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perback of the week


Extraordinary idealism

Martin Bright on The Ordinary Person's Guide to Empire

Sunday December 28, 2003
The Observer


The Ordinary Person's Guide to Empire by Arundhati Roy
Buy The Ordinary Person's Guide to Empire at Amazon.co.uk
 
The Ordinary Person's Guide to Empire
Arundhati Roy
Flamingo £8.99, pp160

This slim volume contains a collection of political essays written by the author of The God of Small Things between June 2002 and August 2003. They concentrate on the international events surrounding America's war on terror, but also demonstrate a wider range of causes that fuel Arundhati Roy's anger.

These include her much publicised campaign for the indigenous Adivasi people of Madhya Pradesh, who are faced with displacement by government plans to dam the Narmada valley in central India.

But they also stretch to a celebration of the work of Noam Chomsky and a critique of the present generation of African-American politicians.

Much of the subject matter here is predictable: Roy is against the illegal war in Iraq, despises American imperialism and bemoans the malign influence of the global corporations. She has the instincts of a radical student politician. But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if what that means is intelligent, articulate, youthful passion about the injustices being perpetrated in the name of democracy. If only more of our public intellectuals could retain some of the idealism of their youth.

The sign of a great essayist is an ability to make you think again about a much discussed subject. Her essay on 'Ahimsa' (non-violent resistance) is genuinely inspiring.

She argues that we will make no progress in resolving serious conflict until governments start listening to the concerns of peaceful protesters. Otherwise, the message goes out that violence is more effective. 'Any government's condemnation of terrorism is only credible if it shows itself to be responsive to persistent, reasonable, closely argued, non-violent dissent.' Brillian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GUNTER GRASS (1927-)  Danzig, Germany (now Gdansk, Poland)


"The job of a citizen is to keep his mouth open."

 -시민의 할 일은 계속해서 입을 여는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04-05-01 0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갑니다.

killjoy 2004-05-12 04: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녜~
 

인도는 몇 세기를 동시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동시에 진보와 퇴보를 하고 있습니다. 한 국가로서 우리는 양극단으로 치달음으로써 늙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정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눈을 가진 귀상어의 머리처럼 커지고 있습니다. . .

개인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우리가 감내하기 어려운 것은 그 정신분열증적 성격입니다. 이것은 옛것/새것의 문제만이 아니라 오늘날 국가경영이 보여주는 철저한 비논리에도 해당됩니다. 우리집 뒷길에서 매일 밤 나는 우리의 디지털 혁명을 앞당기기 위해 광섬유 케이블을 설치하려고 땅을 파고 있는 쇠약한 인부들을 지나쳐 걸어갑니다. 혹독한 추운 겨울날씨에 그들을 촛불 몇 개 켜놓고 일을 합니다.(125-26쪽)

내가 작가-활동가로 불리는 것은 [작은 것들의 신]을 쓴 후 내가 세편의 정치 에세이를 썼기 때문입니다. . . 그런데, 나는 [작은 것들의 신]을 쓴 사람은 왜 작가로 불리고, 정치 에세이를 쓴 사람은 왜 활동가로 불려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작은 것들의 신]은 소설이지만, 내가 쓴 어떤 에세이 못지않게 정치적입니다. 물론 내 에세이들은 논픽션입니다. 그러나, 대체 언제부터 작가들이 논픽션을 쓸 권리를 포기했는지요? (130쪽)

이와 같은 환경에서, 내가 하고 있는 일에 관련해서 나를 ‘작가-활동가’라고 부르는 것은 나를 이중으로 움찔하게 만듭니다. 첫째, 그것은 작가와 활동가 모두를 위축시키기 위해 전략적으로 사용된 말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한 작가의 존재와 그 가능성의 영역과 범위와 영향력을 축소시키려는 기도입니다. 원래 어떤 정치적인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한다는 것은 명석한 논리와 열정과 용기와 대담성과, 또 때로는 야비함까지도 필요로 하는 법인데, 작가라는 것은 이런 일을 감당하기에는 너무도 부드러운 존재라는 암시가 여기에 들어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반대로, 활동가라는 것은 지적 스펙트럼에서 보다 거칠고 조야한 쪽에 서 있다는 암시가 여기에 또한 들어있습니다. 활동가는 본래 명확히 ‘입장을 취하는 사람’이고, 따라서 복잡성과 지적 세련을 결여하고 있으며, 그 대신 사물에 대한 거칠고 단순하며 일방적인 이해로써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내가 볼 때 이 용어가 갖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모든 저항적 운동을 직업적 활동가들이 하는 일로 만들고, 거기에 이름표를 붙임으로써, 결국 문제를 봉쇄하고, 나아가서는 문제해결은 직업적 활동가들에게 달려 있다고 암시한다는 데 있습니다. (137-38쪽)

나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문제들에 대한 공적 논쟁의 비전문화야말로 결정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전문가’들에게서 우리의 미래를 다시 낚아채와야 할 때입니다. 공적 문제를 보통 사람들의 일상적인 언어로 질문하고, 그에 대한 대답을 또한 일상적인 언어로 하라고 요구할 때입니다. (138쪽)

지금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은 상식적인 인간의 이해력을 넘어서 있습니다. 사건들간의 연관성을 밝혀주고, 그것을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줄 사람들은 작가, 시인, 예술가, 가수, 영화제작자들입니다. 회사 중역회의실의 현금의 흐름을 가리키는 도표와 현란한 말들을 살아있는 사람들의 살아있는 삶에 관한 진실한 이야기로 번역해놓을 수 있는 사람들이 바로 그들입니다. 그들의 이야기는 보이지 않는 힘 때문에 사람이 가정과 땅, 일자리와 인간적 존엄성, 그리고 자신의 과거와 미래를 잃는다는 게 어떤 것인지를 말해주어야 합니다.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없고, 따라서 증오할 수도, 상상할 수도 없는 그 누구 또는 그 무엇 때문에 일어나는 갖가지 이야기들을--. 

이것은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새로운 공간입니다. 새로운 종류의 도전을 기다리는 문제이고, 새로운 종류의 예술을 위한 기회이기도 합니다. 분명하지 않은 것을 분명한 것으로, 만져지지 않는 것을 만져질 수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만들 수 있는 예술, 실체가 없는 적을 현실적인 존재로 그려낼 수 있는 예술 말입니다. (143쪽)

아룬다티 로이, 작가와 세계화 --‘전문가’들에게 맡겨두어야 할 것인가
녹색평론 2002년 3-4월 통권 제 63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왜 한국 젊은이들이 피의 대가 치르는가"

[속보, 사회] 2004년 01월 19일 (월) 21:12
[오마이뉴스 장윤선 기자]
▲ <작은 것들의 신> 작가 로이. 그는 인도여성들에게도 추앙받는 평화운동가이기도 하다.
ⓒ2004 민족21 강은지

아룬다티 로이는 누구인가?

민족21 강은지
아룬다티 로이(Arundhati Roy)는 1961년 시리아 기독교인 어머니와 힌두교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인도 남단의 케랄라 주의 아예메넴에서 자랐다. 대학에서 건축학을 전공한 뒤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했고, 환경·반핵·반세계화 운동을 하고 있다. 현재 영화제작자와 결혼해 두 딸과 뉴델리에 살고 있다.

1997년 소설 <작은 것들의 신(The God of Small Things)>으로 영국 부커상을 받으며 유명작가가 되었으며, 지은 책으로 평론집 <권력의 정치학(Power Politics)>, <무한 정의의 대수학(The Algebra of Infinite Justice)> 등이 있다.

아룬다티 로이는 인권·환경·반핵·반세계 운동에 적극 활동하고 있으며, 대중 강연과 글쓰기에 힘쓰고 있는 인도 여성이다. 그의 저서 <생존의 비용>에서 그는 "인도 정부의 개발 중심주의, 핵무장 옹호가 자연은 물론 인도인의 삶까지도 황폐화시키고 있다"고 고발했다. /

인도 세계사회포럼에서 가장 주목을 끌고있는 인물은 단연 소설가 아룬다티 로이다. 전세계 45개국, 644개 언론사에서 몰려든 기자들 중에는 아룬다티 로이만 쫓아다니면서 인터뷰를 시도하는 이들도 있다.

한국에도 <작은 것들의 신> 작가로 잘 알려진 인도 퀘랄라주 출신의 로이는 세계사회포럼 행사장에서 좀체 발견하기 쉽지 않다. 기자들 사이에는 '로이를 어디서 누가 봤다더라'라는 '카더라' 통신만 떠도 취재수첩을 들고뛰는 분위기다. 그래서 허탕치는 기자들도 많다.

기자들이 이토록 그에게 달라붙는 이유는 무엇일까. 빼어난 미모의 소설가, 특유의 문체로 심금을 울리는 문장력 때문만은 아니다. 그가 전쟁과 고통받는 여성들에 대해 쏟아내는 심장의 소리를 듣기 위한 것이다.

로이의 '개막식 독설'에

세계사회포럼이 발칵 뒤집히다

특히 이번 세계사회포럼에서 그가 기자들로부터 주목받는 이유는 하나 더 있다. 그가 던진 '개막식 독설' 때문이다. 로이는 지난 16일 저녁에 시작한 세계사회포럼(World Social Forum WSF) 개막연설에서 "세계사회포럼과 뭄바이 레지스탕스(MR)가 연합해 구체적 투쟁을 조직하자"며 "이번 세계사회포럼이 끝나는 날 아예 미국이 일으킨 전쟁 앞잡이 노릇을 한 기업을 찍어 철퇴시키자!"고 주장해 논란을 일으켰다.

로이의 개막연설 뒤 세계사회포럼 인도조직위원회가 발칵 뒤집혔다는 후문이 있다. 이유는 '비폭력' 노선을 고수하는 세계사회포럼에서 '폭력적 방법'을 제안했기 때문. 그러나 로이가 세계사회포럼에서 던진 이 얘기는 좌우 맥락 없이 그냥 툭 던진 것은 아니다.

3차까지 브라질에서 진행된 세계사회포럼에서 세계화의 문제점은 많이 지적됐지만 그래서 '도대체 어떻게 하자는 것이냐?'는 실천적 대안은 만들지 못했다. 그래서 지구촌 반세계화 운동가들 사이에는 '공허한 논쟁만 진행되는 세계사회포럼, 이제는 재미없다!'는 지적도 쏟아졌다.

이러던 참에 세계사회포럼 장소가 브라질에서 인도로 바뀌었다. 개발국가에서 저개발국가로 장소가 이동된 것. 인도는 그간 세계사회포럼 참가자들이 겪지 못한 '일상의 불편함(화장실, 물, 먼지구덩이, 위생 등)'을 통해 세계화의 문제점을 몸으로 느낄 수 있는 '투쟁의 현장'을 제공했다. 로이는 이 자리에서 '직접적인 실천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로이 발언 맥락에는 이런 것도 숨어 있다.

세계사회포럼 개막 3일째를 지내는 지금 행사장(네스코) 건너편에는 '뭄바이레지스탕스2004'가 따로 조직돼 활동 중이다. 이들은 "세계화는 인간화할 수 없다"는 구호를 걸고 '세계사회포럼 반대'를 외치고 있다.

이 상황에서 로이는 '뭄바이레지스탕스2004'가 조직한 토론에 참가하면서 '세계사회포럼과의 연대'를 강조했다. 그래서일까? 기자들은 마치 술래잡기를 하듯 세계사회포럼 행사장에서 그를 찾아도 쉽게 볼 수 없었다.

18일 오후 4시25분 기자는 세계사회포럼 미디어센터 흙바닥에 앉아 몇몇 이들과 토론하는 로이를 발견했다. 마치 숨은 그림을 찾던 사람처럼 기자는 로이에게 다가가 "아 유 로이?"라며 아주 황당한 질문을 던졌다.

로이는 한동안 웃고는 "맞다"고 답한 뒤 "오늘 저녁 6시 '여성에 대한 전쟁, 전쟁에 반대하는 여성' 포럼 이후 만나자"고 인터뷰에 승락했다.

"아 유 로이?" 드디어 로이를 찾다

▲ 로이는 한국정부와 일본정부의 이라크 파병결정에 저항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04 민족21 강은지
로이는 18일 저녁 6시30분 마이단 광장 연설 뒤에 연단 아래로 몰려든 몇몇 세계 각국 기자들에게 "마치 기자회견을 하는 것 같다"며 밝게 웃었다. 원래 따로 만나 인터뷰할 예정이었으나, 워낙 많은 기자들이 몰려들어 플래시를 터뜨리자 로이는 그 자리에 주저앉아 버렸다. 그 뒤에 쏟아진 질문에 답하기 시작했다.

세계사회포럼 현장에서 로이를 인터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지만, 한국 기자로는 최초로 아룬다티 로이를 인터뷰했다.

- 이번 세계사회포럼의 의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인도와 떨어져 있는 것 같은 전세계 많은 문제들이 하나로 모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내가 이 안에 함께 한다는 것이 너무나 기쁘다."

- 이번 세계사회포럼은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레에 이어 4번째로 열리는 것이다. 세계사회포럼의 미래에 대해 어떻게 전망하는가?

"세계사회포럼은 제도화되지 않도록 상당히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다른 관료적 기구가 되지 않도록 말이다. 세계사회포럼이 그렇게 된다면 그것은 아주 위험한 일이다.

다른 위험 중의 하나는 포럼이 활동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현장에서 뛰기보다는 포럼만 생각하게 하는 것이다. 이 포럼에서 어떤 이슈를 제기할까 등등. 그래서 활동가들은 한 포럼이 끝나면 그 다음에 바로 다른 포럼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운동가들이 앉아서 고민만 하지말고, 현장에서 직접 뛰기를 바란다. 그들이 진정한 정치적 행동에 대해 고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되기를 희망한다."

- 세계사회포럼 공식참가자인데, 왜 매일 '뭄바이레지스탕스2004'를 방문하는가?

"나는 그들 또한 좋은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들 중에는 이곳에 초대받지 못한 이들도 있다."

- 세계사회포럼은 비폭력노선이다. 그러나 '뭄바이레지스탕스2004'는 비폭력노선을 명시하지 않았다. 평소 로이는 무장투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성으로서, 내가 아는 유일하고도 진정한 현실, 인도에 사는 사람으로서, 나는 폭력을 믿지 않는다. 나는 겁이 난다. 폭력이 무언가와 싸워서 얻어내기 전에 세상을 먼저 망가뜨리게 될까봐…. 그리고 그 무기가 곧 여성을 향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다.

하지만 나는 이 문제에 대해 아주 털어놓고 솔직하게 얘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세계는 아주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기 때문에, 그리고 이런 종류의 대화는 이니셔티브나 도그마에만 의존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팔레스타인에서 온 사람들, 이라크 사람들, 이곳에서 무장투쟁을 하는 사람들, 또 서로 다른 투쟁을 하는 사람들과 모두 함께 솔직히 털어놓고 진정으로 얘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라크파병, 저항해야 한다!"

▲ 로이는 "운동가들이 자리에만 앉아있지말고 현장을 뛰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04 민족21 강은지
- 로이는 인도정부가 추진하는 대형 댐건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3000개의 댐이 건설되고 있다. 아주 심각하고 어려운 상황이다. 구자라트와 남부 다른 지역은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잠시 건설이 중단되었다. 하지만 그게 얼마나 갈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다. 각지에 있는 그 누구도 그걸 모른다.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지금까지 있었던 환경재해 중 가장 심각한 것이 바로 대형 댐이라고 생각한다. 니르마다 지역과 같은 곳에서 벌어지고 있지만, 더 심한 곳에서는 더 큰 문제들이 벌어지고 있다. 강과 환경문제 같은 것들 말이다."

- 한국 정부는 이라크 전쟁 파병을 결정했고, 일본 정부는 자위대를 파병했다. 이라크 전쟁에 한국과 일본 같은 나라들이 파병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다소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저항해야만 한다. 저항해야만 한다! 그 전쟁에 동참하는 것을 당장 멈춰야 한다. 미군들이 그곳에 가고 싶어하지 않는 상황에서, 미군 가족들이 그 전쟁에 가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상황에서, 왜 한국과 일본 젊은이들이 거기서 피의 대가를 치러야 하는가? 파병은 즉각 멈춰야 한다."

/장윤선 기자 (sunnijang@OHMYNEWS.COM)

- ⓒ 2004 오마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balmas > 단식 중인 샤말대표의 편지호소글

* 때로는 나 자신이 너무 한심하게 생각될 때가 있습니다. <한 예로> 이런 글을 읽을 때가 그렇습니다.([원문그대로])

 

(손으로 정성것 빼꼭이 쓴 편지를 보기 쉽게 워드로 적어봅니다.)

영원히 사랑하는 동지들
뜨거운 투쟁으로 인사 드리겠습니다.

동지들, 여수 보호소에서 제가 잘 지내고 있습니다. 우리는 투쟁하는 노동자입니다.
노동자의 해방을 위해서, 모두가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또 평등
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열심히 투쟁하는 철의 노동자입니다.

오늘 2004년 2월 18일 단식 이틀째입니다. 어제부터 출발하는 단식투쟁 마지막까지 계
속 할 것입니다. 아침, 점심, 저녁 식사 시간마다 ‘철의 노동자’, ‘Stop
Crackdown’ 노래와 우리의 요구를 힘차게 외치고 있습니다. 여수 보호소에서 제가 단
식하고, 화성 보호소에서 케이비와 헉 동지, 그리고 명동 농성단에서 4명의 동지들이
단식투쟁에 나섰습니다.

인간사냥 ‘단속추방’ 때문에 8명의 이주노동자들 자기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코리안 드림 안고 한국에 와서, 가족들한테 돈 많이 벌어서 행복하게 살자는 약속,
단 1분 만에 무너졌습니다. 그 가족들 얼마나 울었을까요? 아들 잃어버린 엄마, 사랑
하는 남편 잃어버린 아내, 그리고 하나밖에 없는 아빠 잃어버린 아이들...이들은 어떻
게 살아가고 있을까요?

한국에서 17년 전부터 우리 이주노동자들 많이 탄압, 차별 받고, 노예처럼 살았습니
다. 그런데 동지들 우리는 더 이상 참을 수 없습니다. 더 이상 억울해서 죽으면 안 됩
니다. 우리의 권리쟁취를 위해서 당당하게 앞서서 싸워야합니다. 우리도 말할 권리가
있습니다. 우리가 받고 있는 차별, 탄압, 그리고 잘못된 제도에 대해 비판할 권리가
있습니다. 한국 산업 시장에서 우리들은 한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노동 힘입니다.
우리 모두 노동자입니다.

오래 동안 우리는 ‘불법 체류자’라는 딱치가 붙어 왔습니다. 바로 ”불법 체류자
“라는 이유로 많이 이용당했습니다. 많이, 이주 여성 노동자들 성폭행 피해 받아왔습
니다. 법무부와 노동부 직원들 이렇게 말합니다. “열심히 일이나 하지, 왜 집회는 하
느냐? 집회 하는 거 불법이다.” 그 사람들도 임금체불 당하고, 일하다가 다칠 때 산
재 못 받고, 똑같이 일하면서 차별받고, 그리고 성폭행당하면, 마음이 어떻게 될까
요? 이런 식으로 우리를 언제까지 써먹을 건지 알 수가 없습니다.

참을 수 있을 때까지 참아왔습니다. 이제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습니다. 이제 우리의
목소리로 집회하고, 조직하고, 한국 노동자와 시민들에게 선전해서 우리들의 현실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우리는 한국 땅에서 노예가 아닙니다. 이 나라의 노동 힘입니다.
더 이상 노예처럼 일시키는 ‘산업연수생 제도’, 사업장 이동의 자유가 없는 ‘고용
허가제’, 우리들을 보호하고 노동권 보장할 수 없습니다.

오랫동안 겁주고 탄압했던 제도, 법안에 맞서 단결하면서 투쟁합시다. 이제 우리 이주
노동자들도 노동자라는 인정, 노동 권리 받고 살 수 있는 노동비자(노동허가제) 내줘
야합니다. 명동성당에서 오랫동안 투쟁하고 있는 자랑스런 동지들의 희망을 버리지 맙
시다. 질긴 놈이 승리합니다. 우리 투쟁 벌써 3달 넘지만, 시간이 문제 아닙니다. 우
리의 요구를 쟁취하기 위해 모든 힘과 생각 뭉치십시오.

우리가 할 수 있습니다. 40만 이주노동자의 해방, 또 우리처럼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한국 노동자 동지들의 노동해방을 위해서 포기하지 맙시다. 동지들 우리가 앞에 있어
야 만이 모든 연대 동지들 같이 있는 겁니다. 17일 18일 출입국 집회 아주 성공적인
집회였습니다. 우리 동지들 모두 두려워하는 마음 버리고 끝까지 했습니다. 여기서 확
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우리들은 우리의 권리 쟁취 위해 끝까지 할 거라는 것! 한국 동지들은 언제나 우
리와 함께 있습니다. 어제도 목숨 걸고 우리 동지들 보호하기 위해 싸웠습니다. 많이
다쳤다고 소식 들어서 마음 아프지만, 동지들의 영원한 연대가 항상 있어서 우리가 여
기까지 투쟁할 수 있는 거 사실입니다. 그런 동지들이 계셔서 많은 걸 배웠습니다. 동
지들과 함께 평등한 세상 만들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여기 여수 보호소에서 우리 한국 동지들한테 고맙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힘내고 열심히 투쟁합시다. 마지막으로 우리 자랑스러운 명동투쟁단 동지들 절대 포기
하지 맙시다. 절대 흩어지지 맙시다. 끝까지 투쟁합시다. 또 같이 연대해주시는 인권
단체들, 사회단체들, 문화 동지들, 그리고 성직자 동지들, 민주노총 동지들, 한국 노
동자 동지들, 학생 동지들, 많이많이 보고 싶습니다. 모두 건강하시고 좋은 시간 보내
시기 바랍니다.

마지막 날까지 투쟁하겠습니다.
투쟁, 투쟁, 투쟁
여수 보호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killjoy 2004-02-24 0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대 투쟁합시다.

killjoy 2004-03-13 07: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샤말 타파씨 후원 계좌:
“최근 단속이 강화돼 명동성당 출입이 어려워요. 한 번 이동할 때마다 차를 대절해야 합니다. 그 비용이 일주일치 농성 비용과 비슷해요. 농성 자금이 많이 부족합니다.”(후원계좌_농협386-12-095004 예금주 김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