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지 않는 사람들 - 20세기를 온몸으로 살아간 49인의 초상
서경식 지음, 이목 옮김 / 돌베개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서경식의 ‘디아스포라 기행’을 기억하고 있다. 부끄럽게도 나는 그 책을 보기 전에 ‘디아스포라’라는 단어가 무엇인지 모르고 있었다. 서경식의 책이라고 해서 봤는데, 읽을 때 내 가슴에서 무언가가 울컥 울컥거려 혼났다. 온 몸에 소름이 돋는 그런 느낌. 추방당한 자들, 디아스포라를 쫓는 서경식의 글에서 나는 이 세상의 그림자를 느꼈었다. 그때의 슬픔이란… 책을 보면서 그런 경험을 하게 될 줄은 전혀 몰랐었다. 그런데 서경식의 또 다른 책, ‘사라지지 않는 사람들’에서 똑같은 경험을 하고 말았다. 소름끼치는 두려움이 나를 엄습해온 것이다.

‘사라지지 않는 사람들’은 20세기를 온몸으로 살아간 49인의 초상을 그리고 있다. 살아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서경식은 ‘맺음말’에서 한나 그렌트가 20세기를 ‘난민의 세기’로 규정했다고 말하고 있다. 맞는 말인가. 나는 좀 더 구체적으로 ‘폭력의 세기’라고 말하고 싶다. 폭력의 세기. 세계대전이 일어났다. 인류가 싸움을 시작한 이래 최대 규모의 전쟁이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죽었고 또한 사라져버렸다. 그 와중에 핵폭탄이 날아갔다. 20세기를 넘어 21세기까지 두렵게 하는 것이 탄생했다. 유대인 학살은 어떤가? 유럽에서 유대인을 차별하는 것은 계속해서 존재했지만, 20세기처럼 노골적으로 잔인하게 횡횡한 적은 없었다.

아. 아프리카 난민은 어떤가. 온갖 테러는 어떤가. 동족끼리 총을 쏘게 만들었던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은 또 어떤가. 20세기는 피로 얼룩졌다. 폭력이 매순간 일어났다. 그렇다면 그 폭력이 일어난 이유는 무엇인가? ‘제국주의’적인 시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제국주의의 야심, 그것은 참으로 잔인하게 세상을 지배해갔다. 그 앞에서 인간이라는 것은 보잘 것 없는 존재로 전락하고 말았다.

20세기에 인간의 생명과 존엄성은 제국주의의 욕심 앞에서는 개껌딱지보다 못한 것으로 재규정되고 말았다. 지금도 강대국들에서 마소가 먹고, 먹다가 남겨서 버리는 음식물만 해도 아프리카의 아이들을 다 먹일 수 있다. ‘난민’도 그렇다. 강대국이 손가락질 하나 하면 구원받을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은 하지 않는다. 그럴 욕심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잔인한 시대, 폭력의 세기, 광기가 지배하던 시절, 그 안에서 인간은 무슨 의미가 있는가. 의미를 묻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있다. 의미는 있다. 그 암울한 구렁텅이에서 서경식은 49인을 말함으로써 그것이 의미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독재에 맞선 파블로 네루다, 혁명을 위해 나선 에른스트 톨러, 끝까지 희망을 버리지 않았던 안네 프랑크, 칠레를 위했던 살바도르 아옌데, 글로서 나치의 추악함을 폭로했던 프리모 레비, 제국주의에 항거한 가네코 후미코, 혁명가 김산, 조선의 독립을 위했던 홍범도와 김구… 이들은 무의미했는가. 최후는 초라했을지언정 무의미하지 않는다. 온몸으로 ‘폭력’의 다른 이름인 ‘20세기’에 맞섰던 그들은, 그것만으로 의미가 있다. 이렇게 후대에 알려짐으로써 20세기라는 과거를 돌아보게 만드는 것, 그것으로도 그들의 생과 이상은 숭고하게 기억될 수 있는 것이다.

역설적이다. 참으로 아이러니한 의미 찾기다. 그 자신이 디아스포라이면서 또한 20세기를 온몸으로 살았던 서경식이기에 가능한 길 찾기가 아닌가 싶다. 그 길의 한복판에 서 있는 ‘사라지지 않는 사람들’은 놀라운 책이다. 그냥 하는 말이 아니다. 컴컴한 어둠 속에서도 작지만, 밝은 ‘빛’을 보여주는 이 책은 그런 말을 들을 만한 자격이 있다.
 
오늘 나는 지옥을 떠올렸고 몸서리를 쳤다. 그러나 지금은, 희망을 만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