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분노하지 않는가]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왜 분노하지 않는가 - 2048, 공존을 위한 21세기 인권운동
존 커크 보이드 지음, 최선영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좋은 말들로 가득한 책이 읽기에 거북하기도 하다. 이 책, 아니 하나의 팜플렛이라고 불러야 할까,은 하나의 선동서다. 그렇다고 과격한 선동은 아니다. 책이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매우 단순하다. 1948년 발표된 세계인권선언의 100주년이 되는 2048년에 선언을 더 구속력있는 세계인권'조약'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이를 위한 움직임은 저자가 속한 버클리 대학에서 이미 추진되고 있다. 그리고 강요하지는 않지만 이 운동이 성공하도록 20.48 달러를 기부할 것도 요청하고 있다(대가로 이 책과 머그컵 한 잔을 주겠다고 한다). 


인권의 중요성은 상식적인 선에서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은 교수가 쓴 글이라고 보기엔 구체적 설명이 매우 부족하다. 이는 이 책이 자세한 설명보다는 자신들의 프로젝트가 진행중인 웹사이트에 가서 의견을 올리고 토의하자는 하나의 가이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웹사이트에선 어떤 토의들이 일어나고 있을까, 차마 그것까지 확인하고 싶은 의욕도 생기지 않는다. 세계인권조약은 세계 '조약'이기에 세계의 모든 국가들에서 조인되어야 한다. 모든 국가들의 의견이 그 웹사이트에 반영되어 최종 조약문에 포함될 수 있을까? 어떤 언어로 소통할 것인가? 강대국들은 항상 그렇듯 자신들만의 규약을 보편의 규약처럼 간주하여 강요할 것인가?


이 책, 그리고 이 운동의 가장 큰 모순은 사회가 국가를 간단히 규율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그러면서 조약을 맺자고 한다. 조약은 국가가 주체가 되어야 하고 국가가 그 조약이 정확히 실행되도록 이해갈등을 조정하고 강제력을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책은 국가, 정부의 이해관계, 그것들이 짠 구조 쯤은 세계인의 보편 지성으로 간단히 초월할 수 있다고 믿는 듯 하다. 그렇게 약화된 국가에서 어떤 강제력을 발휘할 수 있을까. 설마 40년 후면 세계 모든 사람들이 같은 생각을 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일까?


48년까지는 앞으로 40년도 남지 않았다. 물론 나도 저자가 2048년에 자신이 꿈꾸는 멋진 세상이 완성되리라고 믿는 순진한 사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아마 그 이후 2148년에라도 그 이상이 이루어진다면 기뻐하리라. 하지만 이 책만 보고서는 어떻게 그게 가능한지 알 수 없다. 


이 책이 이번 달의 리뷰 도서로 선정된 것은 의외였다. '침묵의 봄'은 워낙 유명한 책이라 유익한 면이 있겠으나 이런 종류의 책에서 실질적인 무언가를 얻는다는 것은 언제나 난망한 일이다. 


책은 어렵겠지만 일단 꿈을 꿔야 추진해보지 않겠는가, 시도라도 하다보면 뭐가 되지 않겠냐고 하는데 그렇게 나온 결과물이 어떨지는 회의적이다. 세계인권선언이 발표된 이후 지금까지 일정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여전히 그 선언(불과 50여개국이 참여했던)에도 불구하고 선언에 반하는 일은 비일비재하다. 어떤 형식으로건 2048년에 세계인권조약이 발효되더라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지켜지는 곳도 있지만 큰 변화는 없을 것이다. 


언론에서 이 책의 리뷰는 별로 찾아볼 수 없다. 예상대로 중앙일보에서는 계열사의 책이니만큼 내실은 없지만 리뷰를 하나 냈고, 미디어오늘에서는 책을 비판하는 것에 가까운 리뷰를 냈다. 언론의 자유는 이 책에서 첫째로 꼽는 자유인데 거대 언론사의 출판사에서 이런 류의 책을 냈다는 것은 아이러니다. 미디어오늘 리뷰는 변죽 올리는 내용이 많다는 단점이 있지만 한국에서 인권 운동의 한계를 지적한 면은 읽을 만했다.  


책을 사려고 생각하시는 분은 우선 이들의 근거지인 2048.berkeley.edu를 방문해볼 것을 권한다. 무엇이 나오는가. 아무 내용도 없다! 일시적인 정지 상태인지 알 수 없으나 이 프로젝트의 현실성 자체가 이미 의문에 빠진 것은 아닐까. 위의 주소 앞에 www를 붙이면 어떻게 되는가 하면 그냥 버클리 법대 메인 페이지가 뜬다. 


왜 분노하지 않냐고? 나는 분노한다. 이 허무함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