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딴집 - 상 ㅣ 미야베 월드 2막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07년 10월
평점 :
글을 잘 쓰는 작가는 시대물이든 현대물이든 잘 쓰는 모양이다. 어떤 작가는 단편을 더 잘 쓰고 어떤 작가는 장편을 더 잘 쓰고 어떤 작가는 시대물만 쓰고 어떤 작가는 현대물만 쓰기도 하는데 미야베 미유키는 그 모든 것을 다 잘 소화하는 보기 드문 대가라는 생각이 든다. 특히 이 작품을 읽고 더욱 작가에게 반했다.
때는 에도 시대, 마루미 번이라는 작은 지방에 에도에서 귀향을 오는 이가 있어 시끌시끌하다. 사람을 여럿 죽인 악귀라는 소문이 파다한 가운데 갑자기 호가 기거하고 있던 이노우에가의 아가씨가 돌아가시는 일이 발생한다. 처음에는 모두 독살이라고 범인도 알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가씨의 죽음은 심장병에 의한 급사가 되고 호가 본 것은 환상이라고 말한다. 이를 믿지 못하기는 어부 마을 출신으로 여자 히키테가 되고자 하는 우사도 마찬가지고 아가씨를 연모하던 하급관리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그들은 모두 입을 다물기로 한다.
우리나라처럼 정치적으로 중앙 집중이 아닌 쇼군과 지방 번의 영주로 정치적으로 나뉘었던 일본에서는 이런 일이 있기 쉬웠을 것이다. 이런 정치구조라면 누구나 한번쯤 모반을 꿈꾸고 계기를 틈타 잠재되어 있던 사악한 마음을 드러내게 되는 것이다. 그것을 어떤 형태로 꾸미느냐와 그것을 어떻게 일찍 알고 방어하느냐가 관건이다.
이런 윗사람들의 정치적 생각은 아래에서 고생하는 백성들에게는 부당한 음모의 희생과 먼지와 같은 희생과 파리처럼 어느 때 죽어도 상관없는 존재일 뿐이다. 정치의 형태는 다르지만 정치란 원래 그런 것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정치는 맨 아랫사람에게 희생만을 강요한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마치 계급 사회인 냥 아닌 척 하면서 휘두르고 휘둘리고 있다.
세상에 정치가 있는 한, 인간이 존재하는 한, 아니 법칙이 존재하는 한 이것은 사라지지 않을 희생이다. 그 희생을 알면서 하기도 하고 모르면서 강요당하기도 하는 것이 民이라는 이름의 우리네들인 것이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부처님 가운데 토막 같은 천진난만한 호를 따라 눈물을 흘리게 한다. 정말 잔인하다. 호처럼 살 수는 없다. 그런 마음을 먹을 수는 있겠지만 그것 또한 호의 천진함을 이용한 눈가림뿐이지 않는가. 세상은 달라지지 않고 이런 작품을 읽고 눈물만 흘리고 그러면서 어쩌면 지금과 이렇게 다르지 않을 수 있는지 마치 청나라를 배경으로 한 <영혼을 훔치는 사람들>을 읽고 있는 느낌도 들고 지금 우리 정치를 보는 것도 같아서 씁쓸했다.
호의 의리와 도리를 저버리지 않는 마음과 우사의 도전 정신과 책임감은 이 작품의 백미다. 이것으로 위안을 삼으며 미야베 미유키의 사회파 미스터리를 진정으로 읽었다고, 안다고 말하고 싶다면 반드시 이 작품도 읽어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