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 - 일중독 미국 변호사의 유럽 복지사회 체험기
토머스 게이건 지음, 한상연 옮김 / 부키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이리뷰가 당연히 주관적이지만 책은 기대 이상이었다.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자신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생생한 이야기라는 점이다. 미국이 못 살 곳이고 유럽이 살기 좋더라라고 말하기는 쉽다. 물론 최근 유로존 위기를 보면 유럽이 정말 살기 좋은지 의문이 생길 수도 있지만 적어도 저자는 '독일'은 괜찮다는 주장이니 과히 틀리지는 않을 것 같다.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미국과 독일의 산업 구조를 토대로 이야기를 풀어나간 점이다. 독일에서는 제조업이 여전히 산업의 근간인데 육체적으로 고될 것 같은 이 제조업 덕분에 오히려 유럽 사람들은 긴 휴가를 가질 수 있다고 한다. 제조업이기 때문에 노동력이 중요하고, 그래서 노동자들이 회사의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 반면 미국이 1인당 GDP가 유럽보다 높을지 몰라도 평균적으로 보면 소득의 불균형이 극심하고 대다수의 인구는 저임금으로 높은 노동 강도를 견뎌야 한다. 미국의 GDP는 쓸데없이 높은데 왜냐하면 일하느라 지친 사람들이 소비로서 억눌린 욕구를 풀기 때문이다. 

 

이런 설명에서 저자는 민주주의 시민으로서의 역량에서 양국이 큰 차이를 보인다고까지 설명한다. 일상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직장 생활에서부터 이미 참여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경험을 하는 독일인에 비해 미국인들은 언제 해고될지 몰라 전전긍긍할 따름이라는 것이다. 


산업구조의 차이뿐 아니라 독서 생활도 양국의 큰 차이다. 미국이 자극적인 TV쇼와 글씨가 적은 신문, 잡지에 낄낄대는 반면 독일은 실제로 사람들끼리 만나서 진지하게 대화하고, 신문은 글씨가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페이지수도 많다. 경영자들도 철학 책을 가까이에 두고 읽는다. 


미국도 독일도 가본 적이 없는 나로서는 책의 내용이 얼마나 진실된 것인지 판단할 수 없다. 그러나 상당히 그럴 듯 하다고 이해할 수 있다. 더구나 미국적 삶이 많이 침투한 한국 사회를 생각하면 책이 주는 함의는 매우 실용적이고 실천적이기까지하다. 경영인, 사주, 재벌 언론에게 장악된 한국 사회의 현 구조가 지속된다면 사회의 불평등과 비민주성은 구조적으로 더욱 공고해질 것이다. 독일의 사회민주주의가 부럽더라도 한국에 적합한 길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미국적 신자유주의의 병리를 치유하기 위한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