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플하게 산다 ㅣ 심플하게 산다 1
도미니크 로로 지음, 김성희 옮김 / 바다출판사 / 2012년 9월
평점 :
'어떻게 저런 생각을 할 수 있지?' 라며, 나는 해본 적 없는 기발한 생각, 저자의 천재성에 감탄하며 책을 읽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이게 바로 내 생각인데 이 사람은 어쩌면 이렇게 잘 정리해서 일목요연하게, 설득력있게 쓸 수 있었을까?'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또한 나같은 보통 사람에 비해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뛰어남일텐데 이 책은 바로 후자에 해당한다.
<심플하게 산다> 원제가 프랑스어로 나와 있는데 난 프랑스어는 한마디도 모르지만 눈치로 보건대 <The Art of Simplicity>쯤이 아닐까.
예전에 혼자 기숙사 생활을 할때 내 방에 와본 친구들이 내 방을 보고 그랬다. 바로 어제 이사온 사람, 아니면 바로 내일 이사나갈 사람의 방 같다고. 그만큼 방 안에 뭐가 없다는 얘기이다. 지금도 책꽂이에, 냉장고에, 옷장에, 뭐가 꽉 차 있으면 불안해진다. 텅 비어있을때보다 더 내 심기를 건드린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사놓고 읽지 않은 책들이 쌓여간다고들 하는데 나는 그런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된다. 뭔가 자꾸 쌓이는게 싫은 나는 책도 웬만해선 미리 사놓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도리어 읽은 책은 리뷰를 쓰고나서 누굴 주거나 중고책으로 파는 것으로 정리하는게 대부분이다. 나중에 또 보고 싶으면 어떻하냐고? 그럼 그때 또 사면 된다. 그런데 아직까지 그런 일은 거의 없다.
식사 준비할때에도 나의 이런 성향이 드러나는데 여러 가지 반찬이 올라와있는 밥상이 좋은 밥상이라고 생각하질 않는다. 물론 음식 솜씨가 별로 없어서이기도 하지만, 어떤 접시도 그냥 들러리로 상에 올랐다가 내려지는 것 없이, 적은 가짓수로 꽉 찬 밥상을 차리고 싶어한다. 그러려면 여러 가지 반찬을 만들때보다 생각을 더 많이 해야한다. 적은 가짓수로도 영양적으로 충분한 식사가 되어야 하니 책도 찾아봐야 하고 내가 정한 메뉴에 대한 분석도 해봐야 한다. 필요한게 들어가있나.
이 책에 그런 구절이 나온다. 안쓰는 물건을 정리하는 첫단계는 내가 정말 좋아하는게 무엇인지, 내게 정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는 과정이라고.
심플하게 사는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 노동, 두뇌 작용이 따라줘야 하는 것이다. 안버리고 그냥 쌓아두는데에는 머리 쓸 일이 없다. 그냥 두면 되니까. "언젠가 또 필요할지 몰라." 라는 한 마디 말만 하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버리기 위해서는 진지하게 생각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즉, 머리를 써야하는 것이다. 아마도 사람들이 버리기 싫어하는데는 욕심보다도 이런 '귀찮은' 과정이 필요한 것도 이유가 아닐까?
열 몇평 짜리 아파트에 살면서 30평대 처럼 사는 집이 있다. 삼십 평대 아파트에 살면서 열 몇 평 아파트에 사는 것처럼 사는 사람이 있다. 차이가 무엇일까? --> 이건 가끔 내가 남편과 아이에게 "정리하라'는 잔소리할때 하는 얘기이다. 버리는 것은 낭비, 버리지 않는 것이 곧 더 소유하는 것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그게 더 낭비인걸 모른다. 내가 쓸 수 있는 공간의 낭비.
요즘 많이 나와있는 정리의 기술을 주제로한 책들과 이 책의 차이가 무엇인지 읽어본 사람은 알 것이다. 심플하게 사는 것의 철학을 얘기하고 있다는 것을.
몸의 어디에 좋기 때문에 이걸 먹어야 하고, 다른 어디에 필요하니까 또 다른 종류의 뭘 먹어야 하고, 건강에 대한 정보가 넘쳐나면서 건강 식품, 영양제 등을 파는 광고가 사람들을 솔깃하게 한다. 양파 한가지 먹으면서도 몸의 여기에 좋으니까 이걸 특히 많이 먹어줘야 하고, 고기는 고기대로 충분히 먹어줘야 하고, 이건 이래서 먹어줘야 하고 저건 저래서 먹어줘야 한단다. 하지만 내 생각엔 뭘 더 먹어서 건강해질 생각을 하기보다는 몸에 좋지 않은 걸 하나라도 먹지 않음으로써 챙기는 건강이 더 먼저가 되어야 한다. 일단 돈도 덜 들고.
꼭 하고 싶은 말이 있거나 쓰고 싶은 글이 있을때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반복하게 된다. 더 좋은 단어, 문장이 떠오를때마다 포기할 수 없어 쓰고 또 쓰기 때문이다. 그럴수록 농축된 짧은 말, 글로 끝내야 더 차원높은 말, 글이 된다는 걸 모르는바 아니면서.
이 책에서 인상깊은 구절을 여기에 다 옮겨적지는 않기로 한다. 마음다스리기 편에 나와있는 문장 딱 하나만 남겨두자.
자기 자신을 바로잡는 것이 그 어떤 지식을 얻는 것보다 우리를 훨씬 더 자유롭게 만들어준다.
이게 심플하게 사는 것과 무슨 상관이냐고? 읽어보면 알게 된다. 자유와 어떻게 관련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