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칠 수 있겠니]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미칠 수 있겠니
김인숙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인숙.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지난번에 '소현'을 소개하고 벌써 두번째이니 일견 그렇게 보일수도 그렇다 말할수도 있을 것 같네요. 그러나 고백하건데 '소현'과 중국 여행기인 '제국의 뒷길을 걷다' 말고 김인숙 작가의 작품 중 제대로 읽은 게 무엇인지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단편 몇 편이 떠오르긴 하지만 그마저도 너무나 오래전이어서 내용은 물론 그 정확한 제목마저 희미합니다. 그러니 내게 김인숙은 아주 최근에야 주목하게 된 이름이고, 그의 작품의 진가 또한 겨우 '소현'을 통해 알게 되었다고 해야 옳을 것입니다.

이럴진대 아무리 새 장편이 나왔다고, 제법 재빠르게 찾아 읽었다고, 작가에 대해 많이도 알고 있는 것 마냥 주절거릴 순 없는 노릇입니다. 즉, 김인숙다운 것이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이번 소설이 참으로 김인숙 답다, 혹은 영 그답지 못하다고 넘겨짚으며 마음대로 재단해서는 안되는 것이지요. 그러니 제가 이제부터 늘어놓는 이야기들은 오롯이 이번 소설에 국한된 것일 겁니다. '소현'과의 구체적인 연관성마저 찾기 어렸웠던 만큼 김인숙의 작품세계를 섣불리 논하며 알지도 못하는 큰 이야기들을 주절거리는 일 또한 없을 것이구요.

사설이 길었네요.

김인숙의 새 소설이 나왔고 저는 찾아 읽었습니다. 아, 제목. 제목은 '미칠 수 있겠니' 입니다.

미칠 수 있겠니 / 소설 / 김인숙 / 한겨레출판 (2011)

'미칠 수 있겠니'의 주인공은 진이라는 이름을 가진 한국 여자와 이야나라는 이름의 외국 남자입니다. 여기에 진과 꼭 같은 이름을 가진 진의 사랑이자 남편인 진이 있고(구분의 편의상 소설에서처럼 앞으로는 유진이라 칭함) 이야나의 약혼자인 수니가 있고 모든 사단의 시발점인 외국 여자아이가 있습니다.

등장인물만 보면 일견 복잡해보이지만 이야기는 의외로 단순합니다. 평범하게 살아가던 유진이 어느날 갑자기 생의 전환점을 맞이하고는 홀연 외국의 섬으로 떠납니다. 그런 유진을 이해할 수 없었던 진은 한국에 남지만 유진을 너무나 사랑하기에 유진과의 '생이별'을 견딜 수 없습니다. 도서관 사서인 진은 일년에 몇번씩 휴가를 내서 유진이 있는 섬에서 지내다오곤 하지만 근본적인 불안감이 해소될 리 없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진은 유진이 하녀로 부리는 현지인 여자아이와 정을 통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믿었던 유진의 배신에 엄청난 분노와 질투를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배가 부른 채 진의 집에 누워있는 여자아이를 발견하는 순간, 더 이상 자신을 제어하지 못한 채 여자아이를 찔러 죽일 생각을 하기에 이릅니다.  

한편 섬에서 관광객을 상대로 택시운전을 하는 현지인 이야나는 자신의 불안정한 미래 때문에 평생의 사랑이자 약혼녀인 수니를 다른 남자에게 빼앗기고는 자괴감에 빠져 무력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아침, 실수로 개를 치어 죽이고는 찜찜한 마음으로 시내를 배회하던 이야나는 호텔을 나서는 진을 태우게 되고 의도치 않게 진과 하룻밤을 보내게 됩니다. 관광객인 진과 사랑에 빠지는 것이 얼마나 무의미한 일인지 잘아는 이야나는 자신의 마음속에서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감정을 단도리하며 진을 잊으려 애써보지만 자꾸만 진이 떠올라 혼란스럽습니다. 

소설은 이렇게 두 사람의 시점에서 진행되는데 방금 설명한 진의 이야기와 이야니의 이야기는 사실 같은 시간을 공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야나와 진이 만나는 시간은 현재이고, 진이 절대 잊을 수 없는 여자아이와 마주치는 순간은 7년전의 과거입니다. 그럼에도 소설은 특별한 설명없이 오로지 진과 이야나의 감정의 흐름에 따라 7년전과 현재를 수시로 오가며 씨줄과 날줄로 두 사람의 인연을 얽어갑니다. 7년전 시간의 중심에는 여자아이의 죽음이라는 살인사건이 있고, 현재의 시간의 중심에는 대지진과 쓰나미라는 재앙이 있습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현재를 잠식하며 여전히 진을 7년전의 시간에서 헤어나올 수 없게 만드는 여자아이의 죽음이라는 사건은 대지진이라는 절대적인 대재앙 앞에서 조금씩 무력해져 갑니다. 눈 앞에 펼쳐진 진짜 지옥의 한복판에서 진은 비로소 지난 7년간의 마음 속 지옥에서 조금씩 벗어나 현실로 돌아오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그녀의 옆에는 바로 이야나가 있습니다. 7년전의 지옥에서 진을 끄집어내는 것도, 쓰나미로 인한 대혼란 속에서 목숨을 잃을 뻔한 진을 구해내는 것도 모두 이야나입니다. 그렇다면 이야나는 진의 진정한 영웅이며 구세주인 걸까요? 물론 그렇진 않습니다. 이야나의 현재 또한 진 못지않게 시궁창이며 남루합니다. 사랑하던 수니를 잊지 못해 괴로워하지만 자신의 현재 처지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기에 그저 무기력하게 하루하루를 살아내던 이야나입니다. 그렇게 희망 한 쪼가리 없는 나날의 끝에 진을 만나게 된 것이고, 연이어 지진이라는 대재앙과 맞닥뜨리게 된 것입니다. 차라리 미치기라도 했으면 좋겠건만, 차라리 세상이 망해 없어졌으면 좋겠건만, 너무나 멀쩡한 자신과 세상이 원망스럽기까지 했던 이야나는 제정신이 아닌 것처럼 보이는 진을 만나자 자꾸만 마음이 쓰입니다. 그리고 믿기지 않게도 세상마저 미쳐 버립니다. 모두가 미쳐 날뛰며 울부짖습니다. 그야말로 아비규환, 생지옥이 따로 없습니다. 

그렇게 지옥의 한복판에서, 이야나는 비로소 깨닫습니다. 자신은 미칠 수 없다는 것을. 자신마저 미쳐서는 안 된다는 것을. 멀쩡한 정신으로 멀쩡하게 잘 살아서...진이라는 여자를 이 미친 세상에서 구해내야 한다는 것을.

소설은 대부분 진의 시점에서 진행되지만 이렇듯 이 소설의 진짜 주인공은 이야나입니다. '미칠 수 있겠니?' 라는 질문은 진과 이야나 두 사람 모두에게 공히 해당되는 질문이지만 그에 대해 최종적으로 답하는 것 또한 이야나의 몫입니다. 이야나가 아니었으면 진은 진짜 미쳤을 것이고 끝내 자신이 만든 지옥에서 벗어나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야나라는 존재가 있었기에 진은 다시금 현실로 돌아와 남은 생을 살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것이 작가의 의도인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저는 그렇게 읽었습니다. 
 
(어떻게) 미칠 수 있겠니.

중요한 것은 결국 '미칠 수 있겠니'가 아니라, 생략된 '어떻게'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니, 그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어떻게 앞에 놓일 이 한마디 일 것입니다.

당신을 두고.

어떻게 미칠 수 있겠니.

당신을 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