭉쭉 나왔으니 해리가 범인이라고 생각하는 독자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 그는 함정에 빠진 것이고, 안타깝게도 그를 함정에 빠트린 결정적인 사람이 매케일렙이 된다. 이 두 사람은 이 난관을 어떻게 헤쳐 나갈 것인가? 분명 그들을 방해하는 사람들이 있을텐데 말이다.

 

이 소설은 이 두 사람의 만남이라는 측면에서 무척 매력적인 작품이고 코넬리를 읽는 사람이라면 지나쳐서는 안될 작품이기는 하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긴장감이 좀 덜 생긴 작품이다. 방해꾼의 역할이 미미했다고 할까? 하지만 테리가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중에 히에로니무스 보슈라는 화가의 작

 

 

 

품과 연관을 짓는 과정은 무척 인상적이었다. 가상의 화가인가 싶었는데 알아보니 실존화가였다. 그렇다면 마이클 코넬리는 진작부터 이런 작품을 구상하면서 해리보슈를 창조했다는 말이 되는데, 대단한 작가이다! 인물들간의 망이 모든 작품 이전에 코넬리의 머릿속에서 촘촘히 다 짜있었다는 생각이 들면 대단하다고 생각하지 않기가 더 어렵다. 친절하게도 소설 뒤에 부록으로 인물 관계도를 첨부했는데 그것이 바로 코넬리의 머릿속 같아 보였다.

 

범죄 소설을 읽으면서 문장을 기억하려고 귀퉁이를 접는 경우는 잘 없는데(긴박한 상황 때문인 경우가 많다.), 이 책은 앞서 말한 긴장감이 좀 덜해서 그런지 귀퉁이를 두 군데나 접어두었다.

 

"모든 작용에는 똑같은 힘의 반작용이 작용한다. 우리가 심연을 들여다보면 심연도 우리를 들여다본다. 이런 진부한 이야기들 많잖아요. 이게 진부한 이야기가 된 건 진실이기 때문이에요. 우리가 어둠 속으로 들어가면 어둠도 우리 안으로 들어와서 자기 몫을 가져가게 돼 있어요. 어쩌면 보슈는 어둠 속에 너무 자주 들어갔던 건지도 모르죠. 그래서 길을 잃어버린 건지도." (260쪽)

 

물론 보슈에 대한 것은 오해이지만 그 앞의 말들은 인간 본성에 대한 이야기이다. 귀 기울이게 된다.

 

매케일렙은 아무 말 없이 곰곰이 생각에 잠겼다. 시냅스들이 척추를 따라 도미노처럼 불이 켜지면서 올라오는 것이 느껴졌다. 이 주차위반 딱지가 발견된 건 대단한 성과였다. 이걸로 증명할 수 있는 건 하나도 없지만, 매케일렙이 방향을 제대로 잡았음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살다보면 자신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아는 것이 증거를 손에 쥐는 것보다 나을 때가 있다. (418쪽)

 

오해가 풀리면서 느껴지는 옳은 방향. 그 촉수를 나도 갖고 싶어....

 

 

 

현재까지 해리보슈 시리즈 1, 3, 7권을 읽은 상태이다. 현재 13권까지 출간된 상태이니 그 중 또 한 권을 골라봐야 할 텐데 어떤 책을 읽게 될까, 서가 앞에 있을 때의 느낌이 참 좋다. [시인]과 [시인의 계곡]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이 되는데 그렇다면, 해리보슈 전에 [시인]을 먼저 읽는 것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