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주 평전
강대석 지음 / 한얼미디어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시인 김남주는 1946년 10월 16일 전남 해남군에서 태어나 명문 광주제일고등학교에 입학하나, 입시 위주 교육에 반발해 이듬해 자퇴한다. 

1969년 24세의 나이로 검정고시를 거쳐 전남대학교 영문과에 입학한다. 그가 영문과에 입학한 이유는 영어로 번역된 진보적인 책들을 보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1972년 27세에 친구 이강과 함께 지하신문 <함성>을,  1973년에 <고발>지를 제작하며 반유신투쟁에 나선 후 도피 중 검거되어 반공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는다. 대학에서는 제적된다.

고향에 내려온 후 <창작과 비평> 여름호에 <진혼가><잿더미> 등 7편의 시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하는 한편 사회과학 서점 <카프카>를 개점한다. 서점은 경영이 잘 되지 않아 망한다.

1977년 32세에 해남농민회를 결성하고 황석영, 최권행과 함께 민중문화 연구소를 개설한다.

1978년에는 상경하여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준비위원회에 가입하고, 조직 내 별동대인 '혜성대' 맴버가 되어 동아건설 사장 집을 털려 하였지만 실패한다.

1979년 34세에 남민전 조직원으로 활동 중 검거되어 15년을 선고받는다. 1984년 첫 시집인 <진혼가>, 1987년 제2시집 <나의 칼 나의 피>, 1988년 제3시집 <조국은 하나다> 출간.

1988년 12월 21일 형집행정지로 투옥생활 9년 3개월만에 출감한 후 옥바라지를 해준 박광숙씨와 44세의 나이로 결혼한다. 제4시집 <솔직히 말하자> 출간.

1991년 제5시집 <사상의 거처>, 1992년 제6시집<이 좋은 세상에>가 출간된다.

1994년 2월 13일 49세의 나이에 췌장암으로 사망한다.

 

평전은 1부와 2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1부 <격동기의 삶>은 주로 시인 김남주의 삶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2부 <투쟁의 무기>는 저자 강대석이 바라본 김남주 시와 세계관의 해설이 씌여 있다. 

 

특히 저자는 2부에서 반제 반봉건을 바탕으로 자주, 민주, 통일을 역설하고 있는데 대학 초년생들에게 읽히기 위한 사회과학 개론서로서 손색이 없다. 

 

왜냐하면 한국의 비극은 봉건사회의 잔재를 철저히 청산하고 시민사회로 넘어 갈 수 있는 견인차가 되는 시민혁명이 없었으며...봉건사회를 완전히 청산하지 못한 채 자본주의가 외세의 강요에 의해서 우리에게 급작스럽게 주입...결국 봉건 잔재와 급조된 자본주의가 혼란스럽게 뒤섞여 있는 것이 우리의 역사적 현실이다(207p)


저자의 세계관에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소련과 소련의 해체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또는 애매한 태도), 북한에 대한 미화가 바로 그것이다. 그 이유는 소련, 중국, 북한을 국가자본주의로 바라보지 못하는 이론적 한계 때문으로 생각되는데, 책 곳곳에서 이러한 한계가 드러난다.

 

이런 의미에서 아시아의 자존심을 어느 정도 지켜주고 있는 나라가 중국이며, 아시아 최고의 자존심은 역시 북한에서 유지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275p)

 

왜 같은 조선 사람인데 북한사람들은 그렇게 순진할까? 왜 북한 여성은 세계에서도 가장 정조가 깊은 여성으로 소문이 나 있을까?(371p)

 

대학에 입학해서 처음 동아리방에 같을 때 책꽂이에 시집은 몇 권 없었는데 김남주와 박노해, 백무산이 었던 걸로 기억한다. 교과서에서 읽던 시들에 밑줄을 그어가며 주석을 달고 달달 외워 시험을 보는 것에 익숙했던 나는 <시의 길을 여는 새벽별 하나>라는 책에서 '시를 읽는 것은 사과를 먹는 것과 같다' 라는 말에 자신감을 얻어 박노해와 김남주의 시들을 읽었는데 그 시들의 파격이 나에게는 큰 충격이었다. 박노해가 구설에 오르고 김지하가 혀짧은 소리를 해대는 지금 시인 김남주가 죽는 순간까지 신념을 저버리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본다. 그리고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연상케 하는 김남주 시인의 <이 가을에 나는>을 읽으며 울컥했었던 과거의 나를 떠올려 본다.

 

이 가을에 나는

 

이 가을에 나는 푸른 옷의 수인이다

오라에 묶여 손목이 사슬에 묶여

또 다른 곳으로 끌려가는

 

어디로 가는 것일까 이번에는

전주옥일까 대전옥일까 아니면 대구옥일까

 

나를 태운 압송차가

낯익은 거리 산과 강을 끼고

들판 가운데를 달린다

 

아 내리고 싶다 여기서 차에서 내려

따가운 햇살 등에 받으며 저만큼에서

고추를 따고 있는 어머니의 밭으로 가고 싶다

아 내리고 싶다 여기서 차에서 내려

숫돌에 낫을 갈아 벼를 베고 있는 아버지의 논으로 가고 싶다

아 내리고 싶다 여기서 차에서 내려

염소에게 뿔싸움을 시키고 있는 아이들의 방죽가로 가고 싶다

 

가서 그들과 함께 나도 일하고 싶다

이 허리 이 손목에서 오라 풀고 사슬 풀고

발목이 시도록 들길 한번 나도 걷고 싶다

하늘 향해 두 팔 벌리고 논둑길 밭둑길을 내달리고 싶다

가다가 숨이 차면 아픈 다리 쉬었다 가고

가다가 목이 마르면 샘물에 갈증을 적시고

가다가 가다가 배라도 고프면

하늘로 웃자란 하얀 무를 뽑아먹고

날 저물어 지치면 귀소의 새를 따라 나도 가고 싶다 나의 집으로

 

그러나 나를 태운 압송차는 멈추지를 않는다

내를 끼고 강을 건너 땅거미가 내리는 산기슭을 돈다

저 건너 마을에서 저녁밥을 짓고 있는가 연기가 피어오르고

이 가을에 나는 푸른 옷의 수인이다

이 가을에 나는 푸른 옷의 수인이다

 

http://blog.naver.com/rainsky94/801875245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