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는 '비'가 아버지와 아들을 이어주는 하나의 모티브가 된다. 김장훈의 '소나기'라는 음악으로 뮤직비디오가 되었다.

크로싱이란 영화는 기억에 많이 남을 것 같다. 북한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티케팅을 하면서 (할인된다는 사이트로 들어가서 고생끝에 티켓을 구매함) 영화 티켓을 손에 쥐기까지 - 그리고 영화를 마치고 나서 예상치 못했던 무대인사(감독, 준이역 아이, 차인표)가 감동이었다.

 

그리고 나머지 영화의 영상들, 이야기들이다:

 

인터뷰 내용이다: 

 

영화의 메이킹 필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닥터 홀의 조선회상
셔우드 홀 지음, 김동열 옮김 / 좋은씨앗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시대는 흐르고 시대는 변했다. 역사라는 것이 현재를 살고 있는 내게 어떤 의미가 있고 현시대와 연결된 것이라는 점을 알게 해준 최초의 책이었다. 바로 우리나라, 대한민국, 한국, 남한인 이 나라의 옛날 이야기인 조선에 대한 이야기이다.

역사를 바라보고 해석하는데 있어서 그 관점이 중요한데, 내가 읽은 이 책은 2대에 걸쳐 목숨을 바치고 이 땅에 그 뼈를 묻은 홀 가족 선교사님 통해 본 근대사 - 조선의 이야기이다. 그리고 일본의 점령으로 추방당하며 그의 한국에서의 이야기는 마친다.

이것이 이시대에 내 영혼에 의미있는 역사가 아니겠는가.

조선이라는 나라를 영적인 역사의 내용을 볼 수 있어서 귀한 시간이었다. 이 책은 작년 DTS 하면서 애찬 선물로 받은 것인데 6월 호국의 달을 맞이하여 읽게 되니 더욱 귀한 시간이 아닐 수 없었다.

조선의 근대의 시대 상을 읽으면서 내내 신기하고 새로웠다. 그 정도로 내가 내 나라의 옛 역사 의식과 감각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 1800년 후반에서부 시작하는 홀 가족의 조선에 대한 기록 중 신기한 것은 그 당시 닥터 홀이 조선에 처음 왔을 때의 모습일 것이다. 바퀴 달린 것을 하나도 찾아 볼 수 없었다는 그녀의 일기를 아직도 잊을 수 없다.

그러던 조선, 이 나라가 이렇게 하나님의 큰 축복으로 발전하게 되었다니, 그것은 하나님의 큰 은혜가 아니고서야 이룰 수 없을 것이다. - 이것이 하나님의 역사가 아니고서야 무엇이겠는가.

조선말 - 근대사 한국의 역사는 하나님의 역사와 연결되어 있다. 우리는 그냥 가만히 있으면 안된다. 기도해야 한다. 하나님께 다시 한번 그 때를 기억하며 부르짖어야 한다.

"주님, 이 나라를 사용하여 주옵소서!"

이 책을 마무리하면서 셔우드 홀도 그 점을 상기하며 끝 맺고 있다. 1970년대 한 선교사님의 글을 인용하면서 한국은 이제 선교사를 파송하는 영적 강국이 되었다는 고백에 나는 너무도 자랑스럽고 감사드렸다.

하나님 이 글을 읽을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나라를 이렇게 발전시켜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 이 나라를 살려주시고 발전시켜주신 것을 기억하며 잘 살도록 도와주옵소서.

이 책을 읽으면서 감동을 받아 CCMPIA 에서 '나의만 앨범 - 선교사'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들을 수 있다. -> http://www.ccmpia.com/music/?m=my_album&uid=2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나라, 대한민국, 한국, 옛날 조선을 생각하는 시간이었다.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끝도 없는 일 깔끔하게 해치우기- KI 신서 418
데이비드 알렌 지음, 공병호 옮김 / 21세기북스 / 2002년 3월
10,000원 → 9,000원(1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08년 06월 14일에 저장
구판절판
2008년 필독서 교육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민방위 훈련으로 하루 휴가를 내고 전날 기분을 내면서 목동 현대 백화점 CGV

  

/// 

2009년 5월 3일(주)에 OCN에서 다시 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책에 '헐버트 박사'의 이야기가 나온다.

   
 

 헐버트 박사는 고종 황제를 대변하여조선 독립을 위해 활동했다. 그는 개인적으ㅗ 활동했는데 성공하지 못했었다.1905년 노일 전쟁 결과로 포츠머드(Portsmouth)에서 휴전 조약이 서명되기 전에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조선으 위해 청원했다.

 
   

그래서 찾아보니 '한국의 은인', '고종이 보낸 편지', '헐버트 기념 사업' 등 많은 자료를 찾을 수 있었다.

한국에 출발된 책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