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의 탄생]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인민의 탄생
송호근 지음 / 민음사 / 2011년 11월
평점 :
서울대 사회대의 송호근 교수님이 나름 야심작이자 역작을 내려고 하신 것 같다. 이 책의 계획은 거대하다. 그래서 이 한 권의 책에서 모든 이야기를 하지 못 하고 후속 연구에서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언급이 여러번 나온다. 어찌 보면 미완의 책이라는 말이기도 한데,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기존의 논의와 조금 다르기 때문에 불가피한 면이 있다 하겠다.
그럼 이 책은 무슨 말을 하는 것인가. 사실 제목은 많은 오해를 불러 일으킬 소지가 있다. 인민? 한반도의 북쪽에 있는 같은 민족의 이질적인 국가가 인민이라는 말을 자주 쓰다보니 남쪽에서 이 단어를 쓰는 것은 상당히 부담스러운 일이 되었다. 하지만 인민공화국의 인민을 말하는 건 아니다. 그렇다고 단순히 사람을 의미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인민도 아니다. 책에서 대척점으로 세운 조선 왕조의 입장에서의 '적자'로서의 인민도 아니다. 이 책은 '근대 인민'을 말하고 있다. '근대 인민'이 어떻게 탄생했는지를 분석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이 책의 논의와 관련된 학문적 글들을 읽었던 입장에서 보자면 송교수님의 노고에도 불구하고 책의 논지 전개에는 허점이 있다. 책의 틀은 성리학으로 빽빽하게 짜여진 지식국가였던 조선이 정조가 사망하며 시작된 19세기에 결정적으로 허술해졌고 그 틈을 타고 우연히 근대적이라 부를 수 있는 사회구조가 형성되고 근대 인민이 등장했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조선을 성리학의 지식국가로 파악한 것은 독창적이지는 않지만 적절한 지적이다. 하지만 그 사회의 틀이 붕괴된 시점을 19세기 혹은 18세기로 봐야하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의 소지가 많다. 특히 송교수님이 18, 9세기 이전을 '중세'라고 지칭하고 있어 더욱 문제적이다. 한국사 시대 구분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은 주제인데 '중세'라는 시대를 한국사에 대입하는 것은 아무래도 어색하다. 조선 시대 대부분이 중세란 말인가. 조선의 균열의 시점은 왜란, 호란으로 인한 격변의 시대부터는 아니었을까? 책에서 말하는 근대 인민이 17세기에 등장하기는 어려웠을지 몰라도 사회적 변화의 시점을 고려할 때 더 앞당겨 잡아야했어야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그리고 19세기에 조선 사회의 농업 생산성이 늘고 인구가 증가했다는 서술은 경제사학에서는 반대의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어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내가 가장 의문을 제기한 부분은 위의 내용이지만 책의 구상과 전개에 있어 동의할 수 있는 부분은 매우 많다. 성리학으로 짜여진 조선의 '지식 권력' 사회가 세도 정치 이후 지식과 권력이 분리되며 깨졌다는 사회 구조적 설명은 기존의 학계에서 많이 하던 말은 아닌 것 같아 이 책이 크게 기여한 부분일 것이다.
공론장과 담론을 주요 개념틀로 채택했기에 놀랍지 않으나 훈민정음의 의미를 핵심적으로 다른 것도 적절했다. 요즘 반쯤 봤던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에서는 성리학적 정치를 두고 밀본과 세종이 갈등하는 것처럼 나오는데 이 책은 세종이야말로 성리학을 뿌리내리게 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기술한다. 한글의 정치, 사회적 의미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더 나와야 하고 많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천주교의 의미를 매우 적극적으로 해석한 대목이다. 이는 조선의 통치구조를 종교, 향촌 질서, 교육 혹은 종교, 정치, 지식의 세 가지 기제로 설명하여 성리학의 종교적 성격을 매우 강조한데 따른 논리적 산물로 보이는데 그럼에도 천주교가 한국 근대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연구가 놀랄 정도로 적은 걸 감안하면 송교수님의 시도는 꽤 의미가 있다.
본격적으로 사회과학을 시작한 세대의 학자로서의 책임감과 기존의 근대 연구들이 '미시사적'이고 '목적론적'이었다는 비판 의식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초기 단계이기에 갈 길이 멀다. 아마 제대로 된 평가를 위해서는 이어질 2권 혹은 3권을 확인해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새로운 시각을 던짐으로써 기존의 한국 근대사 연구에 파장을 일으킬 것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이 책을 잘 읽고 제대로 비판해주는 것이 독자들, 그리고 연구자들의 남겨진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