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사랑을 죽였다 ㅣ 한국작가 미스터리문학선 2
류성희 지음 / 산다슬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책을 좋아하고 책을 읽는 독서가들에게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는 작가가 있다는 건 행복한 일이다. 그런 작가를 만난다는 건 행운이다. 척박한 우리나라 추리소설계에서 그런 작가를 만나 마음에 품을 수 있다는 사실은 그 자체만으로도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내겐 감격스러운 일이다.
작가가 글을 써서 책으로 나온 다음에 그 책은 이미 작가만의 책이 아닌 독자들의 책이 된다. 가끔 나는 유독 우리나라 추리 소설가들에게 매몰차지 않나 반성한다. 그러면서 조금 심하게 말을 하곤 한다. 이유는 한가지다. 더 잘 써주기를 바라는 마음, 그거 하나뿐이다.
내가 실망하고 외면하고자 했을 때 내 마음을 돌려 세울 작가들이 몇 분 있다. 그 작가들을 위해 나는 우리나라 추리소설을 읽으려고 애를 쓴다. 하지만 아직까지 선뜻 손이 안 가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아무 망설임 없이 작가 이름만으로 믿고 읽을 수 있는 작가가 있다. 바로 류성희 작가다. 류성희의 힘은 단 한 편의 작품도 같지 않다는 점에 있다. 바탕에 깔린 인간애는 같지만 그것을 바라보게 하는 방식은 늘 다르다. 그 점이 작품을 추리소설로, 또는 비추리소설로도 읽을 수 있게 만든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분명 미스터리 작품이다. 인간, 그 자체가 미스터리한 까닭이다.
모두 읽은 작품이다. 그 읽은 작품을 천천히 읽었다. 아주 느리게. 읽을 때마다 느낌이 다르다. 언제 또 읽을 수 있을지 기약할 수 없는 아름다운 작품들. 벚꽃이 피면 언제나 생각날 작품과 오백 원짜리 동전을 보면 떠오르게 될 작품들. 어느 한 작품 빼고 말할 작품이 없는 가슴에 스며들고 머리를 멍하게 만드는...
정말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지는 모양이다. 작가의 단편집을 간절히 바래왔다. 작가만의 단편집을 갖고 싶어 나만의 책 한권을 만들까도 생각한 적이 있었다. 이렇게 나온 책을 보니 뭐라고 말을 해야 할지. 기쁨이 더하니 할 말이 정작 사라지고 실체를 보니 꿈인지 생신지 아직도 내 정신이 아니다. 해서 이 글로 마무리할까 한다.
<살인 미학>이란 작가의 작품 속에 이런 말이 나온다.
‘사실 그 많은 커피숍에서 그 많은 커피를 마셔보았지만 첫 모금에 만족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란 걸 누구나 경험해 봐서 알고 있을 것이다.’
작가에게 느낀 감정이 바로 이런 것이다. 많은 추리 소설을 읽고 한국의 많은 단편 작품을 읽고 첫 편에 ‘아, 이 작가 좋다.’라고 느끼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작가의 작품을 처음 읽고 이런 느낌을 받았다.
내가 작가에 대한 생각으로 뒤에 적은 글의 앞부분이다. 읽지 않으면 절대 모를 작가만의 미스터리 미학 속으로 초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