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
홍세화 지음 / 한겨레출판 / 1999년 5월
구판절판


"서른 명의 학생이 하나의 죽은 정물을 바라보는 모습은 전혀 아름답지 않습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어느 젊은 여교사에게 왜 미술시간에 학생들에게 석고 데생을 시키지 않느냐는 질문에.-85쪽

"당신 말이 전적으로 옳소, 무슈 수상."-시락의 "당신을 무슈 대통령이라고 불러 마당하겠으나 지금은 똑같은 후보의 처지로서 만나는 것이므로 무슈 미테랑이라고 부르겠소."에 대한 미테랑의 대꾸-102쪽

토론자의 무기는 칼이 아니라 말이며, 수사법이며, 정연한 논리이며, 정확한 용어와 발음의 구사이다.
"단결로 인내하는 것은 토론이다"-죠스팽-103쪽

어디서나 난시(亂時)에 살아 남는 데에는 양비론보다 더 좋은 보신책이 없는 것 같다. 행동보다 말로 한 몫 보는 현대의 양비론자들은 비유컨대, 바둑이나 장기를 두는 양쪽에서 훈수를 두는 사람과 비슷하다. 자신을 내세우면서 싸움의 현장에서 떠나 있다. 현실이란 좌표 바깥에서 고고한 비판 놀음을 즐기는 것이다.-194쪽

....대부분은 동향보고자들이어서 분석도 필요없고 문제의식도 필요없다. 정치인들에게 정책이나 주장을 끌어낼 필요도 없다. 한국의 기자들이 공부를 하지 않고도 기자노릇을 할 수 있는 까닭도 바로 이것이다. 동향보고서를 쓰면 되는데 왜 공부를 하겠는가? 공부를 안 하는 대신에 한국의 기자들이 꼭 해야 할 일이 한 가지 있다. 술을 잘 마시는 일이다.-207쪽

극우와 광신은 하나의 뿌리에서 자란다. 유신 긴급조치시대의 암울한 공기를 한 웅큼도 숨쉬어 보지 않은 젊은이가 박정희 씨를 숭배하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이런 사람을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볼테르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광신주의자들의 열성이 수치스러운 것이라면 지혜를 가진 사람이 열성을 보이지 않는 것 또한 수치스러운 일이다. 신중해야 하지만 소극적이어선 안 된다."-243쪽

.......1961년 10월 17일의 증언을 전한 <르 몽드>의 기자는 이렇게 적고 있다.
"프랑스를 사랑한다는 것, 그 정체성을 쓰다듬는다는 것, 그 미래를 건설한다는 것이 다만 잃어버린 위대한 과거를 돌이키는 것이 아니다. 그 이름으로 저질렀을 수도 있는 잘못을 기억하는 것이다."
우리는 예컨대 <아사히신문>에서 이런 글을 읽은 적이 있는가?-29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간 신호등 - 원칙과 소신을 지키기 위한 자기성찰의 거울
홍세화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7월
절판


자유로운 시장에서 상품 가격은 경쟁을 통해 단일 가격이 형성된다. 하지만 사상은 전체주의 사회에서조차 단일화되지 않으며 자유로운 시장에서 토론과 대화를 통해 풍요로워진다. 그래서 "우리들의 부싯돌은 부딪힐수록 빛이 난다(볼테르)." 사상과 의견은 부딪힐수록 다듬어지고 견고해지고 진리에 가까워질 수 있다. 사람을 감옥에 쳐넣거나 심지어 죽인다고 해도, 사상은 감옥에 처넣을 수 없으며 또 죽지 않는다. 16, 17세기부터 인문주의자들이 "사상의 자유, 양심의 자유는 주장될 필요조차 없다"고 말했던 이유는 사상과 양심은 이미 자유로운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인간이 존엄한 존재인 까닭이 다른 데 있지 않다.-132~133쪽

요컨대, 한 사회의 언론 종사자들에게 양식(良識)이 있는가 없는가의 정도는 사회구성원들, 즉 독자들의 비판의식 정도에 의해 규정된다.-193쪽

........문제는, '무지하지 않은 것'과 '무지하지 않다고 믿는 것'이 서로 다르다는 점에 있다. 스스로 무지하다고 인정할 때엔 무지로부터 벗어날 수 있지만, 무지하면서도 무지하지 않다고 믿을 때엔 무지에서 벗어날 길이 없다. 이는 뻔뻔한 사람이 스스로 뻔뻔함을 알지 못하여 뻔뻔함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20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