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발 페투슈키행 열차 을유세계문학전집 36
베네딕트 예로페예프 지음, 박종소 옮김 / 을유문화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침에 누군가의 낯선 아파트 입구에서 잠을 깬 베니치카는 모스크바의 쿠르스크 역 광장으로 간다. 그는 모스크바 여러 곳을 돌아다녔지만 정작 크렘린만은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쿠르스크 역 구내 식당에서 해장술을 찾다가 쫓겨난 베니치카는 상점이 문을 열자 각종 술과 아들에게 줄 호두와 사탕을 사 들고 페투슈키행 열차에 오른다.

베니치카의 직업은 전화 케이블공으로 작업반장을 맡고 있었는데 다섯 명의 동료와 더불어 매일 술을 마시고 시카 라는 카드 놀음을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베니치카는 동료들과 자신이 마신 알코올 소비량을 그래프로 그렸는데 이 보고서가 실수로 관리국에 보내지는 바람에 쫓겨나고 만다. 그래서 그는 아들과 애인이 있는 페투슈키에 가기로 결심한 것이다.

기차가 출발하자 승강구를 들락거리면서 술을 먹고 담배를 피웠다. 그러다가 자신의 술이 없어진 것을 발견하고 미트리치 할아버지와 같은 이름의 손자, 검은 콧수염의 사내, 데카브리스트 등과 담화를 나눈다. 그들은 문학과 철학, 종교 등에 관해 이치에 닿지 않는 대화들을 나눈다. 검표원이 등장해서 그들과의 대화가 끊기지만 베니치카의 환상이 계속된다.

문득 베니치카는 기차가 페투슈키로 가는 것이 맞는지 의심이 들고, 반대로 가고 있다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그는 사탄과 스핑크스, 그림 속의 공작부인을 만나 환상 속에서 그들과 알 수 없는 대화를 주고 받는다.

베니치카는 페투슈키에 도착했다고 생각했지만 아무도 마중 나오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는다. 골목 안에서 베니치카에게 네 명의 괴한이 접근하는데 그들은 베니치카가 절대 페투슈키에 갈 수도, 쿠르스크 역으로도 갈 수 없고 '왜 갈 수 없냐'는 베니치카의 질문에 '그냥' 이라고 답할 뿐이다. 그들에게서 도망쳐 광장으로 나온 베니치카는 그곳이 페투슈키가 아니라 다름 아닌 크렘린임을 깨닫는다. 네 명의 사나이는 베니치카를 쫓아와 목을 송곳으로 찔러 죽인다.

 

내가 밥벌이를 하는 곳에서는 몇년 전 부터 생일 날 자신이 원하는 책을 선물해 준다. 그래서 1년에 한번 책을 고르는 내밀한 기쁨을 맛볼 수 있다. 선물받은 책은 특히나 애착이 간다.

2010년에는 주제 사라마구의 <도플갱어>를 받았고, 2011년에는 슈테판 츠바이크의 <발자크 평전>을 받았다. 그리고 올해는 을유문화사에서 국내 초역한 베네딕트 예로페예프의 <모스크바발 페투슈키행 열차>를 받았다.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베니치카가 네 명의 남자에게 추격 당해 살해당하는 부분을 읽다보니 예전에 EBS에서 본 영화 생각이 났고, 그 영화가 이 <모스크바발 페투슈키행 열차>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당시 마지막 장면과 해설만을 별로 집중하지 않고 봤는데 카프카 얘기가 자주 나와서 나는 그 영화가 카프카의 작품을 영화화 한 것인 줄로만 알았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니 당시 내가 얼핏 보았던 영화가 독일에서 제작된 <모스크바발 페투슈키행 열차>가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소설은 카프카의 <성>과 같이 닿을 수 없는 <페투슈키>로 가는 여정이다. 페투슈키는 애인과 아이가 있고 자신이 돌아가 안식을 얻을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베니치카는 2시간 30분 남짓한 페투슈키에 도달할 수 없을 것만 같다. 역들을 거쳐가면서 거듭 의심이 들고, 거꾸로 가고 있다는 착각이 들었으며, 급기야 도착한 페투슈키에 아무도 마중 나와 있지 않았을 뿐 아니라 알고 보니 그곳은 크렘린이었다.

페투슈키로 가는 부조리한 여정에 알코올 중독자의 중언부언과 환상이 결합하고 성서적 알레고리가 곳곳에 배치되어 있어 작품 자체가 난해하고 모호한 면이 많다. <작가의알림>을 보면 초판이 단 한부였던 덕에 빠르게 다 팔려 나가고 말았다고 한다.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품이 당의 공식적인 문학이었기 때문에 이 작품은 사미즈다트(자기출판,지하출판)를 할 수밖에 없었다. 사미즈다트는 작가가 직접 타이핑한 작품 한 부를 지인들에게 돌려 읽히면 읽은 사람은 한 부 더 타이핑 하는 식으로 보급되는데 이런 방식으로 서방 세계에까지 전파되어 프랑스와 독일에서 먼저 정식 출간이 되었고, 소련에서는 1989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출판이 되었다.

예로페예프는 브레즈네프 체제에 대해 풍자를 했다고 하는데, 이 대목에서 예전에 읽었던 <러시아 혁명사>가 생각이 났다. 내가 읽었던 <러시아 혁명사>가 다름아닌 브레즈네프가 쓴 <소련 공산당사>였고, 3권 후반에 접어 들면서는 이것이 역사인지 신화인지 알 수 없을 정도의 이야기가 펼쳐져 4~5권은 '그 사회를 미화한다면 이럴 것이다' 하는 수준으로 참고만 했던 기억이 난다.

어쨌든 <모스크바발 페투슈키행 열차>의 다양한 해석 가능성은 좋은 평을 받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그만큼 작품이 산만하다는 평도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내가 받은 느낌은 산만하다는 느낌이었다. 물론, 그런 평을 내린 이유에는 예로페예프가 거부했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쪽이 내 정서에 더 맞다는 이유도 있다.

 

선물로 받은 책들을 꺼내 보니 매년 생일 선물을 준 청장님이 바뀌었다. 나는 그 자리에 그대로 있다. 가능하다면 오랫 동안 밥을 벌어 먹고, 책을 읽을 수 있으면 좋겠다.

 

http://blog.naver.com/rainsky94/801552821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