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 혁명 - 녹색마을 자연학교의 참살이 건강 비법
이태근 지음 / 더난출판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사는 게 어쩔 수 없이 먹고사니즘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거라면, 그런 거라면 이왕 제대로 된 먹고사니스트가 되어보자. 요즘의 화두는 이거다; 내 몸과 마음 먼저 구체제로부터 벗어나는 것. 내 몸과 마음을 상대로 평화 생명 생태 환경 운동하는 것. 내 안의 미시물리젹 영역에서부터 변화를 꾀하는 것. 그러므로 혁명은 밥상에서부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훈 內訓 문명텍스트 5
소혜왕후 지음, 이경하 주해 / 한길사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의 위엄이란 이런 것인가. 편견을 잠시 제쳐두고 읽어보면 기대 이상으로 뜻깊은 말들이 많다. 내가 사는 시대가 여전히 여러 방면에서 조선 사회의 자취가 남아 있어 그렇기도 하겠지만 원래 화평한 가족 관계를 위해 부녀자가 명심해야 할 사항이라는 것 자체가 동서고금으로 적용되는 보편적 지침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소혜왕후 말씀을 그대로 실천하기만 한다면야 성인군자가 따로 없겠지만 나로서는 영 불가능한 일이므로 그저 몇몇 좋은 구절 곰곰이 옮겨 적어보는 것으로 만족할 따름이다.

 

마음에 간직하고 있는 것이 뜻이고 입 밖에 내는 것이 말이다. 말이라는 것은 영예와 치욕의 관건이며, 사람과의 관계를 친밀하게도 하고 소원하게도 하는 중요한 조건이다. 또한 능히 굳은 것을 풀게도 하고 서로 다른 것을 합치기도 하며 원한을 부르기도 하고 적대감을 일으키기도 하니, 크게는 나라를 뒤엎고 집안을 망치며 작게는 육친을 이간시키기도 한다. 이런 까닭에 현명한 여자는 입을 조심하니, 부끄러움과 험담을 불러들일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혹시 윗사람 앞에 있거나 한가하게 있을 때, 조금이라도 말대꾸하거나 아첨하는 말을 하지 않고, 심사숙고하지 않은 말이나 장난하는 말을 하지 않으며, 더러운 일에 간섭하지 않고 혐의를 받을 곳에 가지 않는다.

 

맑고 여유로우며 정숙하고 고요하여 절개와 가지런함을 지키며 행동함에 부끄러움을 알며 움직이고 멈춤에 법도가 있음이 바로 부덕(婦德)이다. 말을 가려서 하고 나쁜 말은 하지 않으며 때가 된 후에 말하여 다른 사람이 싫어하지 않게 하는 것을 바로 부언(婦言)이라 한다. 더러운 때를 씻어서 옷과 치장을 청결하게 하며 때에 맞추어 목욕하여 몸을 더럽게 하지 않는 것이 부용(婦容)이다. 오로지 길쌈에 마음을 두고 놀고 즐기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술과 밥을 정결히 마련하여 손님을 극진히 대접하는 것을 바로 부공(婦功)이라 한다. 이 네 가지는 여인의 큰 덕이므로 폐기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행하기는 매우 쉬우니, 단지 그것을 마음에 두면 되는 것이다. 옛사람이 이르기를, “인(仁)이 멀리 있는가? 내가 인을 하고자 하면 곧 인이 이를 것이다” 했으니, 바로 이를 두고 말함이다.

-언행장 中에서

 

시부모가 며느리를 얻는 것은 효를 행할 수 있는가에 달렸으니, 진실로 효를 다하지 못한다면 너를 들여 무엇하리오. 며느리 된 사람은 이른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공경하고 삼가며 터럭만큼이라도 시부모의 뜻에 어긋날까 염려하여야 한다. 시부모의 존귀함은 그 높기가 하늘 같으니, 모름지기 공경하여 자신이 현명하다고 믿지 말 것이요, 혹시 매질이나 꾸지람이 있더라도 기꺼운 마음으로 받아들여라. (...) 말로써 자신을 해명하려 한다면 이는 곧 시부모를 거스르는 것과 같다. 오로지 자신을 굽히고 좇아서 효와 공경에 더욱 힘써야 한다. 혹시 불러서 시키는 일이 있거든 명을 듣는 즉시 행해야 하니, 비록 몹시 힘든 일일지라도 어찌 감히 자신의 편안함을 구하리오. 평상시에는 봉양을 다하여 시부모가 시장하지 않으실까 염려하고, 병이 나시면 극진히 염려하며 옷의 띠를 풀지 말아야 한다. 후손들도 이를 본받아 너와 같이 할 것이다. 몸으로 가르치면 저들도 따를 것이니, 조심하고 또 조심할지어다.

 

아들이 그 아내를 매우 마땅하게 여기더라도 부모가 기뻐하지 않으신다면 그를 내보내야 한다. 아들이 그 아내를 마땅하게 여기지 않더라도 부모가 말씀하기를 “이 아이가 나를 잘 섬긴다” 하시면, 아들은 그와 부부의 예를 행하여 죽을 때까지 쇠하지 말아야 한다.

-효친장 中에서

 

공경하고 삼가고 중히 여기고 바르게 한 뒤에 친해지니, 이것이 예의 대체(大體)이다. 이로써 남녀의 분별을 이루어 부부의 의리를 세운다. 남녀가 분별이 있은 후에야[남녀가 각각 정해진 짝이 분명하여 다른 사람과 어지럽게 섞이지 않아야] 부부가 의리가 있으며, 부부가 의리가 있은 후에야 부자가 친함이 있으며, 부자가 친함이 있은 후에야 군신이 바름이 있다. 그러므로 “혼례는 예의 근본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무릇 혼례는 만 세대의 시작이니 (...) 정직과 신의로써 고하여야 한다. 신의는 사람을 섬기는 도리이며, 그것이 바로 부덕(婦德)이다. (...) 분별이 없고 의가 없음은 금수의 도이다.

 

혼인할 때 재물을 논함은 오랑캐의 도이니, 군자는 그러한 마을에 들어가지 않는다. 옛날에는 남자와 여자의 집안이 각각 덕이 있는가를 가렸을지언정 재물로써 예를 삼지는 않았다.

 

무릇 혼인을 의논할 때는 마땅히 그 사위와 며느리 될 사람의 성품과 행실, 가법이 어떠한가를 먼저 살펴야지, 구차하게 그의 부귀함을 흠모하지 말아야 한다. 사위가 진실로 어질다면 지금은 비록 빈천해도 이후에 부귀해지지 않을 줄 어찌 알 것이며, 진실로 불초한 자라면 지금은 비록 부유하고 번성해도 이후에 빈천해지지 않을 줄 어찌 알리오. 며느리는 집안이 성하고 쇠하는 이유가 된다. 진실로 한때의 부귀를 흠모하여 맞이하면, 그 부귀함을 믿어서 남편을 가벼이 보고 시부모에게 오만하게 굴지 않는 자가 드물다. 교만하고 투기하는 본성을 기른다면, 훗날 우환이 어찌 끝이 있겠는가. 가령 아내의 재물을 이용하여 부를 이루고 아내의 세력에 의지하여 귀함을 취한다 한들, 진실로 장부의 뜻과 기개를 가진 자라면 부끄러움이 없을 수 있겠는가.

-혼례장 中에서

 

아내가 비록 남편과 대등하다고 하나 남편은 아내의 하늘이다. 마땅히 예로써 공경하여 섬기되 아버지와 같이 해야 하니, 몸을 낮추고 뜻을 나직이 하여 거짓으로 존대하지 말고, 오로지 순종함을 알아서 감히 그 뜻을 거스르지 않아야 한다. 남편이 가르치고 경계하는 말씀을 들을 때는 성인의 글귀를 듣는 것같이 하고 남편의 몸을 구슬이나 옥돌같이 소중하게 여기고 두려워하며 스스로를 지켜야 하니, 감히 마음놓고 제멋대로 하랴. (...) 남편에게 허물이 있으면 자세하게 간하되, 그 이로움과 해로움을 진술함에 얼굴빛을 온화하게 하고 말을 완곡하게 해야 한다. 만약 남편이 크게 화를 내거든 진정이 된 후에 다시 간해야 하니, 비록 매를 맞는다 해도 어찌 감히 원한을 품으리오. (...) 서로 의지하며 함께 늙어가야 하니, 하루만 살고 말 것이 아니다. 사소한 일이라도 반드시 여쭈어야하니, 어찌 잠시라도 마음대로 할 수 있으리오. 제멋대로 한다면 사람이 아니다. (...) 남편 집안의 허물을 친정 부모에게 말하지 말아야 하니, 이는 단지 부모에게 근심을 끼칠 뿐이다. 이야기한다고 해도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시집가는 것을 ‘돌아간다’[歸]고 말하니, 죽고 사는 것이 그로써 결정되기 때문이다. 만일 이러니저러니 떠든다면 그것은 말이나 소만도 못한 짓이다. 집안을 일으키고자 한다면 온화하고 순종하는 태도를 갖추어야 하는데, 무엇으로써 여기에 이를 수 있을 것인가? 역시 공경하는 자세에 달려 있다.

 

여자의 수신은 경(敬)만한 게 없고, 강하게 되지 않으려면 순(順)만한 게 없다. 그래서 경순(敬順)의 도를 부인의 큰 예라고 한다. 무릇 경(敬)이란 다름 아니라 ‘오랫동안 지속함’을 말하고, 순(順)은 다름 아니라 ‘넓고 크며 조용함’을 말한다. 오랫동안 지속한다는 것은 ‘만족하는 데서 그만 둘 줄 아는 것’이고, 넓고 크며 조용하다는 것은 ‘공손하게 아래에 처함을 숭상하는 것’이다.

 

부부가 서로 좋으면 종신토록 헤어지지 않는데, 방 안에서 함께 기거하다 보면 만만하게 여기는 마음이 생긴다. 만만하게 여기는 마음이 생기면 말이 지나치게 되고, 말이 지나치면 필시 태도가 방자해진다. 태도가 방자해지면 남편을 무시하는 마음이 생기니, 이는 만족하는 데서 그만둘 줄 알지 못함에서 기인한 것이다. (...) 남편을 무시함이 정도를 넘으면 꾸지람을 듣게 되고 분노가 그치지 않으면 회초리가 뒤따른다. 무릇 부부가 된다는 것은 의리로써 화친하고 은혜로써 화합하는 것이다. 매질이 있게 되면 무슨 의리가 있을 것이며, 비난이 난무하는데 무슨 은혜하는 마음이 있을 수 있겠는가. 은혜하는 마음과 의리가 다 없어지면 부부는 헤어질 수밖에 없다.

 

<여헌>에 이르기를 “한 사람의 마음을 얻으면 이른바 영원히 함께하다가 삶을 마치고, 한 사람의 마음을 얻지 못하면 이른바 영원히 관계가 끝난다”고 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말하건대, 그[남편]의 마음을 얻지 못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마음을 구하는 방법이 아첨하고 아양을 떨면서 구차하게 친해짐을 말한 것은 아니다. 진실로 마음을 올곧게 하고 용모를 단정하게 하는 것, 즉 ‘전심정색’(專心正色)만한 것이 없다. 예와 의를 함께 갖추어서, 귀는 더러운 말을 듣지 않고 눈은 비뚤어진 것을 보지 않으며, 외출 시에 지나치게 치장하지 말고, 들어와서 차림을 아무렇게나 하지 말며, 사람을 모아 무리를 짓지 말고 문틈으로 엿보지 말 것이다. 이와 같다면, 마음을 올곧게 하고 용모를 단정하게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만약 행동이 가볍고 보고 듣는 것이 일정치 않으며, 집에서는 헝클어진 머리에 아무렇게나 하고 있다가 밖에 나갈 때는 요조숙녀와 같은 태도를 지으며, 해서는 안 되는 말을 하고 보아서는 안 되는 것을 본다면, 이것은 마음을 올곧게 하고 용모를 단정하게 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시부모의 마음을 어떻게 해야[얻어야] 할까? 진실로 곡진히 따르는 것보다 더 나은 방법은 없다. 시어머니가 그르다고 여기지 않아 ‘네가 옳다’고 말해도 진실로 명을 따라야 하고, 시어머니가 ‘네가 틀렸다’고 말해도 그 명에 순종하여야 한다. 시비를 따지거나 곡직을 분별하지 말아야 하니, 이것이 이른바 곡진히 따르는 것이다.

 

온갖 일이 부인들로부터 비롯되는 것이 많으니, 사납게 투기하고 독을 품고 원망하게 되면 크게는 집안을 허물어뜨리고 작게는 몸을 망치게 된다. 눈을 들어 살펴보면 모두가 도도히 그러하다. 오직 관대하고 자비로우며 편파적이지 않음을 가리켜 이른바 덕을 지녔다고 하니, 그러면 응당 집안은 저절로 화락해질 것이다.

 

정태중의 부인 후씨는 시부모를 섬김에 그 효성과 삼가는 태도로써 칭송을 받았으며, 태중과 더불어 마치 손님처럼 서로를 대하였다. 태중은 그 내조에 힘입어 예의와 공경이 더욱 지극하였고, 부인은 겸손과 순종으로 스스로를 다스려 비록 사소한 일이라도 자기 마음대로 한 적이 없고 반드시 여쭈어본 후에야 행하였다.

-부부장 中에서

 

맏며느리와 작은며느리는 형제와 같으니 정과 의리의 돈독함이 남과 같을 수는 없다. 어떤 경우에는 어진 사람을 만나서 감동하고 사모하는 마음이 일어나서 힘써 선을 행하여 함께 늙어감을 기약한다. 어떤 경우에는 모질고 사나운 사람을 만나서 망령된 뜻을 서로 더하기도 하지만, 이때는 오직 자기의 잘못임을 알아야 할 것이니 어느 겨를에 남을 근심하리오. 두 개의 굳센 것이 싸우면 필시 하나가 꺾이게 마련이니, 부드러움으로써 대응하여야 이지러진 것을 거의 온전하게 만들 수 있다. 내가 오직 공손한 태도로 그의 노하고 업신여김을 무던히 여기고, 내가 오직 먼저 베풀고 그 보답을 구하지 말아야 할 것이니, 작은 이익을 다투어 지친(至親)의 관계가 어긋나게 해서는 안 된다. 지친은 얻기 어려우니 어찌 이익을 말할 수 있으리오. 단명하고 장수함은 미리 헤아릴 수 없으니, 힘으로 빼앗아 가진들 후에 누가 이을 줄 어찌 알리오. 함께 사는 백 년이 잠깐 사이에 지나가니, 길고 짧음을 다투어 무엇 하겠는가.

-돈목장 中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뜨겁게 안녕 - 도시의 힘없는 영혼들에 대한 뜨거운 공감과 위로!
김현진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여자가 매력적인 까닭은, 단순히 글이 재미나고 맛깔나서가 아니라, 영악하게도 결정적인 순간에 이런 글을 쓸 줄 알기 때문이다. 그 어떤 도덕적 물의를 일으켰든 간에 글을 통해 타인의 이해와 지지를 이끌어냄으로써 모두를 자기 편으로 만들어버리고 마는, 그리하여 제 인격의 허물마저도 글로써 빛나게 만들어버리는 팜므파탈적 글쓰기의 신공이 느껴지지 않는가. 자기 이야기를 재미나게 풀어놓는 사람들을 조심해야 한다. 어쩌면 그들이야말로 진정한 유혹의 달인이며 뛰어난 전략가일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미리 보는 2013 인문교양 상반기
알라딘 도서팀 / 알라딘 이벤트 / 2013년 1월
평점 :
판매중지


별표 치며 읽는 맛이 쏠쏠합니다. 하반기에도 받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먼센스 2012.12
우먼센스 편집부 엮음 / 서울문화사(잡지)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부록으로 들어있는 내년도 가계부가 실하다는 네이버 부녀자들의 극찬에 혹하여 구입했는데, 과연 명불허전이다. 나에게 가계부란 가계가 도무지 수습이 되질 않는 상황에 대한 알리바이 같은 것이기 때문에 일단 가계부가 생기니 적이 안심이 된다. 짧은 식견으로 판단해 보건대 주부 잡지의 탐구 주제는 대체로 두 가지로 나뉘는 것 같다. 인간사의 드라마틱한 비밀과 미스터리를 추적하거나 아니면 범접할 수 없는 세계의 환상적인 의식주를 보여주거나. 파헤치고 파헤쳐도 화수분처럼 솟아나는 비밀과 환상 사이 그 어디쯤에서 매달 잡지 부록을 저울질하며 방황하고 있는 여인네가 비단 나뿐이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