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하는 사람
텐도 아라타 지음, 권남희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거의 마지막까지 읽는 동안 시즈토의 뒷통수를 때려 '이 자식아, 너 뭐하고 있냐? 엄마가 돌아가시게 생겼는데 빨리 집에 안가냐?' 소리를 질렀다. 답답했다.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건 어찌되었든 좋은 일이다. 하지만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사람, 자신을 가장 사랑하는 사람, 자신이 가장 감사해야 하는 사람의 옆을 지키지 못한다는 일이 얼마나 애도와 상반되는 일인지 묻게 된다. 하지만 마지막에 가서 나는 깨달았다. 내가 가장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곁에 있다고 잘 보내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곁에 없다고 못 보내는 것이 아님을. 준코는 마지막까지 아들을 기다렸지만 그를 부르지는 않았다. 부를려면 얼마든지 부를 수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가 하는 일이, 그의 애도가 결국은 자신을 위한 애도도 된다는 것을 아는 까닭이다. 

세상에 이런 사람이 진짜 있을까? 지금 누군가 내게 알지 못하는 누군가를 애도하고 있습니까? 하고 묻는다면 나는 있다고 해야 할지 없다고 해야 할지 모르겠다. 내게는 안면도 없는 사람을 가끔 생각하게 되는 때가 있다. 그를 기리거나 애도하는 건 아니다. 그저 한때 그런 사람이 있었음을 기억할 뿐이다. 누구에게나 이런 기억은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건 이 작품에서 말하는 애도와는 다른 것이다. 생명이 태어나 이 땅에서 숨 쉬다 갔음을 기억한다는 건 어려운 일이다. 그 생명들중에는 어쨌든 남편을 살해한 유키요같은 이도 있을 것이고 더 인면수심인 이도 있을테니까. 마키노가 그를 믿지 못하는 이유도, 그의 가족이 그를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도 여기에 있다. 왜 모든 살아 숨쉬다 죽은 생명을 애도해야 하는가? 왜 사람을 애도해야 하는가 말이다. 

죽음 뒤의 세상은 누구도 모른다. 죽은 뒤 인간은 어쩌면 진정한 동등한 관계가 되는 지도 모른다. 그래서 살아서의 잘잘못도 있고 죽은이의 사연에 경중이 있을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죽은 이를 애도하는 마음에 차별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시즈토는 피해자를 세번 애도한 뒤 가해자를 애도한다고 했다. 시즈토는 그의 어머니의 임종도 지키지 못했다. 남을 애도하느라 나를 잊은 것이다. 애도에 나와 남도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더 많은 애도하는 이가 생긴다면 시즈토의 엄마 준코를 애도하는 이도 있을거라는 얘기다. 시즈토의 마음속에서는 모두가 하나일 뿐이다. 이런 이가 있다면 내것만을 따지겠는가, 남을 소홀히 대하겠는가.  

하지만 작품은 또 원폭 피해자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있다. 이런 것을 볼 때마다 화해를 하자는 건지, 용서를 구하겠다는 건지 그들의 속내가 의심스럽기만 하다. 일본 속담에 '거짓말도 백번하면 진실이 된다.'고 한다. 2차대전 전범국가라는 것에 대한 반성은 늘 빠지고 원폭 피해자인 것만 내세우는 이들의 모습은 딱 이 속담 그대로가 아닌가 하는 생각에 좋은 글을 읽다 불쾌해지고 말았다. 시즈토의 행동대로라면 일본은 피해국과 국민에게 세번 사죄하고 자국민은 그뒤에 애도해야 한다. 한번도 하지 않고 계속 자국민만을 동정해달라는 그들의 글은 사람들이 애도하는 사람을 보는 불편한 시각 그대로다. 내 속 편하자고 하는 일로 존재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글이 좀 더 진정성을 담았더라면 과거의 이야기는 끼워넣지 말았어야 했다. 과거없는 현재가 없다는 생각을 했다면 다른 식으로도 얼마든지 쓸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시즈토에게 에그노라 불리던 자극적인 기사만을 쓰던 한물 간 기자 마키노도 동화되고, 유키오도 결국 동화된다. 아들을 기다리며 나름대로 자신의 시한부 삶을 잘 정리한 준코도 마지막에 아들을 이해했다. 이제 누구에게나 '애도하는 사람'이 된 시즈토에게서 우리는 삶과 죽음은 다르지 않고 별개의 것이 아님을 배운다. 시즈토가 자신이 '애도하는 사람'이 되게 된 과정을 이야기할 때 그의 발걸음이, 그의 애도가 삶과 죽음이 융합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듯이 말이다. 우리가 누군가를 기억하는 한 그는 영원히 존재하는 사람이 된다. 죽음을 아름답게 기억하는 건 아름답게 살라는 뜻이다.  

윤동주는 '서시'에서 이렇게 썼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들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이 작품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그 옛날 윤동주가 쓴 서시와 같다고 말하고 싶다. 윤동주가 시로 말하고자 했던 것과 텐도 아라타가 이 작품으로 말하고자 한 것은 결코 다른 것이 아니다. 단지 시와 소설이라는 장르적 차이가 있을뿐이다. 사랑에 대한 기억과 감사에 대한 기억은 결국 사는 동안 사람이 해야 할 일인 것이다. 그런 일을 더 많이 해야 더 많이 기억하게 될테니까. 결국 작가는 우리 모두 애도하는 사람처럼 애도하는 마음으로 살아가자고 말하고 있다. 삶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주는 아름다워 결국 눈물을 흘리게 되는 작품이었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0-06-11 1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제 읽었군요. 묵직하죠?^^

물만두 2010-06-11 10:51   좋아요 0 | URL
아, 좀 읽는데 사연이 있어서리 못 읽다 안정이 되서 읽었습니다.

stella.K 2010-06-11 14:49   좋아요 0 | URL
그랬군요. 그렇지 않아도 만두님이 이 책을 안 읽을리
없을텐데 했는데...무슨 사연인지 모르겠지만 이 책이 나름
물만두님께 위로가 됐으리라 믿습니다. 힘 내십쇼!^^

물만두 2010-06-11 14:55   좋아요 0 | URL
그게 위로가 되는 책은 아니었습니다^^;;;
그렇다고 제가 힘낼 일은 없구요^^

stella.K 2010-06-11 15:20   좋아요 0 | URL
이런...꽈당!>.<;;
그리 말씀하시니 사실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ㅜ

라로 2010-06-11 2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아직도 읽지 못했어요~.ㅜㅜ
물만두님의 리뷰로 대신해야 할지,,,

물만두 2010-06-12 10:22   좋아요 0 | URL
나비님 고기는 씹어야 맛이고 책은 읽어야 맛이지요^^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