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위남 ㅣ J 미스터리 클럽 2
슈노 마사유키 지음, 김수현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이 작품을 좀 더 일찍 나왔더라면 평가는 달라졌을지 모른다. 너무 거창한 트릭들이 쏟아져 나온 상태에서 가위남이라는 연쇄살인범이 자신이 다음 피살자로 점찍은 여학생을 모방 살해한 범인을 쫓는다는 형식은 괜찮았지만 경찰과 같은 선상을 달리면서 어디선가부터 괜찮기는 하지만 그 이상은 아닌 작품이 되어 버렸다.
경찰과 가위남의 모습을 번갈아 가며 보여주는 방식, 즉 경찰과 범인을 모두 보여주는 방식은 새로울 것이 없다. 물론 작가는 여기에서 좀 독특하게 보여주고 있지만. 하지만 그 독특함이라는 것이 새로울 것이 없고 오히려 심플할 수 있는 구조를 복잡하게만 만든 경우가 되었다. 그러니까 독자에게 너무 쉽게 간파당하고 지루하지는 않았지만 개운하지 않은 작품성을 남겼다고 볼 수 있다.
차라리 피해 학생의 주변 인물들에 좀 더 공을 들였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과 가위남의 상황이 좀 더 자세히 전개되었다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너무 트릭에 집착하지 말고 말이다. 아니면 가위남의 인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것, 그리고 그 의사의 말에 좀 더 의미를 부여했었더라면 하는 생각이 든다.
범죄에 왜는 반드시 있다고 한다. 사이코패스에게도 나름 왜라는 이유는 있다고 한다. 보통 사람들은 이해를 할 수 없다고 해도 말이다. 그런 점이 좀 더 자세히 부각되었다면 좋았을 텐데 아쉽게도 나름 매력은 있는 작품이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끼어버린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안타깝다.
뭐, 생각을 해본다면 편견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에 대해 피력하고 있다고 할까. 아니면 인간은 모두 자신만의 생각 속에 갇혀 살게 마련이기 때문에 애초에 이해라는 말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그런 점을 피력한 작품이라고 할까.
아무튼 가위남의 연속 자살 실패를 보면서 정신분석학자이자 기호학자인 줄리아 크리스테바가 <비잔틴 살인 사건>에서 말한 살인은 자살의 또 다른 형태라는 말이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적어도 가위남은 그런 것 같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