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만인을 기다리며
존 쿳시 지음, 왕은철 옮김 / 들녘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변방의 치안판사인 주인공 '나'는 30년간 평화롭게 도시 행정에 종사해 왔다. 어느날 검은 안경을 쓴 죨 대령이 야만인들의 위협으로부터 도시를 지키기 위해 정보부로부터 파견되어 오는데 그는 죄수들을 심문하여 진실을 알아낼 수 있다고 자신한다. 야만인과는 아무 관련도 없는 두 명의 죄수가 죨 대령에게 심문을 받은 날, 노인은 사망하고 소년의 몸에는 백여개의 칼자국이 남는다. '나'는 그들이 고문당했음을 알지만 진실을 마주 보는데 일말의 주저를 느낀다. 죨 대령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어부임에 분명한 사람들을 잡아와 가둔다. 그들은 단지 먹을 것이 있다는 이유로 갖혀 지내면서도 만족하고 그들을 동정하던 도시인들은 그들을 백안시한다. 그들은 군인들에 의해 고문당하고 '나'는 죨 대령의 처사에 분개하지만 그에게 대적하지는 못한다.

어느날 동냥을 하는 눈먼 소녀를 발견한 '나'는 그녀가 고문으로 인해 그렇게 되었음을 알고, 그녀를 '나'의 방으로 데려가 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매일 밤 고문을 당해 부러졌던 다리를 씻겨주고 마사지를 해주지만 정작 그녀에게 언뜻 느끼는 성욕을 표현할 수는 없다. 그는 창녀를 통해서 여자를 느끼고 소녀 곁에 돌아와 눕는다.

그녀를 원래 살던 곳으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은 '나'는 일단의 무리를 이끌고 사막을 가로지르는 여행 끝에 야만인들을 만난다. '나'는 그녀에게 원한다면 그들에게 되돌아가도 좋지만 다시 '나'와 함께 도시로 돌아가길 원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녀는 자신이 왜 그래야 하느냐며 야만인들과 함께 떠나고 도시로 되돌아온 나는 반역죄로 감옥에 갖힌다.

갖힌 곳에서 한동안은 의연한 자세로 자신의 결백을 주장할 수 있음을 믿지만, 고문과 굶주림이 반복됨에 따라 동물적인 본능에 자신의 존엄성이 잠식당함을 느낀다. 그는 폐인과 같이 되어 더 이상 군인들은 그를 가두어 두지도 않는다. 군인들이 야만인들의 볼에 철사를 꿰어 잡아와 벌거벗은 그들의 몸에 회초리질을 하고 망치로 살해하려는 것을 본 '나'는, 자신의 신체가 심각한 훼손을 당해 도저히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음을 알면서도 안된다고 외친다. 그리고 그러한 잔인한 짓을 사람들에게 보여줌으로서 사람들을 타락시키고 있다고 외치고, 그 결과 나무에 목이 메달리고 날개꺽기를 당한다.

계속 그들의 계엄상태가 계속될 것만 같았던 도시에 어느날부터 군인들이 철수하기 시작하고 군인들이 야만인들에 의해 전멸당했다거나, 야만인들이 다른 도시를 점령하여 그곳으로 이동하고 있다거나 하는 소문들만 무성하다. 사람들은 변방을 떠나고 있고 나 역시 떠나야하는지 생각한다. 죨 대령은 초라한 모습으로 도시로 귀환했다가 시민들에게 돌 세례를 받으며 도망간다. '나'는 제국이 평화로운 시기에는 '나'와 같은 행정관을, 제국이 위태로운 시기에는 죨 대령과 같은 군인을 내세울 뿐 근본적으로 '나'와 죨 대령은 다를바가 없다고 생각한다. 제국이 강요하는 것은 흥망성쇠가 있는 '역사'이지만, 사계절이 변화하고 곡식을 키우고 생활하는 삶은 역사와 무관하다고 생각한다.

 

역자 해설을 보면 소설은 콘스탄틴 카바피(C.P.Cavafy)의 시 "야만인을 기다리며(Waiting for the Barbarians)"에서 제목을 따왔다고 하는데, 이 시의 마지막 연은 다음과 같다.

 

어째서 모든 거리와 광장이 그렇게도 빨리 텅 비어지는가?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도 깊은 생각에 잠겨 다시 집으로 향하는가?

저녁이 되었어도 야만인들이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부 사람들이 변경에서 돌아왔다.

그들은 더 이상 야만인들이 없다고 말했다.

야만인들이 없다면 이제 우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그 사람들은 일종의 해결책이었다.

 

야만인들이 일종의 해결책이었다는 말은 무엇인가? 제국은 적(그것이 가상이든 실제이든)이 없으면 내부로부터 붕괴되는 구조이다. 과잉생산에 의한 공황은 제국을 끊임없이 위협하지만 이를 늦추어 줄 수 있는 특별한 상품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무기이다. 무기는 당장에 사용하지 않더라도 쌓아 둘 수가 있으며 그것은 재고가 아니다.억압과 압제라는 공통의 비전을 공유하는 실제하는 적이 있다면 금상첨화이다. 냉전시대에 무한정 늘어만 가는 무기들은 시민들에게 든든함과 안정의 이미지마저 줄 수가 있었다. 하지만 냉전이 끝나자 그들은 당황한다. 눈에 보이는 적이 없다면 이 많은 무기들은 누구에게 팔 것이며, 무기를 쌓아두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그들은 '야만인'들이 있다고 말한다. 이라크에 대규모 살상무기가 있으며 이것이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고 소리친다. 이라크에 대규모 공습을 감행하고 쌓아두었던 재래식 무기를 마구 쏟아부어 재고를 소진한다. 실제 이라크에 대규모 살상무기는 없었지만, 있었을 것 같았다는 말만으로도 전쟁범죄는 면책된다. 야만인들은 실체없는 이미지이지만 그것은 마치 전염병처럼 사람들을 휩쓸고 광기에 휩싸인 사람들에게 이성이나 논리는 반역의 다른 이름이다. 

 

문체는 간결하고 역사 인식은 날카롭다. 특정한 지역과 특정한 시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제국이 어떻게 사람들을 광기에 휩싸이게 하고 생활로부터 멀어지게하며 인간성을 파괴하는지, 읽는 내내 공감이 되는 것은 그러한 일들이 유사 이래 늘상 반복되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치안판사의 인식, 자신과 죨 대령이 다르지 않다는 인식은 작가의 소설을 매력적이게 만드는 요소이다. 그들과 다르며 그들에 대항해서 싸우는 투사가 아닌, 그들 내부의 공범자가 최소한의 양심의 소리를 내려다가 좌절하고, 그 좌절에도 불구하고 다시 목소리를 내면서 인간성의 파괴에 대항하는 '나'의 모습을 간결한 문체로 묘사하는 솜씨가 무척 인상적이었다. 또한, 눈먼소녀에게 성욕을 느끼지 못하는 '나'와, 그녀가 '나'로부터 떠나는 장면에서 통속과 예술의 경계가 무엇인지 어렴풋이 깨달은 것 같다.

 

http://blog.naver.com/rainsky94/801287743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