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 우리 소풍 간다
백민석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백민석의 첫 장편소설 <헤이, 우리 소풍 간다>는 95년도에 출간된 작품이다. 출간 당시 인하대학교 생활도서관에서 몇 페이지를 읽다 말았는데, 20년이 지나 금융파생상품 수업 시간의 지루함과 이 소설 중 어느 것이 견디기 힘든지 저울질 하던 중 선택되어 읽게 되었다.

소설은 끊임 없는 쉼표와 말줄임표, 개연성이 짐작 가지 않는 문단으로 뒤섞여 있고 현실과 환상, 그리고 현재와 과거가 끊임 없이 교차한다.

그 중 사실에 근거한 부분만을 이야기하자면 주인공 K는 현재 글쓰는 것을 업으로 하고 있고, 喜라는 여자와 우연히 만나 동거 비슷한 것을 하고 있다. K는 과거 80년 가난한 무허가촌에서 살았던 것 같다. 텔레비전에서 미국과 일본 만화가 컬러로 방영되기 시작한 때라서 동네 친구들은 각각 만화 주인공 이름을 딴, 딱따구리, 새리, 일곱난장이, 뽀빠이, 박스바니 따위의 별명을 갖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음악을 가르치던 안선생님에게 '고아들의 노래'라는 것을 배웠다. 동네에서 불량스러워 보이거나 정권에 불만이 있었던 사람들이 삼청교육대에 끌려간다. 돌아온 그들이 새리를 윤간한다. 그들은 자신들의 태생을 저주하고 괴물로 만들었던 데 대한 복수로 새리를 택한 것이다. 새리의 아버지는 공장을 운영했고, 공원들을 소모품 취급했다. 이 사건으로 새리는 눈이 보이지 않게 된다. 박스바니는 윤간하던 그들에게 덤벼 들다가 죽고 만다.

그들이 초등학교에 다시 모인다. 과거 동굴은 시멘트로 발라져 막혀 있었다. 막혀 있던 시멘트를 깨부수다가 학교 수위를 죽이는 사건이 벌어진다. 술에 취한채 운전하던 차가 전복되어 또 몇인가 사상자를 내고, K는 재즈 선율 속에서 뭐가 뭔지 모르는 정신 상태로 퐁텐블로와 박스바니 따위에 대해 횡설수설한다.

 

80년 광주와 군부독재의 아픈 기억에서 자생적인 사회주의 세력들이 생겨났고, 소련의 몰락과 더불어 진보 진영에 대혼란이 일어난 것이 90년대 초이다. 90년대 중반에 등단한 백민석은 이러한 혼란이 낳은 작가라고 생각된다. 문체는 불안정하고(어떤 평론가는 실험이라 평하지만), 폭력의 다양한 층위들이 구분되지 못하고 남용되고 있다. <시계태엽 오렌지>에서 알렉스들이 코로바 밀크바에 들렀다가 닥치는 대로 강간하고 폭력을 휘두르는 분위기가 소설 전반에 걸쳐 계속된다. 백민석은 폭력에 의한 상처가 어떻게 치유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함구한다. 다만 폭력이 남긴 상흔이 어떻게 재생되고 반복되는지 이야기할 뿐이다. 이러한 백민석의 경향은 <목화밭 엽기전>에서도 확인된다.

 

http://blog.naver.com/rainsky94/2201878999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