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아침에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한기호 소장의 블로그에서 철학자 김진영의 <아침의 피아노> 소개 글을 읽었다. 저자의 첫 산문집이자 유고집인, 저자가 번역한 롤랑 바르트의 책 제목 <애도 일기>를 따서 부제로 단 이 책은 죽음을 앞두고 쓴 철학적 기록이다. 구입하여 읽을 생각으로 알라딘 장바구니에 담아 두었다. 인용구 몇 개도 스크랩하여 옮겨 두었다. 


그러면서 한기호 소장의 '죽음'에 관한 글 한 편을 더 읽었는데, 최성일과 구본준에 관한 것이다. 출판평론가 최성일은 45세의 일기로 생을 마칠 때까지 오직 책 읽기와 글쓰기로 평생을 살았다. 그이의 처절한 글쓰기는 가슴을 먹먹하게 하였다. 나는 그의 글을 좋아하여 그의 책은 물론 그의 아내의 책 <남편의 서가>도 읽었다. 그에 대한 나의 '애도'였다.


최성일의 부고 기사를 쓴 한겨레신문의 구본준 기자는 건축전문기자였다. 그의 책은 물론, 블로그에서 건축 관련 글을 읽는 재미가 상당하였다. 그런데 그도 예기치 않게 이탈리아 현지 취재 도중 생을 마쳤다. 그가 죽은 후에도 그의 블로그는 그대로 남아 있었는데, 한겨레신문이 불로그 서비스를 종결하면서 그의 블로그 글도 사라졌다. 그가 남겨놓은 글을 모아 책으로 출간되기를 바랄 뿐이다.


죽음은 가까이 있다. 다만 실감하지 못할 뿐이다. 그래서 죽음은 멀리 있는 것처럼, 당분간 오지 않을 것처럼 여기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죽음이 서린' 책을 읽으면 겸손해진다.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 삶은 방종할 수 있다. 죽음은 소중함과 감사를 일깨워준다. 


수원 봉녕사에 다녀왔다. 25년 전 아우가 사십구재를 마치고 이승을 떠난 곳. 그때 나는 독경 소리를 뒤로 들으며 대웅전을 나왔었다. 마당에 가득하던 초여름 햇살 저편 수돗가에서 젊은 팔을 걷고 흰 무를 씻는 비구니들의 웃음소리가 햇살처럼 청명했었다. 그 웃음소리를 들으며 나는 아우를 보냈던가 붙들었던가. 모르겠다. 다만 세상과 삶의 부조리만이 깊이 가슴에 각인되었을 뿐. 그때 아우는 떠나는 자였고 나는 보내는 자였다. 그사이 세월이 제자리로 돌아온 걸까. 지금은 내가 떠나야 하는 자리에 선 걸까. 오늘 나는 여기에 왜 다시 왔을까. 그를 만나기 위해서일까, 나를 만나기 위해서일까. 오후에 날이 흐리더니 돌아가는 길에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아침의 피아노> 158번 글이다. '떠나는 자'와 '보내는 자', 그리고 이제 '떠나야 할 자'가 된 '보내던 자'의 모습이 한 편 시처럼 그려졌다. 그 시가 너무 슬퍼서 눈물이 돌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 도착한 책 중에서 정민의 <석복>(김영사, 2018)을 읽었다.


추사의 글씨 중에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드는 글귀는 예서로 쓴 "작은 창에 볕이 많아, 나로 하여금 오래 앉아 있게 한다(小窗多明, 使我久坐)"는 구절이다. 작은 들창으로 햇살이 쏟아진다. 그는 방안에서 미동없이 앉아 있다.(17)


네 글자 100편 중 <명창정궤(明窓淨几)> 글머리 부분이다. 

'명창정궤'는 서예가들도 많이 쓰는 구절이다. 

정민 교수는 "한국고전번역원 데이터베이스에서 '명창정궤'를 쳐보니 무려 171회의 용례가 나온다."고 했다. 

이 말에 이어진 구절들도 숱하다. 


'명창정궤' 뒤에 무엇을 덧붙이면 좋을까 생각해봤다. 

'분향작시(焚香作詩)' 정도가 되지 않을까. 

'음주독서(飮酒讀書)'가 현실에 더 가까우려나? 


"밝은 창 깨끗한 책상 앞에 앉아 향을 사르고 시를 짓는다." 그럴 수 있으면 좋을 주말 앞둔 금요일 오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10년 12월 16일

나는 일기 쓰는 것을 더 이상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여기에서 나를 확인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여기에서만 그럴 수 있기 때문이다.(109쪽)


1912년 2월 25일

오늘부터 일기를 꼭 쓸 것! 규칙적으로 쓸 것! 포기하지 말 것! 설령 아무 구원도 오지 않더라도, 나는 언제라도 구원을 받을 만한 가치가 있고 싶다. (307쪽)

카프카도 이런 다짐을 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48년엔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을 전후로 하여 ‘욕망과 폭력의 제도화’가 이루어졌다. 이미 민족적 한은 개인과 집단의 욕망과 투쟁의 소용돌이가 집어삼켰다. 국가 없이는 생존할 수 없는 냉혹한 현실에 대한 기억은 훗날까지 이 시기에 대한 비판을 ‘대한민국을 부정하는가?’라는 추궁을 낳게 했다. 그런 점에서 아직 우리는 1940년대의 연장선상에서, 그것도 크게 달라지지 않은 채로 살고 있는 것임에 틀림없다. 

1948년에 확실하게 그 진면목을 보여줄 ‘반공의 종교화’는 향후 수십년간 대한민국을 사실상 지배하는 유일 신앙으로 군림하게 된다. 다른 정통 종교들도 그 유일 신앙에 합류하거나 그걸 받아들임으로써, 대한민국은 사회적 갈등의 비용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면서 국가주의적 경제 번영의 길로 나아가게 된다.


지금도 여전한 이러한 현실을 목격하면서 우리 사회의 지적, 정신적 발달의 지체 현장을 확인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축가로서 내가 한 일은 원래 거기 있었던 사람들의 요구를 공간으로 번역한 것이다. 


- 정기용 지음, 《김응의 건축》, 현실문화, 2011


건축은 건축가와 건축주와 건축물이 일체를 이루어야 한다. 어느 것이 우위에 있고, 어느 한 가지만이 살아남아서는 안 된다. 

건축은 삶을 위한 것이다. 인간은 정착하면서 주거의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동굴이든 움막이든 주위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 살 곳은 안전과 편리함이 요구되었다. 


삶의 문제가 건축의 방향을 결정한다. 

과연 그럴까? 

건축이 삶의 방향을 결정하기도 한다. 

양자의 상호 영향과 수용은 어떠할까? 


건축가 정기용이 행한 무주프로젝트는 삶과 공간의 상호 작용이다. 나는 그렇게 받아들였다. 꽤 긴 기간에 걸쳐 진행한 이 작업은 건물 몇 개 짓고, 공간 조성하는 차원이 아니다. 

특히 공공건축이거나 농촌의 문제라면 어떨까? 그리고 그 건축이 땅의 풍경과 필연적으로 만나야 한다면 어떻게 형상화시켜야 할 것인가. 


개인 건축이라면 또 어떨까. 누구나 자신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를 바란다. 진정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 필요한 것 가운데 하나도 자신이 살 곳이다. 개인의 문제이지만 또한 공동체의 문제가 되기도 하는 것이 여기에서 생겨난다. 그래서 생긴 말이 "따로 또 같이"이다. 


모든 문제의 답은 멀리 있지 않다. 자신들이 몸담고 살고 있는 곳에 있다. 거기에서 문제를 던지고 답을 구해야 한다. 정답이든 오답이든 모든 답은 현재에 있다. 현재의 모습이 형편없을지라도 거기에서 새로운 답을 찾아야 한다. 

어쩌면 그것이 건축가의 숙명이기도 한 '공간으로의 번역'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