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백인의 눈으로 아프리카를 말하지말라 - 한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그래서 더 진실한 아프리카의 역사 이야기 백인의 눈으로 아프리카를 말하지 말라 1
김명주 지음 / 미래를소유한사람들(MSD미디어)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인의 눈으로 아프리카를 말하지 말라’’

사뭇 도전적인 제목으로 인해 요즘 ‘’흔히들’’ 가는 해외봉사활동을 갔다왔거나, 가고자 하는 독자이거나, 요즘 텔레비전에 주기적으로 비춰지는 아프리카의 가난하고 굶는 아이의 영상을 본 사람이라면 관심을 가지고 볼 만한 책이다. 작가는 기획재정부 공무원 출신으로 AfDB에 파견근무하며 아프리카의 실정에 대해 한국인의 시각으로 책을 서술 하였다. 

도전적인 제목에서 기대할 수 있는 내용은 백인이 이때까지 아프리카를 도와 준다고 하면서, 사실 어떻게 더 어렵게 만들었는지에 대해 논리적이고 약간은 학구적인 증거를 제시해 주길 기대하였다. 말하자면,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 저)’’ 나 ''세계의 절반 구하기(윌리엄 이스터리)'' 같은 류의 책을 기대하였던 것 같다. (소제목인 ‘역사이야기’를 간과하였다.)

이러한 예상과는 달리, 책은 전체적으로 시간순으로 아프리카의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인류의 조상 루시가 아프리카대륙에서 발견됏음을 강조하며 아프리카대륙의 유구한 역사성을 강조하면서 책을 시작한다. 15세기에 스페인, 포루투갈이 식민지 개척을 시작하면서 부터 100~200년간 서구강대국들이 다양한 방법으로의 식민지배를 해온 역사에 대해 아프리카 지역별로 (동서남북 아프리카) 나누어 설명한다. 근대로 넘어와서는 각 나라의 독립이후에 독재정치에 대해 나라별로 4~5 페이지 정도로 설명한다. 

이 책은 오히려 ‘처음 읽는 아프리카의 역사(루츠판다이크&데니스 도에 타마클로에) 에 서구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더해 진 책이라고 생각한다. 역사에 대해서는 다소 지루하지만, 자세히 알기 쉽게 풀어 쓴 책이다. 이러한 시각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는 다소 강하고, 비판적인 어조가 될 수 있겠으나 현재 학계에서 서구의 아프리카 근대개발역사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고려한다면, 그리 강하진 않을지도 모르겠다.

개인적으로는 작가의 서술톤이 읽는 내내 불편했다. 학구적인 글이 아니니 (내용은 그러했지만) 어조가 세련되지 않았는데, 그렇다고 쿨하지도 않은 어조랄까... 백인들의 아프리카 정복 역사에 대해서 상당한 양(책의 1/3)을 할애하며 백인들의 수탈과 지배가 현재 아프리카의 가난한 모습을 초래했다고 설명한다. 이에 대한 주장과 근거자료들은 충분히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또한 내가 전적으로 동의함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서술톤은 나의 신경을 미묘하게 건드린다. 

‘’유럽 제국주의 국가들은 아프리카에 언어와 문자를 전파하면서 문명화 미션을 완수했다고 떠들어댔다. 그러나 사실 그들이 아프리카에 언어와 문자를 전파한 이유는 아프리카의 식민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노예도 주인이 하는 말을 알아들어야 일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유럽 제국주의 국가들은 식민지 통치를 하면서 종교를 바꾸는 것에는 신경을 덜 쓴것이 분명하다. 종교가 달라도 말만 알아들으면 부려먹는 데 문제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노예가 같은 신을 떠받드는 것이 싫어서 였을까. (p.255)’’

종교전쟁으로 몸살을 앓는 아프리카에 대해 설명한 대목이다. 식민통치를 하면서 종교보다 문자에 더 신경을 썼다고 주장하는 것이 납득되지 않는다. 문자를 전파하는 것과 종교를 전파하는 것은 분명 다른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부분인데, 노예가 같은 신을 받드는게 싫었다고 표현한것이 딱히 동의가 되지는 않는다.

‘’1994년 우리나라의 고속철 기종 선정 때 프랑스가 독일 및 일본과의 경쟁에서 이기면서 테제베(TGV) 가 최종기종으로 선정됐다. 이때 프랑스는 병인양요 때 훔쳐간 외규장각 도서반환에 구두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정부는 테제베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가 가장 낮았는데도 불구하고 프랑스를 믿고 테제베를 선정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외규장각 도서는 돌려주지 않고 (결국 대여형식으로 돌아오긴 했지만) 같은 수준의 문화재를 교환하자고 고집했다. 프랑스의 그 야비하고 비열함이란. …. 에펠탑의 고철 덩어리와 노트르담 대성당의 돌덩이를 보고 감탄만 하거나 루이비통과 샤넬에 눈이 뒤집힐 때가 아니다. 지금이라도 우리는 프랑스의 이중성과 비열함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p.312-313)

한국정부가 프랑스를 ‘믿고’ 구두로 돌려준다는 약속 자체를 믿은 거 자체가 정부의 실책으로 보이는데, 계약서를 쓰지 않는 이상 구두로 한 국가 대 국가의 약속에 대해 지키지 않는다고 해서 배신감을 느낀다는 것은 우스워 보이기 까지 하다. 물론 국가간의 신뢰 상태에서는 구두로 한 약속도 지켜야 하는 것이 맞지만, 이 대목에서 오히려 한국정부의 외교능력과 수완이 의심스러워 진다. 이 때 내가 기억하기로는 외규장각도서가 한국으로 보내지는 것에 반대하여 루브르 직원들이 파업을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에 반해 외규장각도서를 돌려받기 위해 우리나라 국민들은 무엇을 하였던가. 그저 강대국의 횡포에 대해 안타까워하고 욕한거 밖에 없지 않은가. 

또한, 내가 거슬리는 것은 백인의 침략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하며 책을 썼지만, 한국인의 아프리카 침략 또는 진출에 대해서는 관대하게 본다는 점이다. 미국,영국,프랑스 등의 강대국의 침략 또는 지배가 아프리카를 병들게 한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신규 진출국 인 중국, 일본, 한국 등도 이들 강대국들의 잇속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 신규 진출국 중 한국만은 딱히 문제가 없는 것처럼 묘사된다. 오히려 책의 마지막 닫는 글에서 아프리카에는 식민지근성이 남아있어서 자신들을 지배했던 강대국 사람들에게 여전히 굽신거리고, 한국은 개성이 강하고 지기 싫어하기 때문에 일본에게 35년 식민지배를 받았어도 오히려 강대국 사람들에게 당당하다는 것이다. 비슷하게 사대주의를 설명하지만, 이건 지배층에 한한 것이고, 일반 국민은 개성이 강하다고 주장한다. 전혀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다.

한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아프리카 라기 보다는 한국을 매우 사랑하는 국수주의 공무원의 눈으로 바라봤다고 해야 할 것 같다.
또한 더 진실하다기 보다는 아프리카의 가난에 대한 여러가지 주장 중에 하나를 선택했다는 것을 감안하고 책을 봐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적정기술 그리고 하루 1달러 생활에서 벗어나는 법
폴 폴락 지음, 박슬기 옮김 / 새잎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국제개발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개론서가 될 책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나같이) 개발분야에 처음 발을 딛는 사람이라면, 무엇부터 해야할지, 어떻게 생각하고 결정해야할지 망설여 질 때가 많은데,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은 부분 마음의 평안을 찾을 수 잇었다. 실용적인 문제해결방법 (소득증대)에서 부터 구체적인 사례에 까지 방대하게 담은 책이다. 폴 폴락이 30여년간 시행착오를 거쳐 이루어낸 IDE 의 페달펌프, Drip irrigation (물방울 관개시설??) 은 독자들을 고무시키기에 충분한 사례다. 

 

또한, 개도국에서 가장 필요로하는 농업분야에서의 소득증대방법에 집중했다는 점에서 무한 박수를 보낸다. 예를 들면, 소작농이나 작은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소득증대 할 수 있는 첫단계는 환금작물을 기르는 것이라고 말한다.

"The first step that will lead to prosperity for small farms is to identify four or five high-value off-season fruits or vegetables for each agroclimatic zone that are likely to have sustainable market demand and can be grown successfully on quarter-acre intensively cultivated, irrigated plots."

실제로 그러하다! 농업이외의 비즈니스(street vendors, sewing service, carpenter...) 로 부가소득창출을 기획 할 때가 있는데, 본질적으로는 농업생산량이 늘거나, 면적 당 소득율이 높아지는 사업을 기획해야 주로 농업으로 먹고사는 개도국주민들의 형편이 나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마디 한마디가 주옥같아서 딱히 요약하거나 악평을 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은 책이다. 그러나 예나 대화체가 많으므로, 불필요한 부분은 스캐닝하며 읽어야 할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소외된 90%를 위한 비즈니스’를 읽은 후 읽었는데, 이 책과 겹치는 부분이 상당히 있었기에 그 부분은 좀 아쉬웠다. 그러나, 이 책은 초점이 농업에 주로 초점이 맞춰저 있고, ‘소외된 90%를 위한 비즈니스’는 비즈니스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므로, 본질적으로는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소외된 90%를 위한 비즈니스’가 좀 더 쉽게 쓰여진 책이다. 


마지막으로 챕터1의 실제적인 문제해결 12가지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서평을 마치고자 한다.


1. Go to where the action is. : 현장에서 직접 대화하며 일해야 함을 강조 (이것이 넘버원!)
 

2.Talk to the people who have the problem and listen to what they say. : 주민들과 직접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중요함.
 

3. Learn everything you can about the problem’s specific context. : 인터뷰할 때도 자세하게 물어봐야 답을 자세히 얻을 수 있음
 

4. Think big and act big.: 애초에 타겟을 10억명으로 잡기
 

5. Think like a child.: 문제의 근본이 먼지 부터 생각하기
 

6. See and do the obvious.: 뻔한 걸 먼저하기
 

7. If somebody has already invented it, you don’t need to do so again. : 기존 시장에 있는 제품을 활용하기
 

8. Make sure your approach has positive measurable impacts that can be brought to scale. Make sure it can reach at least a million people and make their lives measurably better. : 전세계를 대상으로 영향력을 끼쳐야 한다.
 

9. Design to specific cost and price targets. : 구체적 숫자를 제시하려고 노력
 

10. Follow practical three-year plans. : 실제적인 3개년 계획 짜기
 

11. Continue to learn from your customers. : 고객과의 지속적 커뮤니케이션

12.Stay positive: don’t be distracted by what other people think. :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 가지기

폴폴락의 목표는...
I have set a target for IDE of ending the poverty of 30 million dollar-a-day families by the year 2020 by using these twelve principles, and I’m sure we’ll make it. 

 

3천만명! 구체적이고 멋있지 아니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소외된 90%를 위한 비즈니스
폴 폴락 & 맬 워윅 지음, 이경식 옮김, 김정태 감수 / 더퀘스트 / 2020년 2월
평점 :
판매중지


개발을 시행함에 있어서 이론가, 실행가 모두 고민이 많다. 

너무 많은 방법과 철학과 이론들이 개발 내에 논의되고 있어서, 시대별 트렌드만 가지고만은 이것이 제대로 된 개발일 것이요 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고, 현재까지도 갑론을박 중이다.

80년대 워싱턴 컨센서스를 거쳐오면서 개발의 패러다임은  무조건 퍼주기식 원조에서 조건부 원조, 미시적으로는 소액금융 (microfinance)에서 부터 기업가개발(entrepreneurship) 등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효과적인 개발에 대한 논의는 주로 경제학자를 중심으로 이루어 졌으나, 최근 이십여년 간에는 사회학자, 인류학자, 심지어는 공학자들까지 합세하여 판을 키워가고 있다.

본 책의 저자인 폴 폴락은 본래 의사지만, 평생을 개도국 ‘주민’들의 가난탈출을 위해 헌신해 왔다. 전작 '적정기술 그리고 하루 1달러 생활에서 벗어나는 법 (out of poverty)' 에 이어 개도국 주민 개개인의 가난을 해결할 수 있는 비즈니스 방법에 대한 책을 썼다. 책을 읽기 전에는 개도국 주민이 어떤 사업을 할 수 잇을지에 대한, 즉 기업가 정신에 대한 책일 것이라 예상했으나, 오히려 선진국이든 개도국이든 개도국 주민을 대상으로 ‘내가’ 어떤 사업을 할 수 있지에 대해 알려준다.

책에서 기본으로 하고 있는 개념은 ‘제로베이스 설계’, 간단하게 모든 편견과 계획, 머리의 계산된 정보들을 버리고, ‘제로’에서 부터 새롭게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책을 읽으면서 메모한 내용을 공유해보면
-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비즈니스 
- 어떻게 시장을 바꿀지 생각하라 : 컴퓨터가 북반구를 바꾸었듯이 시장을 바꾸는 아이템을 생각해야함
- 규모를 염두에 둔 설계 : 애초부터 10만개를 팔 것을 염두에 두고 설계해야 함.
- 반드시 높은 수익을 내라
- 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춰라 : 개도국 주민은  비싼걸 오래 쓰기보다 질은 좀 허접해도 싸게 여러번 사는걸 선호함 
- 유통에 대해 고민하라 :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다른지역에서도 쉽게 따라할 수 있게
- 제대로 된 브랜드를 만들어라.

고무적인 비즈니스 설계론을 살짝 던져놓은 다음, 폴락이 개도국에서 해왔던 비즈니스 (페달펌프, drip irrigation) 등을 자세히 소개한다. (이 부분은 전작 out of poverty 와 다수 겹친다) 이어,  스탠포드 대학의 D-light design, 친환경 화장실 Fertiloo, 인도 물회사 Spring health 등 비교적 성공적으로 개도국에서 비즈니스를 개진한 아이템들을 소개해준다. 

이 책의 결론은 간단하고 분명하다. 
이제껏 주목받지 못했던 ‘지구의 남반구 (Global South)’에 1달러로 생활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비즈니스 에 오히려 기회가 많이 있음을 깨닫고, 이들을 대상으로 성공할 수 있는 아이템 찾기 정도가 될 것이다.

‘'가난한 사람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모발 영양제나 스킨로션이 아니다. 깨끗한 물,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저렴한 음식, 좋은 집, 보건 혜택, 교육의 기회, 유용한 정보, 그리고 경제적으로 자립하도록 도와주는 여러가지 도구들과 이동 수단이다. 

1) 적어도 10억명의 가난한 농부들은 소규모 물주기 시설과 같은 소득 창출도구들을 값싸게 구입하지 못한다. 소출을 높일 수 있는 영농정보를 쉽게 구하지 못하고, 작물을 시장으로 쉽게 내다 팔지도 못한다.
2) 가난한 농부들은 작물보험에 들고 싶지만 들지 못했고, 이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건강보험과 상해보험에 가입하지 못했다. 그래서 이들은 성공의 기회를 그만큼 박탈당한다.
3) 전세계에서 거의 10억명이 배고픔으로 고통받는데, 그들은 저렴한 가격의 ‘제대로 된’ 식품을 접하지 못한다.
4) 10억명 이상이 형편 없는 집에서 살아가는데, 100달러에서 300달러로도 제대로 된 집을 살 수 잇다면 중산층으로 올라설 힘이 생길 것이다.
5) 적어도 10억명이 제대로 된 화장실 없이 산다.
6) 10억명 이상이 전기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
7) 10억명 이상이 저렴한 교육 서비스를 접하지 못한다.
8) 10억명 이상이 값싸고 믿을 만한 보건 서비스를 접하지 못한다.
9) 10억명 이상이 공기를 오염시키고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방식으로 조리 및 난방을 한다.''

책은 매우 고무적이고, 뒷편에 한국 사례인 햇빛영화관의 사례도 좋았으나, 실제적으로 아이템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더군다나 10억명을 대상으로 한다는데! 

지역.지형 별 차이가 있겠지만, 대대로 내려온 땅 또는 소작땅에서 농사를 주로 짓던 사람들이 하루아침에 ‘비즈니스 마인드’를 가지고, 소득증대의 필요성을 극심히 느껴서 폴락의 아이디어에 동참하기란 쉬운일은 아닐 것이다. 어찌보면 너무 ‘미국적인’ 사고방식으로 비즈니스의 중요성을 극히 강조하지 않았나는 생각도 조심스레 해본다. 어렸을 때부터 스스로의 용돈을 벌게 하고, 비즈니스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미국에서는 이렇게 하면 소득증대가 될텐데.. 라고 사고를 이어가는게 자연스러울지도 모른다. 그러나, 대부분의 (아니라면, 적어도 내가 일하는 개도국에서는) 비즈니스로 소득증대를 해야지! 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람들은 그나마 교육 받은 사람이거나, 본래 적극적인 사람인 경우가 많았다. 나의 사례가 전부가 될 수는 없겠지만, 한국에서도 누구나가 다 사업을 하려고 하진 않듯이, 개도국도 마찬가지일 거라는게 나의 소견이다.

처음의 논의로 돌아가보면, 개발은행에서 엔지오, 개인적 기금에 까지 다들 다양한 방법과 의견을 가지고 개발을 하는데, 어느방법이 효과적이고, 효과적이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논의가 계속 이루어 질것이라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도 '효과적일 수도 있는’ 방법 중 하나를 제시한다고 생각하고 읽으면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