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 규모의 국제 영화제라고 불릴만한 것은 부산, 부천, 전주, 광주의 네 곳이 있습니다. 그 외에 아래 적은 것들 여섯개는 각기 특화된 특징으로 국제 영화제를 유치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잘 보시면 위의 네개는 지명을 사용하고, 아래는 특징이나 성격을 이름으로 사용하죠.

그외에도 많은 국제 영화제를 표방한 것들은 있습니다. 메가박스 유럽영화제라던지, 퀴어 아카이브 영화제 등등. 그러나 그런 것들은 국제 영화제라기보다 상영회의 성격이 강해서 제외했습니다. 그래서 국제 영화제라고 불릴만한 것 10개를 뽑아봤습니다. 이름 아래 주소를 누르면 홈페이지가 새 창으로 뜹니다.

1. 부산 국제 영화제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PIFF)
http://www.piff.or.kr

1996년 한국 최초의 국제 영화제를 표방한 영화제로 시작되어서 지금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국제 영화제로 발돋움하였습니다. 2003년 8회 영화제가 열릴 계획이고, 부산 남포동과 해운대 일대에서 10~11월 경에 열립니다. 지난 2002년에는 57개국의 226편의 영화를 선보였고, 35개국에서 5318명의 게스트가 방문한 명실공히 아시아 대표 영화제입니다.


2.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Puchon International Fantastic Film Festival : PiFan)
http://www.pifan.or.kr

1997년 한국 최초의 판타스틱 영화제를 표방한 영화제로, 영화뿐 아니라 부천 전 시민이 함께하는 축제의 장으로 평가받는 영화제입니다. 비경쟁 영화제인 부산과는 달리 국내 최초로 경쟁 부문을 도입하였고, 장르 역시 호러, 코미디, 판타지등으로 특화시켜서 지금은 부산 영화제와 함께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영화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매년 7월에 열리고, 2003 부천 영화제에는 35개국에서 190편의 영화가 초청되었습니다.


3. 전주 국제 영화제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Jiff)
http://www.jiff.or.kr

2000년에 처음 시작된 전주 영화제는 '시민 영화제'를 표방하는 영화제입니다. 자유롭고 독립적이며 진취적인 영화들을 많이 소개하는 곳입니다. 매년 4월말에 전주에서 열리며, 아직은 국제적인 큰 인지도를 쌓지는 못했지만 어느정도 안정된 기반을 다진 곳입니다. 올해는 30여개국에서 출품된 170여편의 영화가 상영되었습니다.


4. 광주 국제 영화제 (Gwang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Giff)
http://www.giff.or.kr

2001년에 처음 시작된 영화제로 올해 제 3회째를 맞습니다. 그러나 1, 2회 영화제가 밋밋한 프로그래밍과 영화제 정체성의 확립에 실패한 편이라 올 8월에 열리는 제 3회 영화제의 인지도가 많이 낮은 편입니다. 아직 통일된 영화제의 상영시기도 잡지 못해서 지난해까지는 12월에 하였지만 올해는 8월말에 열립니다. 앞으로 더욱 발전해 나가야 할 영화제입니다.


5. 서울 여성 영화제 (Womens Film Festival in Seoul : WFFIS)
http://www.wffis.or.kr

1999년 처음 시작된 영화제로 부산, 부천처럼 거대한 규모는 아니지만 작고 내실있는 영화제로 주목받는 영화제입니다. 현재 아시아권에서는 가장 인정받는 여성영화제이기도 하죠. 그러나 아쉬운 점은 전문적인 상영관이나 확실한 커리어가 없어서 아직도 영화제의 이미지보다는 상영회의 이미지가 강하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90%에 달하는 높은 좌석 점유율과 점차 성장하는 영화제의 규모는 앞으로 더욱 기대감을 가지게 만듭니다. 5월경에 열리며, 대학로를 중심으로 열렸습니다. 올해 상영작은 약 140여편. 극장이 적어서 대부분 한 차례밖에 상영을 못한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6. 서울 국제 노동 영화제
http://www.lnp89.org

위의 다섯 영화제와는 달리 정규 국제 영화제로의 인식이 거의 없는 편입니다. 1997년 처음 열렸고, 역시 문제는 주기적으로 상영할만한 상영관이 없고, 프로그램이 너무 딱딱해서 일반 관객이 다가가기 어렵다는 지적입니다. 11월 경에 열리며 올해 7회째를 맞습니다.


7. 서울 국제 인권 영화제 (Seoul Human Rights Film Festival)
http://www.sarangbang.or.kr/hrfilm/2003hrfilm

인권운동사랑방이 1996년부터 인권의식 확산과 인권교육을 목표로 하여 개최한 영화제로 세계 각지에서 자유와 인권을 위하여 투쟁하는 모습을 담은 영상물을 발굴하고 다양한 장르와 정신을 지닌 영화를 소개합니다.


8. 레스페스트 디지털 영화제 (RESFEST Digital Film Festival)
http://www.resfest.co.kr

영화의 미래에 대해, 디지털 영화에 대한 영화제를 표방한 레스페스트 영화제는 2000년에 처음 열렸습니다. 2001년에는 서울과, 전주에서 나누어 열렸고, 단순한 영화 상영뿐 아니라 디지털 영화의 미래에 대한 세미나와 토론도 곁들여집니다.


9. 서울 국제 청소년 영화제 (Seoul International Youth Film Festival : Siyff)
http://www.siyff.com

국내의 청소년 작품을 위주로 외국의 초청작품을 상영하면서 국제 영화제로 발돋움한 영화제입니다. 장편 영화보다는 어린 청소년들의 단편 영화를 주로 상영합니다.


10. 서울 넷 & 필름 페스티발 (Seoul Net & Film Festival : SeNef)
http://www.senef.net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특이한 영화제입니다. 약 1주일간의 오프라인 상영후 한 달정도 상영작을 온라인에서도 감상할 수 있게 해주는 점이 특징입니다. 레스페스트 페스티발처럼 디지털 영화가 중심을 이루고, 젊은 영화인들의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4-02-20 11: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퍼갈께요.

Xoxov 2004-02-20 18: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저도 퍼온 건데요 뭐 킁..