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양이는 알고 있다 - 제3회 에도가와 란포 상 수상작 ㅣ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니키 에츠코 지음, 한희선 옮김 / 시공사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사람들은 말한다. 본격미스터리 작품을 읽으면서 ‘이젠 살인과 트릭만 등장하는 단조로운 형식 말고 다른 게 나왔으면 좋겠다.’고 그래서 범죄소설, 사회파 미스터리가 등장했다. 또 말한다. ‘아무리 그래도 미스터리의 참맛은 트릭에 있는 거지.’ 어쩌라고...
미스터리 작품은 독자의 기대와 눈높이에 맞춰서 발전을 거듭했다. 진화했다고 하는 게 맞을 것이다. 그런데 요즘의 미스터리 작품을 읽다보면 가끔은 아가사 크리스티나 엘러리 퀸의 예전 추리소설의 단순하면서도 눈을 뗄 수 없게 만드는 짜임새 있는 본격미스터리에 대한 향수를 느끼게 된다. 그러던 참에 이 작품이 나왔다.
이 작품은 일본 미스터리 작품을 읽으려고 마음먹은 독자들에게 에도가와 람포나 요코미조 세이시의 작품과 함께 반드시 봐야 하는 1세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영국에 아가사 크리스티가 있다면 일본에는 니키 에츠코가 있다. 그리고 그의 뒤를 잇는 작가들이 기리노 나츠오와 미야베 미유키라고 간단하게 생각하면 될 것이다. 그러니 그들 작가들의 작품을 읽기 전에 이 작품을 읽어야 함은 당연하다. 아가사 크리스티의 작품을 읽지 않고 추리소설에 입문할 수는 없는 거니까 말이다.
니키 남매의 시리즈 중 첫 작품인 이 작품은 조사해본 결과 꽤 많은 장편과 단편을 남겼다. 하지만 아쉽게도 다른 작품은 보기 힘든 모양이다. 시리즈라면 의당 몇 편은 봐야 주인공과 작가의 성향이 파악되는 데 한 작품만이라니 아쉽기 그지없다.
전형적인 본격 미스터리로 한정된 작은 병원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살인 사건, 때 마침 찾아온 탐정, 해결해야 하는 트릭, 범인과 탐정, 범인과 독자의 두뇌싸움이 모두 들어 있는 작품이다.
아쉬운 점이라면 너무 늦게 보게 되었다는 점뿐이다. 1957년 작품을 이제 본다는 것은 아무래도 허술해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누가 뭐래도 추리소설은 범인 찾기와 고도의 완성된 트릭에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시대를 감안하고 보면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는 니키 남매가 자신들의 전공을 전혀 살릴 수 없었다는 점이다. 그 전공이 어떤 도움이 되었다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보다 좀 더 전문적이었다면 하는 점도 들 수 있다.
아무래도 작가가 후기에 말한 것처럼 범인 바꿔치기를 한 느낌이 든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범인이었다면 더 좋았을까? 한번 읽으면서 나름대로 범인으로 어울렸을 사람을 찾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하다. 지금처럼 더운 날씨에 어울릴만한 머리 식히기 딱 좋은 작품이다. 가볍게 읽어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