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 공정무역, 왜 필요할까? ㅣ 내인생의책 세더잘 시리즈 1
아드리안 쿠퍼 지음, 전국사회교사모임 옮김, 박창순 감수 / 내인생의책 / 2010년 7월
평점 :
세더잘(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시리즈 01 편인 공정무역, 왜 필요할까?
처음엔 이 책의 제목이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인줄 알았다.
시리즈를 더 강조하고 실제 제목은 조그만 주황색 동그라미 안에 <공정무역, 왜 필요할까?> 라고 씌여있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잘 모르고 있는, 혹은 잘못 알고 있는 이야기들이 참 많은가 보다.
세더잘 시리즈의 다음 이야기는 어떤 내용일지 사뭇 궁금하다.
이 책을 추천한 한국공정무역연합 대표인 박창순님은 공정무역을 스포츠에 비유하여 설명하였다.
운동경기가 우리에게 재미와 기쁨을 주는 것은 정해진 규칙대로 '페어플레이'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페어플레이를 하지 않거나 대학생 팀과 초등학생 팀이 경기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불공정한 경기 내용과 뻔한 결과 때문에 아무런 흥미도 느낄 수 없을 것입니다. 무역도 마찬가지입니다. 공정한 무역은 재미있는 운동 경기와 같겠지만, 불공정한 무역은 경제적 약자를 생존의 위기에 처하게 합니다.(6쪽)
공정무역은 사람과 지구의 지속 가능한 생존을 위해 선택할 수밖에 없는 경제생활로 운동 경기에서의 페어플레이와 같습니다.(7쪽)
얼마전 읽은 <생명을 살리는 윤리적 소비(상수리)>에서는 주로 먹을 것에 대한 공정무역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이 책은 좀 더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식품, 의류, 전자제품, 보석, 무기, 약품, 마약, 돈, 무역...)
불공정한 플레이를 벌이고 있는 거대기업이나 강대국에 맞서 애쓰는 많은 단체들의 이야기를 읽으며 세상이 과연 달라질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공정무역이 무엇인지, 착한 소비가 어떤 것인지 잘 알고 있는 나부터도 실제로 마트에 가면 1+1 제품이나 50%세일 이라는 문구를 보면 나도 모르게 저절로 손을 뻗게 된다. 그 순간 아프리카에서 카카오 열매를 따느냐고 고통받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은 온데 간데 없이 내 뇌리에서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오로지 얄팍한 내 지갑만 눈에 들어오는 것이다.
책의 말미에 공정무역은 비현실적일까? 틈새시장에 불과할까? 실제로 그들에게 도움이 되긴 하는 걸까? 하는 공정무역 회의론을 주장하는 내용들도 실려있다.
난 이렇게 생각한다. 지금 단 돈 만원도 가난한 사람들에게 기부를 하지 않는 사람들이 그 기부금이 제대로 쓰여지는지가 염려되어 기부를 할 수 없다는 것과 다를바 없다고 생각한다. 내가 지금 공정무역 마크 찍힌 초콜릿 하나 산다고 세상이 달라지겠냐고 말하지 말고 그냥 사자. 하루아침에 달라지는 건 없기에 나부터 달라져야 한다.
비록 공정무역 제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하룻밤 사이에 가난한 나라의 수준을 부자 나라의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는 없겠지요. 하지만, 이런 인식은 세계 기업들, 정부들 그리고 국제통화기금이나 세계무역기구 같은 국제기구들이 불공정한 무역의 문제에 대해 더욱 신경을 쓰도록 압력을 넣는다는 것을 뜻하지요.(109쭉)
책의 초반부에 가난에 대해 정의를 내려 놓은 것을 보며 절로 고개를 끄덕였다.
가난은 배고픔이다.
가난이란 보호 받을 곳이 없다는 것이다.
가난이란 아파도 의사를 만날 수가 없다는 것이다.
가난은 학교에 다닐 수 없다는 것이다.
가난은 직업이 없다는 것이며 동시에 미래와 현재의 삶에 대해 두려움을 느낀다는 것이다.
가난은 무력함을 느끼는 것이고 , 자기 의견을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이며, 자유가 부족하다는 것을 뜻한다. (출처 세계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