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의 귓속말 - 마음을 두드리는 감성 언어
김기연 지음 / 어바웃어북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날에는 흐르는 눈물을 방치해도 괜찮다.

당신을 소독하는 중이니까.....

요즘은 잔잔하면서도 감성적인 글들이 마음에 와 닿는다.

그래서 카피라이터들의 글들을 읽는것을 좋아한다.

단어의 귓속말 작가는 카피라이터이자 캘리그라퍼이라고 한다.

정말 내가 원하지만 절대 할수없는 그들의 직업에 매력을 느낀다.

그런 작가는 일상의 단어에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보는 시선이나 느낌이 아닌

다른 시선과 느낌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늘 사용하고 보는 단어를 표현한다.

그리고 감성적인 글들과 함께 사진도 곳곳에서 보여서인지 더 좋은거 같다.

단어의 귓속말이라는것처럼 정말 단어를 속삭여주고 기억을 하고 싶게 만들기도 하고

내가 생각했던 단어들의 뜻이 아닌 다른 의미로 알수 있는것이 새로웠다.

눈물이라는 단어로 시작하는 책은 눈물을 다시 생각하게 했고

우리가 살아가면서 일상속에서 만나는 단어들이 새로운 단어로 다가오는것이

한권의 책을 통해서 많은 글들이 가슴에, 머리에 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너무나도 배워보고 싶고 하고 싶었던 캘리그라피로 단어를 표현한다는것이

이렇게 멋질수 있구나 하는 것을 알게 되어서 좋았다.

글들을 읽을수록 내가 정말 글을 잘 못쓰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난 창의적이지 않은 성격을 가지고 글을 잘 쓰지 못해서인지

글을 잘 쓰고 창의적이고 자신의 생각을 잘 표현할수 있는 그들의 실력이

너무 부럽기도 하고 나도 저런 능력을 갖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만들었다.

 

" 어디에 뿌리를 내리든 탓하지 않고 묵묵히 깊어지고, 높아지고, 펼쳐진다.

그것이 생을 부여받은 존재의 마땅한 태도라는 듯이

그렇지 않고서야 뿌리로 세상을 힘껏 부둥켜안을 리 없다.

나무는 삶이 힘껏 안는 일인줄 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가는 힘
앨리스 호프만 지음, 최원준 옮김 / 부드러운말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처음에 어떤 내용인지 모르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살아가는 힘...이라는 제목이 살아가는 방법이나 용기를 알려줄것 같았기 때문에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읽기 시작했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은후 그 사람을 떠나보내고 우리는 잘 살수 있을까?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은 우리에게 참 힘들고 살아가기 힘든 고통일것이다.

그만큼의 충격일것이다. 그 경험을 통해 작가는 살아가는 힘에 대해 이야기한다.

작가인 앨리스 호프먼도 죽음을 가까이 했기에

이글에서 진심이 느껴지는것이 아닐까 하는생각을 하게 되었다.

작가는 갑작스럽게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어린 두 아들의 엄마이고 아픈엄마이고 갑작스러운 병의 진단으로

그녀는 혼란을 겪을 것이다.

여자이면서 엄마이면서 딸이고...여러 누군가에게 사랑이고 힘이될수 있는 존재

그런 존재인 내가 죽을수도 있다는 것을 느끼고 어떻게 할수 있을까?

그런 작가는 스스로에게 편지를 쓰기 시작하고

자신이 병에 걸렸다는 것을 알았을때 느낌과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때의 감정,

그리고 가장 듣고 싶은말이 무엇인지... 많은것을 알게 된다.

나를 돌아보면서 만약 나에게 갑작스럽게 불행이 다가왔을때 어째야할지

무슨생각을 하고 뭘 먼저 해야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세상을 살아가는 동안 죽음도 삶과 함께 생각을 해서 인지...

그후에 있을 일에 대해 생각을 해 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나 자신을 한번 더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가는 힘
앨리스 호프만 지음, 최원준 옮김 / 부드러운말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처음에 어떤 내용인지 모르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살아가는 힘...이라는 제목이 살아가는 방법이나 용기를 알려줄것 같았기 때문에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읽기 시작했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은후 그 사람을 떠나보내고 우리는 잘 살수 있을까?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은 우리에게 참 힘들고 살아가기 힘든 고통일것이다.

그만큼의 충격일것이다. 그 경험을 통해 작가는 살아가는 힘에 대해 이야기한다.

작가인 앨리스 호프먼도 죽음을 가까이 했기에

이글에서 진심이 느껴지는것이 아닐까 하는생각을 하게 되었다.

작가는 갑작스럽게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어린 두 아들의 엄마이고 아픈엄마이고 갑작스러운 병의 진단으로

그녀는 혼란을 겪을 것이다.

여자이면서 엄마이면서 딸이고...여러 누군가에게 사랑이고 힘이될수 있는 존재

그런 존재인 내가 죽을수도 있다는 것을 느끼고 어떻게 할수 있을까?

그런 작가는 스스로에게 편지를 쓰기 시작하고

자신이 병에 걸렸다는 것을 알았을때 느낌과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때의 감정,

그리고 가장 듣고 싶은말이 무엇인지... 많은것을 알게 된다.

나를 돌아보면서 만약 나에게 갑작스럽게 불행이 다가왔을때 어째야할지

무슨생각을 하고 뭘 먼저 해야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세상을 살아가는 동안 죽음도 삶과 함께 생각을 해서 인지...

그후에 있을 일에 대해 생각을 해 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나 자신을 한번 더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주에서 혼돌내낭 - 살이와 여행 사이
김윤양 글.사진 / 네시간 / 2015년 7월
평점 :
품절


제주도하면 너무나 좋은곳,

그곳에 가서 살아보고 싶다고 생각하는 그런곳이다.

이책만 읽어도 정말 가서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곳이다.

한달이라는 시간을 제주도에서 살면서 가족의 중요성과

사랑을 이야기하고 제주도의 멋진 모습을 보이는 책이기도 하다.

너무나 바쁘게 힘들게 살아가던 일만하던 부부가

아이들에게 미안하다는 생각을 하면서 사는 엄마인 작가가

10년만에 찾은 휴가를 그냥 휴가가 아닌 사는 시간속으로 포함해

제주를 여행하면서 살아가면서 느낀것들을 쓴 책이다.

너무나 깨끗한 바다와 숲, 맛있는 음식들,

제주도에서 느낄수 있는 여러가지 체험들의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아이가 있는 나로서는 지금 책에서 보이는 이모든 풍경과

이 모든 이야기와 체험들이 너무도 간절하게 느껴진다.

그냥 관광지로서 유명한, 휴양을 할수 있는, 쉴수 있는 그곳인 제주도

그곳을 여행하는 나름의 좋은 방법을 알려준다.

관광객으로서의 이야기가 아닌 그곳에 사는 현지인으로서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아이와의 행복한 한때를 사진으로

보여주는것도 부러움을 자아낸다.

바다와 모래사장에서 아이의 한없이 밝고 예쁜 미소를 보면서

나도 엄마이기에 아이의 깨끗하고

티없는 미소를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그래서인지 사진만으로도 이책은 너무나 가고 싶은 곳이 된다.

힘든 도시생활과 늘 같은 일의 반복인 생활이 아닌

자연을 친구삼아, 자연과 함께 보내는 자유로운 시간을

느낄수 있는 그들의 삶이

그리고 작가의 아이들의 시간이 너무나 부럽게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는 아이의 사춘기가 두렵다 - 십대 아이와 이대로 멀어질까 두려운 부모에게
조덕형 지음 / 경향BP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을 읽기에 아직은 아이가 어린나이이지만

나도 조금 시간이 지나면 사춘기 아이를 가지게 되는 엄마여서

이책을 미리 읽어보고 사춘기 아이의 생각을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는 사춘기 아이를 두고 킹메이커 연구소의 소장이다.

아이에게는 친구이자 상담선생님이기도 하다.

그렇게 사춘기 아이를 둔 부모들을 위해 저자는 말한다.

" 그건 오산입니다. 아이는 부모와 또 다른 존재입니다.

아이에게서 부모가 먼저 독립하세요. " 라고 말이다.

아마도 엄마라면 누구나 생각을 하고 있지만

잘 되지 않는것 중에 하나일것이다.

내아이의 사춘기가 조금이라도 문제없이 잘 넘어가기를 바라는

엄마들은 많을것이다.

나도 그런 엄마들 중에 한사람이다.

벌써부터 걱정이다. 두렵다. 아이의 사춘기... 라는 생각이 든다.

사춘기라는 이름을 가지고 부모에게 벽을 쌓는 아이에게 다가가는 방법이

너무 궁금해 이책을 읽고 싶었고 읽게 되었다.

요즘 아이들은 사춘기가 빨리온다고들 한다.

그리고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중2병이라고 그때의 아이는 정말 무섭다.

아직 내 아이의 사춘기, 중2병은 오지 않았지만

난 벌써부터 주위의 모습을 보면서 불안해 하고 있다.

우리가 자랄때만 해도 사춘기는 그냥 넘어갔는데...

요즘은 그렇지 않은거 같기도 하다.

책을 읽으면서 그래 나도 이랬지? 내 아이도 이렇겠지? 하고

생각하고 느끼고 내 마음을 알아주는 것 같은 든든함도 느끼게 되었다.

아이에 관한 책들은 어렵기도 하고 지루하기도 한 책들이 많은데

이책은 시작부터 끝까지 공감을 형성하고 재미있기도 했다.

아이와 나는 다른 사람이라는것부터 기억속에 넣고

천천히 아이로 부터 나 자신이 독립을 시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