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성의 자유를 합당한 이유없이 침범하는 것은 폭력(강제)이다. 그러나 비록 자발성의 자유에 대한 제지라고 할지라도, 그것이 만약 합당하다면 그 제지는 침범도 폭력도  아니다. 따라서 자발성의 자유는 한편으로 ① 지식의 확대와 함께 ② 사회적 합의를 통해 더 많이 향유될 수있다. 이 두 가지를 방해 · 무시하는 행위나 제도도 자발성의 자유를 침해하는 폭력이다. 이때 자발성의 자유는 폭력에 저항하는 것이다.
- P3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크의 말처럼 인간이 항상 가장 좋은 것을 의지한다면 인간은 항상좋은 것만을 결정하게 된다. 그렇다면 인간 세계는 좋은 것으로 넘쳐나야 한다. 그러나 인간은 실제로 나쁜 것을 선택한다. 인간 세계는 좋은것만큼 나쁜 것도 많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가? 로크의 대답은 간단하다. 사람들마다 좋은 것과 나쁜 것에 대한 판단이 다르기 때문이다. 모든 인간이 좋은 것을 지향하고 결정하지만, 그것이 다른 모든 인간에게도 좋은 것은 아니다. 어쨌거나 의지의 결정 과정은 쾌락을 지향하는 인간의 조건으로부터 자연주의적으로 결정된다. 인간은 스스로 결정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인과적 고리에 따라 필연적으로 결정된다. - P3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나 이미 적이 있는 경우와 아직 목표가 불분명한 상황은 많이 다르다. 서로가 동원할 수 있는 정치적 에너지가 다르다. ‘~으로부터의 자유‘의 경우에는 공동의 적을 설정하기가 쉽기 때문에 그만큼 쉽게 정치적 에너지를 끌어모을 수 있다. 그만큼 시민이 이용당하기 쉬운 프레임이다. 반면에 ‘~을 향한 자유‘는 공동의 목표가 설정되어야만 정치적에너지의 동원이 가능한데, 이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정치권력에 관심을 가진 세력은 ‘~을 향한 자유‘의 프레임보다 ‘~으로부터의자유‘의 프레임에 관심을 집중한다.
최근의 정치 지형을 볼 때, 보수적인 정치 세력일수록 ‘~을 향한 자유‘의 프레임보다 ‘~으로부터의 자유‘의 프레임에 배타적 우선성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진보적인 정치 세력은 확실한 입장을 정하지 못하고 어정쩡한 방어적 자세를 취한다. 그 때문에 보수는 마치 자유의 수호신처럼 그려지는 경우가 많은 반면에, 진보는 자유의 그림자에만관심을 갖는 것처럼 보인다. 보수가 자유 개념을 축소, 오염, 왜곡하는경향이 강하다면, 진보는 자유 개념을 외면, 환원,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유는 기본권 중의 기본권이다. 따라서 왜곡과 무시받지 않을자유 개념의 확립은 헌법 애국주의적 관점에서 매우 중대한 사항이다. - P3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맡겨진 소녀
클레어 키건 지음, 허진 옮김 / 다산책방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화 되었다고 한다. 글을 읽고 있는데 영화를 보고 있는듯한 느낌이다. 원서로도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갈 진입로에서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밟는 소리와 대문이 열리는 소리가 들리고, 어느새 나는 내가 제일 잘하는일을 하고 있다. 생각할 필요도 없는 일이다. 나는 선 자세에서 곧장 출발하여 진입로를 달려 내려간다. 심장이 가슴속이 아니라 내 손에 쥐어져 있는 것 같다. 나는 내 마음을전하는 전령이 된 것처럼 그것을 들고 신속하게 달리고 있다. 여러 가지 일들이 마음속을 스친다. 벽지에 그려진 남자아이, 구스베리, 양동이가 나를 아래로 잡아당기던 그 순간, 길 잃은 어린 암소, 젖은 매트리스, 세 번째 빛, 나는 내여름을 지금을, 그리고 대체로 지금 이 순간만을 생각한다. - P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