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이 나라 학생들을 똑똑하게 만드는가 - 미국을 뒤흔든 세계 교육 강국 탐사 프로젝트
아만다 리플리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즐겁게, 유익하게, 빠져서 읽은 교육서였다.

 

책은 타임지 기자가 도대체 왜 미국의 그 많은 학생들이 그 좋은 환경속에서 최상의 교육효과를 내지 못하는가에 대해 최대한 객관적일 자료와 실험, 통계 및 설문조사를 통해 결론을 내는 과정을 적은 르포르타주였다.

 

대상이 되는 나라는 피사시험이라는 국제 평가 시험에서 최고성적을 낸 핀란드와 한국, 폴란드의 각 나라에 미국의 킴, 에릭, 톰이 교환학생이 되어 각국의 교육현장에서 직접 배우고 참여하는 과정에 작가인 기자가 세세한 교육현실을 각각 비교하게된다.

 

세나라중 특히 우리나라의 현실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었는데, 성적이 최상위에 속하지만 오바마가 그토록 칭찬해 마지않던 우리나라의 학생들은 전혀 행복해 보이지 않았고 실제로 부산의 고등학교를 다녔던 에릭 또한 끝까지 수업을 못 마쳤다. 학생들의 수업은 학교보다 효율적인 학원에서의 수업으로 집중돼있었고 그 학원수업때문에 학생들은 밤 12시 1시가 귀가 시간이 되어 학교에서의 낮잠은 당연시 되고 있었다.

 

핀란드와 한국이 미국과 다른점은 어떤 분위기에서 차이가 났다. 사회 전반에서 교육을 굉장히 중요시하며 선생님들의 교육수준 또한 높고 어떤 엄격함 속의 자유로움이 스며 있는 반면 미국의 분위기는 수학문제를 푸는것보다 어떤 스포츠를 잘 하는가 같이 뭔가 산만하면서도 선생님들의 교육수준 또한 우리나라의 사설교육원정도의 과정만 치르면 선생님이 되는데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급여조건이나 복지수준또한 상당한 차이가 있었고 그 일례로 한국의  록스타강사는 최고의 교육을 받고 선생님이 되어 40억이 넘는 연봉을 받고 일하는 반면 미국의 선생님은 축구코치가 수학선생님을 하는게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어떻게 합리적인것만 쫓을꺼같은 미국이란 나라가 교육문제에 관한한 그토록 관대하고 친절하며 못하는걸 용서(?)하고 있을까? 그럼에도 세계적인 명문대학과 교육기관이 유지되는게 신기하게만 느껴졌다. 의료문제와 교육문제에 관한한 더 나은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면서도 계속적인 문제제기만 있을뿐 실제적인 행동은 찾아 볼 수가 없는게 지금의 미국 교육 현실이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짚어가며 결론에 이르는 과정에서 기자가 제시한 학교를 고르는 시작점은 단순했다. 학생들을 관찰해 수업에 집중하고 있는지, 학생들을 바쁘게 하고 시간낭비하지 않은 수업을 진행하는지, 교사의 역할을 돕는 집에서의 교사역할을 부모가 하고 있는지, 실력있는 교장이 학교를 운영하는지에 대해서이다. 실제로 위의 핀란드식 교육법이 적용되고 있는 몇몇의 학교들에선 놀라운 교육상승효과가 나타났고 지금도 이런 교육법으로 인한 문화와 제도에 반하는 힘겨운 싸움을 무릅쓰고 있는 곳이 많았다.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의 현실도 생각하게 했지만 미국의 교육현실과 문제점을 이야기하는 식이었기때문에 실제적인 대입은 하기 어려웠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교육 또한 지나친 사교육으로의 치우침과 공교육의 효율성, 대학교육 이상에서의 교육 또한 짚어 볼 문제로 생각되었다. 꼭 세계적인 평가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야지 좋은 교육을 하는것인가에는 고개가 갸우뚱해지지만 좋은교육 안에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고도의 능력을 기르는것이 꼭 포함되어야 하는게 사실이니까 지금의 현실을 조금씩 바꿔 자유로우면서도 능력을 키우는 앞으로의 우리나라 교육현장을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