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의 눈으로 아프리카를 말하지말라 - 한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그래서 더 진실한 아프리카의 역사 이야기 백인의 눈으로 아프리카를 말하지 말라 1
김명주 지음 / 미래를소유한사람들(MSD미디어)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인의 눈으로 아프리카를 말하지 말라’’

사뭇 도전적인 제목으로 인해 요즘 ‘’흔히들’’ 가는 해외봉사활동을 갔다왔거나, 가고자 하는 독자이거나, 요즘 텔레비전에 주기적으로 비춰지는 아프리카의 가난하고 굶는 아이의 영상을 본 사람이라면 관심을 가지고 볼 만한 책이다. 작가는 기획재정부 공무원 출신으로 AfDB에 파견근무하며 아프리카의 실정에 대해 한국인의 시각으로 책을 서술 하였다. 

도전적인 제목에서 기대할 수 있는 내용은 백인이 이때까지 아프리카를 도와 준다고 하면서, 사실 어떻게 더 어렵게 만들었는지에 대해 논리적이고 약간은 학구적인 증거를 제시해 주길 기대하였다. 말하자면,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 저)’’ 나 ''세계의 절반 구하기(윌리엄 이스터리)'' 같은 류의 책을 기대하였던 것 같다. (소제목인 ‘역사이야기’를 간과하였다.)

이러한 예상과는 달리, 책은 전체적으로 시간순으로 아프리카의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인류의 조상 루시가 아프리카대륙에서 발견됏음을 강조하며 아프리카대륙의 유구한 역사성을 강조하면서 책을 시작한다. 15세기에 스페인, 포루투갈이 식민지 개척을 시작하면서 부터 100~200년간 서구강대국들이 다양한 방법으로의 식민지배를 해온 역사에 대해 아프리카 지역별로 (동서남북 아프리카) 나누어 설명한다. 근대로 넘어와서는 각 나라의 독립이후에 독재정치에 대해 나라별로 4~5 페이지 정도로 설명한다. 

이 책은 오히려 ‘처음 읽는 아프리카의 역사(루츠판다이크&데니스 도에 타마클로에) 에 서구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더해 진 책이라고 생각한다. 역사에 대해서는 다소 지루하지만, 자세히 알기 쉽게 풀어 쓴 책이다. 이러한 시각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는 다소 강하고, 비판적인 어조가 될 수 있겠으나 현재 학계에서 서구의 아프리카 근대개발역사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고려한다면, 그리 강하진 않을지도 모르겠다.

개인적으로는 작가의 서술톤이 읽는 내내 불편했다. 학구적인 글이 아니니 (내용은 그러했지만) 어조가 세련되지 않았는데, 그렇다고 쿨하지도 않은 어조랄까... 백인들의 아프리카 정복 역사에 대해서 상당한 양(책의 1/3)을 할애하며 백인들의 수탈과 지배가 현재 아프리카의 가난한 모습을 초래했다고 설명한다. 이에 대한 주장과 근거자료들은 충분히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또한 내가 전적으로 동의함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서술톤은 나의 신경을 미묘하게 건드린다. 

‘’유럽 제국주의 국가들은 아프리카에 언어와 문자를 전파하면서 문명화 미션을 완수했다고 떠들어댔다. 그러나 사실 그들이 아프리카에 언어와 문자를 전파한 이유는 아프리카의 식민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노예도 주인이 하는 말을 알아들어야 일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유럽 제국주의 국가들은 식민지 통치를 하면서 종교를 바꾸는 것에는 신경을 덜 쓴것이 분명하다. 종교가 달라도 말만 알아들으면 부려먹는 데 문제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노예가 같은 신을 떠받드는 것이 싫어서 였을까. (p.255)’’

종교전쟁으로 몸살을 앓는 아프리카에 대해 설명한 대목이다. 식민통치를 하면서 종교보다 문자에 더 신경을 썼다고 주장하는 것이 납득되지 않는다. 문자를 전파하는 것과 종교를 전파하는 것은 분명 다른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부분인데, 노예가 같은 신을 받드는게 싫었다고 표현한것이 딱히 동의가 되지는 않는다.

‘’1994년 우리나라의 고속철 기종 선정 때 프랑스가 독일 및 일본과의 경쟁에서 이기면서 테제베(TGV) 가 최종기종으로 선정됐다. 이때 프랑스는 병인양요 때 훔쳐간 외규장각 도서반환에 구두로 합의한 바 있다. 우리 정부는 테제베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가 가장 낮았는데도 불구하고 프랑스를 믿고 테제베를 선정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외규장각 도서는 돌려주지 않고 (결국 대여형식으로 돌아오긴 했지만) 같은 수준의 문화재를 교환하자고 고집했다. 프랑스의 그 야비하고 비열함이란. …. 에펠탑의 고철 덩어리와 노트르담 대성당의 돌덩이를 보고 감탄만 하거나 루이비통과 샤넬에 눈이 뒤집힐 때가 아니다. 지금이라도 우리는 프랑스의 이중성과 비열함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p.312-313)

한국정부가 프랑스를 ‘믿고’ 구두로 돌려준다는 약속 자체를 믿은 거 자체가 정부의 실책으로 보이는데, 계약서를 쓰지 않는 이상 구두로 한 국가 대 국가의 약속에 대해 지키지 않는다고 해서 배신감을 느낀다는 것은 우스워 보이기 까지 하다. 물론 국가간의 신뢰 상태에서는 구두로 한 약속도 지켜야 하는 것이 맞지만, 이 대목에서 오히려 한국정부의 외교능력과 수완이 의심스러워 진다. 이 때 내가 기억하기로는 외규장각도서가 한국으로 보내지는 것에 반대하여 루브르 직원들이 파업을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에 반해 외규장각도서를 돌려받기 위해 우리나라 국민들은 무엇을 하였던가. 그저 강대국의 횡포에 대해 안타까워하고 욕한거 밖에 없지 않은가. 

또한, 내가 거슬리는 것은 백인의 침략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하며 책을 썼지만, 한국인의 아프리카 침략 또는 진출에 대해서는 관대하게 본다는 점이다. 미국,영국,프랑스 등의 강대국의 침략 또는 지배가 아프리카를 병들게 한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신규 진출국 인 중국, 일본, 한국 등도 이들 강대국들의 잇속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 신규 진출국 중 한국만은 딱히 문제가 없는 것처럼 묘사된다. 오히려 책의 마지막 닫는 글에서 아프리카에는 식민지근성이 남아있어서 자신들을 지배했던 강대국 사람들에게 여전히 굽신거리고, 한국은 개성이 강하고 지기 싫어하기 때문에 일본에게 35년 식민지배를 받았어도 오히려 강대국 사람들에게 당당하다는 것이다. 비슷하게 사대주의를 설명하지만, 이건 지배층에 한한 것이고, 일반 국민은 개성이 강하다고 주장한다. 전혀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다.

한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아프리카 라기 보다는 한국을 매우 사랑하는 국수주의 공무원의 눈으로 바라봤다고 해야 할 것 같다.
또한 더 진실하다기 보다는 아프리카의 가난에 대한 여러가지 주장 중에 하나를 선택했다는 것을 감안하고 책을 봐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